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최진이-
dc.creator최진이-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3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31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24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24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중반 북한이 처했던 식량난이라는 사회적 대기근의 시기에 본격적인 “여성주제” 시 창작 활동을 벌려 북한문단에 자기의 위치를 뚜렷이 한 북한 여성시인 렴형미와 그의 작품을 분석하여 식량난시기에 고양된 렴형미 시인의 여성적 의식을 드러내려는 데 있다. 연구자의 이러한 시도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북한의 전대미문의 식량난시기에 북한여성시인들의 여성적 의식이 앙양되었다는 사실을 인식 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둘째로, 북한의 식량난 시기와 더불어 북한문단에는 이시기를 거대 주제로 한 “식량난시기 문학”이 존재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셋째로, 북한의 식량난 시기에 국가와 남성의 지위가 여지없이 붕괴되면서 그의 반작용으로 북한 여성의 지위가 천문학적 상승을 가져왔다는 현실을 증명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문학이 시대의 거울이라 함은 소여 문학으로써 그 시대를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시대의 거울로써 문학이 지닌 이와 같은 속성은 북한과 그 문학의 60년 역사도 포함하지 않을 수 없다. 북한 문학의 최전성기가 해방 직후, 특히는 전후 초기였다는 사실은 동시대 작품들의 그 질적 수준을 통하여 이미 확인이 되었으며 남한에도 적지 않게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현재 외부에서는 불투명하게 보이는 북한의 지극한 식량난 시기 북의 현실이 비쳐질 거울(문학)에 무엇이 나타나지 않았겠는가 하는 의문을 갖게 하였다. 연구자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안은 기초위에서 북한 문제는 북한의 사고방식으로 풀어가는 방법론을 선택하였다. 즉 이 논문에서는 여성주의적 의식을 가진 한국 여성시인들의 작품을 분석한 기초위에서 북한의 여성시인 렴형미와 그의 작품에 접근하는 것과 같은 기존의 방법을 탈피하였다. 오로지 북한의 유일무이한 상황속에서 여성적 의식을 지닌 시인 렴형미가 어떻게 태여날 수 있었으며 국민 200만을 아사로 죽인 북한의 엄혹한 식량난시기에 렴형미의 여성적 의식은 어떤 방식으로 창작에 구현되었는가 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그러기 위하여 논문의 Ⅰ장에서는 렴형미와 그의 시를 연구하는 최초의 단서로 되는 북한문학지의 지형을 심도있게 주었다. Ⅱ장에서는 북한 문학지에 여성작가와 여성주제가 어떤 식으로 등장하였으며 특히 식량난과 그 전후시기 북한 여성시인들의 여성적 의식이 시창작에 어떻게 구현되었는 가를 시인 렴형미와의 비교 속에 보았다. 그러기 위해 본 장에서는 여성시인들의 여성적 의식을 환기케 한 배경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여야 하였다. 이 과정에 김일성사후 본격화된 주민 200만을 아사로 죽인 북한 식량난의 반동성이 그 본질을 여지없이 드러내게 되었다. 김일성의 죽음은 곧 북한에서 남성성의 사멸이었다. 남성성이 사라진 자리에 여성성은 고개를 쳐들고 일어설 수밖에 없었다. 갖은 간난신고와 지어는 죽음까지 무릅써가며 여성들이 시장을 이뤄내어 자기들의 손에 약간의 부를 획득했을 때 외부의 원조를 받아 힘이 생긴 국가(남성)는 저들의 상투적 수법으로 여성들이 일구어 낸 시장을 야비하게 강탈해냈다. 그것이 바로 북한이 실시한 2002년 7월 새 경제조치였다. 결국은 북한이 구호처럼 외쳐온 북한의 남여평등권법은 여성을 위한 국책이 아니라 국익에 복종하는 범위 내에서 만의 이른바 “평등권”이었다. 남성성이 약화될 때는 남성의 역할까지 맡아하고 남성성이 강화될 때는 수탈당해야 하는 말 그대로 남성성의 소유물로써 대상화된 평등권이었다. Ⅲ장에서는 렴형미의 개인사가 북한의 역사적 과정과 어떻게 맞물려 갔으며 특히 그가 식량난 시기에 여성적 의식이 반영된 시를 본격적으로 쓸 수 있게 된 배경을 주었다. Ⅳ장에서는 렴형미의 시를 주로 연구 분석하였다. 즉 렴형미의 여성적 관점이 드러나는 부분, 북한여성의 존재양태, 렴형미식 언어구사양태를 그의 시를 통해 보았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분석을 통하여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이끌어내었다. 1) “식량난” 이라는 사상 최악의 위기를 극복한 북한 문단에서 “식량난 시기 문학”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첫째로, 1956년 “8월 종파”사건 이후부터 시작된 문학 활동에 대한 정치 사상 문화적 탄압 때마다 너무나 명확히 발생하군 한 북한 문단의 양적 위축들은 오히려 “작가의 자유”의 가치가 그 속에 존재한다는 부동한 북한판 증명으로 되고 있다. 둘째로, 북한 역사상 극히 곤란한 시기들이었던 해방 직후와 전쟁 시기, 전후 초기에 북한문학이 연속하여 계단적인 양적 장성을 보여 준 사실은 북한 문단이 북한 사회의 진실한 문학적 수요에 분명한 대답을 하여 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셋째로,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상 최대의 곤난기였던 식량난 시기에 북한의 문학지 쪽수에 편차가 전혀 없었던 경이적인 사실은 식량난 시기 문학이 북한에 존재했다는 객관적 판단을 내릴 수 있게 하여준다. 2) “식량난 시기 문학”의 특징은 북한이 처한 특수한 사회적 배경으로 하여 “여성주제 문학”에서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음이 확인되었다. 첫째로, 식량난 시기는 북한에서 남성의 정치 및 경제적 지위 하락과 동시에 그 공백 대체를 위해 여성의 사회적 책임을 급 가중시켰다. 둘째로, 식량난 시기 북한 여성의 사회적 책임과 지위는 피동적이고 소극적인 성격으로부터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것으로 빠르게 발전하였다. 셋째로, 식량난 시기 북한 문학은 그 시대상을 반영하여 “여성주제” 작품이 두각을 나타냈다. 3) “여성주제” 문학의 대표 문학인들 또한 여성 시인들이며 그들의 시 쓰기 방식 속에는 식량난 시기 사회의 문학적 수요가 일정한 수준에서 반영되어 있을 뿐아니라 참신한 문학적 태동이 엿보이고 있었다. 첫째로, 평양시 문학창작실의 대표적 여성시인들이 식량난 시기의 문학을 각이한 방식으로 자기의 창작 속에 녹여내고 있었다. 둘째로, 함경북도 청진예술단 여성작가 렴형미 시인은 식량난 시기를 주제로 한 시를 전면에 들고 나와 “6. 4 문학상” 수상작을 두 차례나 거머쥐는 북한 문학통신원 역사상 최초의 쾌거를 이룩하였다. 셋째로, 생활적이든가 심리적이든가 형이상학적 묘사에서 머무르던 종전의 구태의연한 언어구사방식을 탈피하고 도발적인 몸의 언어가 이시기 렴형미의 시에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식량난의 시점을 토대로 해 형성된 북한여성들의 여성적 의식의 변화가 렴형미의 시에서 어떻게 드러났는가를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북한에 “식량난 시기 문학”이 존재했다는 초기의 가설을 정설로 확인하는 데 까지 이를 수 있었다. 외부에 그 실체를 드러내기 꺼려하는 북한문제의 연구는 아직 많은 과제를 자기 앞에 제시하고 있다. 앞으로 좋은 논문들이 많이 나와 공백상태에 있는 이 부분들을 충당해주기 바란다.;In this study, my work is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woman poet Mrs. Ryom Hyongmi and her works. She plays an active part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large starvation time of the food shortage that happened in North Korea of the middle stage in 1990's. Researcher reads her “feminine consciousness” here. In this time, Mrs. Ryom created poetry of the full-scale “woman subject” and shined by oneself in the literary world. The significance to have of such a trial of a researcher is as follows. Primarily, in the unprecedented food shortage time, I can confirm the fact that “feminine consciousness” of North Korea woman poets was grew. Secondly, the fact that there was “the food shortage time literature” that assumed this time the subject very much in the North Korea literary world can confirm. Thirdly, at the North Korean food shortage time, that the positions of nation and of a man are decline, and while relative position of the woman are rise as the reaction are confirm. The reason why literature is called “a mirror of the times” is o understand the time with the literature. In addition, an attribute of literature is right as “a mirror of the times” in North Korea and the literature history 60. The fact that the golden age of North Korea literature was post-liberation and particularly postwar early days is already known by the height of quality of works for the same periods, and it is finished with conformation that the thing is good for Korea. As for such fact, it is natural outside now that what has doubt whether it does not seem to you to a mirror (that is to say, “literature”) which the reality is seen in the North Korean food shortage time when the total picture is not clear. As for researcher, the issue of North Korea chose the methodology that I solved by a way of thinking of North Korea after such recognition. In this article, I am broke the existing approach to Mrs. Ryom and her work as a Korea woman poet who had feminine consciousness. Basics of this study are two points as follows. In the severe North Korea situation that there was not in question, how were owner of “feminine consciousness”, poet Mrs. Ryom born? In the North Korean severe food shortage time starved to death 2,000,000 people, how was she the consciousness incarnated by poetry? In Chapter 1 of an article, I introduced the mapping of North Korea literature magazines as a guide of Mrs. Ryom and her poetry study. I watched next in Chapter 2. At first what kind of method did “the woman subject” appear to the literature magazine by with a woman writer? How were in particular “feminine consciousness” of a woman poet of the front and back time of the food shortage time incarnated by poetry creation? I compared it of Ryom at the same time. So, I had to explain the social background that came to remind the woman poets of “feminine consciousness” concretely to be able. A result, reaction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food shortage were exposed essentially. It was great death from hunger of the nations more than 2,000,000 who began after Kim Il Sung death. The death of Kim Il Sung was an opening of “male sex” extinction in North Korea at the same time. Because “male sex” decline, a woman had to stand up alone cruelly. In that way the woman who overcame every hardship at the risk of the life comes to get some wealth in a setup, oneself hand in her the market. Then to be vulgar, the national (a man) that he took outside support corrected power seized a market of a woman by technique of the commonplaceness. It is right a New Economy reform measure of July, 2002 when North Korea carried it out. “The gender equality right law” that North Korea appealed for as a slogan was not law for a woman after all. But it was so-called “right to equality” only in the range that obeyed national interest. On the other hand, a woman must undertake it to a role of a man when “male sex” weakens. On the other hand, a woman is forced to plundering when “male sex” is strengthened. According to the words, it is “right to equality” done objectification of as a monopoly thing of “male sex”. I show next in Chapter 3. How was history of individual of Mrs.Ryom wandered about through by a North Korean historic process? What is the setting which she got possible to write poetry reflected “feminine consciousness” in the food shortage time in earnest in particular? I studied and analyzed poetry of Mrs. Ryom mainly in Chapter 4. In other words, from her poetry, I watch the part that a feminine point of view is clarified of Mrs. Ryom, existence appearance of North Korea woman, language driving appearance to be able to say with “Ryom type”. I conclude, through the above-mentioned analysis as follows, in Chapter 5. 1) I was able to confirm existence of “food shortage time literature” in the North Korea literary world which overcame the crisis that the supremacy of “food shortage” was the worst. Of oppression of political thought culture for the literature activity that began from the first, “August sect case” afterward of 1956 each time contraction of quantity of the North Korea literary world occurred definitely. Rather, as for this, it is it with North Korea version proof to relate to the immovable truth that <”freedom of a writer” assumes a necessary and sufficient condition of literature>. Second, the literature showed growth of quantity step-by-step in succession just after and the liberation and after the war in the early days in the war time that it was the time when it was extremely difficult in history from North Korea . I can judge that the North Korea literary world replied to demand of social literature from this fact truly. However, thirdly, there was no deviation to North Korean literature magazine volume in history in the food shortage time for the greatest difficulty period. This wonderful fact can become an objective judgment document of there being “food shortage time literature” in North Korea. 2) By the special social background where North Korea was put, main parts of “food shortage time literature” got together as “woman subject” literature and appeared definitely. First, it was brought turning over of relations between men and women in North Korea in the food shortage time. That is to say a social responsibility of a woman is suddenly weighted with political and an economical positions fall of a man as the substitute. Second, “A in the time,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 position of North Korea woman developed into active and positive from passive and negative character rapidly. Third, in the time, being reflected the times, in North Korea literature “a woman subject” works was born. 3) A representative literature person of “woman subject” literature is a woman poet again, too. Needs of social literature of the food shortage time reflects a creation method of their poetry to some extent. The work includes the quickening of novel literature than it. Firstly a representative woman poet of Pyongyang literature creation room contains literature of the food shortage time in own creation thing by various methods. Second, as for Chongjin art group woman writer Mrs. Ryom poet of Hamgyong-pukudo, hand praises “6.4 literary prizes” in poetry to assume the food shortage time, twice. It is the first splendid achievement in the North Korea “literature amateur” history. Third, in before, whether life-like or psychological, the metaphysical description was an old-fashioned language driving method. To making self-renewal from there, and, in this time, Mrs. Ryom makes full use of a provocative “language of a body”. At first, according to this study, a change of “feminine consciousness” of the North Korea woman whom I was based on food shortage, and was formed appeared in poetry of Mrs. Ryom in conclusion. My temporary construction that there was “food shortage time literature” in North Korea was confirmed as an established theory next by this study. It is still piled up many problems by a study about North Korea refusing the substance exhibition to the outside. I expect that appeared one after anothergood articles fill up in future in this field that is near to a blank stat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연구에 앞서 국문초록 Ⅰ. 서론 = 1 A.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 1 B. 연구대상과 연구범위 = 3 Ⅱ. 북한 여성작가와 “여성주제”의 등장 = 15 A. 북한문학에서 렴형미의 위치 = 15 B. 글쓰기를 통한 정체성 탐구(시 쓰기 진입 방식) = 28 C. 여성시인들의 식량난 대응방식 = 36 Ⅲ. 북한사회와 여성시인 렴형미의 등장 = 72 A. 의식적인 시와의 만남 = 72 B. 작가반 입학시도와 실패, 그가 폭로한 스캔들 = 75 C. 여성시인의 귀향 및 결혼 = 77 D. 시인과 식량난의 이상적 충돌 = 81 E. 렴형미의 여성적 시 창작과 여성적 생활방식의 관계 = 88 Ⅳ. 렴형미의 시 연구 = 91 A. 시인 렴형미의 여성적 의식과 관점 = 91 B. 렴형미의 시에서 본 북한 여성의 존재양태 = 100 C. 렴형미식 시의 언어 = 105 D. 억압의 장을 시속에 끌어들여 동거 및 활용하기 = 108 Ⅴ. 요약 및 결론 = 112 부록 = 114 표-1. 「조선문학」지 제호 및 발행 변화과정 = 114 표-2. 「조선문학」지 쪽수 표 = 119 표-3 「조선문학」지에 등장한 북한 여성작가들 = 121 표-4 「조선문학」지에 발표된 북한여성시인 작품창작계보 = 129 참고문헌 = 142 ABSTRCT =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271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북한 여성시인 렴형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F RYOM HYOMNGMI, A POETESS IN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Choi, Jin-I-
dc.format.pageⅶ, 149-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