View : 491 Download: 0

여성의 제도정치 진입을 위한 선거과정 참여 연구

Title
여성의 제도정치 진입을 위한 선거과정 참여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omen's Involvement in Electoral Procedure for Their Participation in Institutional Politics: based on the experience of female candidates for primary local election
Authors
신순옥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여성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여성의 제도정치 진입을 위한 선거과정을 연구함으로서 기성 정치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불식시키고, 지역에서 여성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과정과 역동성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이는 기초의회 여성후보의 정치참여 과정을 통해 기존 가부장제 남성중심의 정치 틀을 변화시켜 나갈 수 있는 지점과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2006년 5.31지방선거를 준비하는 ‘30-40대 주부중심의 여성’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하였다. 또한 ‘여성 후보자 교육프로그램’을 통하여 여성후보의 선거실무 교육을 담당하는 연구원 및 여성단체 활동가를 보조사례로 심층면접 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는 2006년 5.31선거에서 기초의회 무소속 여성후보의 선거운동 참여관찰을 통해, 선거과정의 내용과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은 다양하고 풍부한 생활 경험을 사적 경험의 차원에서 공공의 문제로 확장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차원에서 시민단체 활동과 정당 활동의 연계를 발판으로 정치과정에 참여하고 있었다. 둘째, 여성의 정치참여를 방해하는 사회구조적인 요인으로 정당 문화 및 선거제도, 선거문화풍토를 여성의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여성은 상대적으로 정치 환경에서 불리한 입장에 처해 있다는 것을 경선 및 공천과정을 통해 보여주고 여성친화적인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언급하였다. 셋째, 정당을 배제한 기초의회 무소속 여성후보의 입후보 과정, 선거공약, 선거유세, 선거운동 등을 관찰하면서 지역 여성들의 수평적 네트워크에 의한 정치참여 과정 자체가 여성을 정치 주체로 이끌고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여성후보의 선거과정은 남성후보와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는데, “여성이하면 다릅니다”라는 메인슬로건을 내세우고, 여성이 지역에서 생활하는 경험을 바탕으로 관계지향적인 대화나누기를 중요한 선거운동으로 인식했다. 그리고 여성후보를 지지하는 지역 여성의 적극성과 헌신적인 선거운동을 통해서 더 이상 여성이 비정치적인 사적존재가 아니라 정치 주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선거운동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통해 향후 여성의 정치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과제를 언급하였다. 첫째는 기초의회 정당공천으로 지방자치가 자율성을 상실하고 중앙정치에 예속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둘째는 남성 중심적인 직계존비속 선거운동이 소수의 사람 특히 여성을 차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제도개선을 요구했다. 셋째는 여성후보의 선거경험을 통해서 선거실무교육을 익히고 네트워크를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속적인 여성정치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했다. 본 연구는 정치영역에서 비가시화 된 여성문제를 드러내고, 여성이 비정치적인 사적 영역에 적합하다는 사회적인 통념에도 불구하고 적극적으로 정치과정에 참여하여 ‘주체’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여성이 기존 부패정치의 대안세력으로 자리 잡아 나갈 수 있도록, 그리고 여성의 정치세력화가 궁극적으로 ‘새판짜기’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how women should be involved in electoral procedure as a way to enter into institutional politics in an effort to root out people's negative perception of politics and urge women to participate in local politics as one of political subjects. It's specifically meant to delve into the involvement of female candidates for primary local election in politics in order to help change the male- dominated political commun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homemakers who were in their 30s and 40s and prepared to run for the 2006 local election. An in-depth interview was held with them, and researchers and activists of women's groups who provided education to female candidates about the election were additionally interviewed. Besides, this researcher made a participant observation of the electoral procedure of independent female candidates for the 2006 primary local election to see how the election proceeded and what problems it was faced with.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women investigated tried to be involved in politics in collaboration with civic groups and political parties so as to apply their diverse and ample life experience to public sector and to iron out problems with politics. Second, the culture of political parties, election system and election climate were analyzed from a standpoint of women as the factors of social structure to interfere with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The relatively disadvantaged position of women in political sector was described, and the necessity of creating a more women-friendly system was suggested. Third, when the candidacy registration of the independent female candidates, their electoral commitment, stumping tour and campaigning were observed, it's found that just the women's participation in politics through the horizontal network of local female residents allowed women to become the subjects of politics. The electoral procedure of the female candidates was different from that of male candidates. They considered it important to have a relationship-oriented conversation with voters based on their local life experience and under the slogan that women were different. And energetic support by local women for the female candidates and their dedicated participation in election campaign evidently showed that they were no more unpolitical private beings but the subjects of politics. Fourth, the challenges for women's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described after looking into the problems with their election campaign and seeking workable reform measures. One of major problems with the primary local election was that party nomination of council member candidates was likely to weaken the autonomy of local government and to let national government govern local government. The election system should be reformed, since androcentric election campaign by family members in a direct line or linear descendants might result in discriminating a minority of people, especially women. Sustained politic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women, as the election experience of female candidates could have women more familiar with election practices and enlarge their network.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revealing hidden woman-related problems with political field, criticizing the common social notion that women should stay in unpolitical private areas, and showing the self- reliance of women who took active part in politics. How to strengthen women's political power and create a new politics should carefully be studied in detail so that women could become a powerful solution for decayed polit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