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종진-
dc.contributor.author홍서희-
dc.creator홍서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3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35-
dc.description.abstract영산회상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세 가지 영산회상 중에서 한 가지를 악기별로 분석한 논문들이거나, 상령산, 중령산,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등의 선율을 악기별로 비교한 논문들이 대다수이다. 본 연구는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 현악영산회상 중 ‘타령’들과 길타령과 별우조타령의 대금선율을 비교, 분석하여 서로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각 악곡의 장의 구성, 음역, 시김새, 선율과 리듬에 대해 시김새는 대금정악의 정간보를 토대로 분석하고, 나머지 항목은 <한국음악>의 오선보를 비교, 연구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 구성에 있어서 다섯 가지 타령 모두 4장 구성이다. 제 1장은 각각 7각, 9각, 8각, 8각, 8각 제 2장은 각각 18각, 6각, 7각, 13각, 13각 제 3장과 제 4장은 다섯 악곡 모두 각각 6각과 5각으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둘째, 음역을 살펴본 결과, 별우조타령은 林 - 南 - 潢 - 汰 - 중 - 淋 - 무 길타령 林 - 南 - 潢 - 浹 - 중 - 淋 - 무 관악영산회상은 林 - 無 - 潢 - 汰 - 浹 - 중 - 淋 - 무 평조회상은 太 - 仲 - 林 - 南 - 潢 - 汰 - 중 - 淋 - 湳 현악영산회상은 임 - 무 - 黃 - 太 - 仲 - 林 - 無 - 潢 - 汰이다. 셋째, 타령에는 총 384회의 시김새가 등장하며, 시김새는 여러 가지가 골고루 쓰였다. 이 중‘∧’이 가장 많이 등장한 시김새로 약 34.1%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인 시김새는 ‘и’로 약 21.1% 등장하였는데, 이 시김새의 경우 제 3장 중 평조회상, 제 4장 중 현악영산회상에서는 단 한 번도 등장하지 않았다. 대금의 특징적인 시김새 중 하나인‘S'는 제 1장의 경우 길타령과 관악영산회상, 제 2장은 현악영산회상을 제외한 나머지 네 악곡, 제 3장과 제 4장의 경우는 평조회상과 현악영산회상을 제외한 나머지 악곡에 등장하였다.‘~’는 관악영산회상의 제 1장, 별우조 타령과 평조회상의 제 3장을 제외하고 골고루 나타났다. 또 다른 시김새‘&#9014;’는 제 1장과 제 2장에만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ㄱ’,‘ㄴ’,‘ㄷ’,‘ 人’,‘h’, ‘~’, ‘&#5458;', ‘&#5558;’, ‘&#5812;’, ‘ ’,‘ ㄱ ’등의 시김새가 등장하였다. 넷째, 리듬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리듬은 ♩. ♪ ♩으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 많이 등장한 리듬으로는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리듬을 꼽을 수 있으며, 현악영산회상의 경우 ♩. ♬♩ 리듬이 ♩. ♪ ♩리듬 다음으로 많이 등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 타령 전반에 걸쳐서 등장한 리듬으로는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이 등장하였다. 다섯째, 선율을 살펴 본 결과, 선율의 진행방향은 제 1장부터 제 4장의 순으로 상행으로 진행하는 선율이 각각 약 36.9%, 약 28.1%, 약 30.8%, 약 36%, 하행으로 진행하는 선율이 각각 약 52.5%, 약 50.4%, 약 56.7%, 약 48%로 나타났다. 그 밖의 동일음 진행은 각각 약 7.9%, 약 21.5%, 약 12.5%, 약 16%로 나타났다. 별우조 타령의 경우 독자적으로 진행하는 선율이 많았으며, 길타령-관악영산회상의 진행이 제 3장과 제 4장에서 한 마디를 제외한 모든 선율이 동일한 흐름으로 진행하였다. 평조회상-현악영산회상의 선율 흐름이 전반적으로 4도의 차이를 두고 일정하게 진행하였다. 별우조 타령과 길타령,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 현악영산회상의 타령을 리듬과 선율을 중점적으로 본 결과 길타령과 관악영산회상, 평조회상과 현악영산회상의 선율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산회상의 다른 악곡들을 특정 악기 중심으로 한 다양한 각도에서의 분석이 연구 과제로 남는다.;There has been a lot of studies of Youngsanhwesang till today, but when you look through these carefully, the details of the studies are usually about analysing one of the three Youngsanhwesang by the instruments that are played, or analysing the melodies of two different instruments about Sangryeongsan, Joongryeongsan, Yeumbuldodoori, Taryeong, Goonak. This thesis is about what is accorded to each other, comparing the melody of Daegum about the Taryeong of KuanakYoungsanhwesang, Peongjohwesang, HyeunakYoungsanhwesang and giltaryeong, beulwoojo -taryeong looking over the musical notes of <Korean Music> which is based on joungganbo. We'll look through about the frame of the musical pieces, the scales and the notes that appear through out the pieces, the composed notes and the rythyms and melodies of the musical pieces. First of all, when we look through the frames of the five pieces of Taryeong they commonly appears to be organized in four parts. In Part 1, beulwoojotaryeong and giltaryeong appear to be 7rythyms and 9rythyms. KuanakYoungsanhwesang, Peongjohwesang, hyeunak- Youngsanhwesang are equally 8rythyms. Part 3 and part 4 are organized in same rhythms, and the rythyms of part 2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which is 18rythyms, 6rythyms, 7rythyms, 13rythyms, 13rythyms. in order that is mentioned above. Second of all, when we look over the notes that appear in each Taryeong, beulwoojotaryeong appears to be 林 - 南 - 潢 - 汰 - 중 - 淋 - 무 , giltaryeong appears to be 林 - 南 - 潢 - 浹 - 중 - 淋 - 무, KuanakYoungsanhwesang appears to be 林 - 無 - 潢 - 汰 - 浹 - 중 - 淋 - 무 , Peongjohwesang appears to be 太 - 仲 - 林 - 南 - 潢 - 汰 - 중 - 淋 - 湳 , and last of all hyeunakYoungsanhwesang appears to be 임 - 무 - 黃 - 太 - 仲 - 林 - 無 - 潢 - 汰. Third of all, there were various kinds of composed notes which were appeared on the five Taryeong. The mostly found composed note was ‘∧’ which was appeared 23times, 18times, 24times, 39times, 24times in order of beulwoojotaryeong, giltaryeong, Kuanak Youngsanhwesang, Peongjohwesang, hyeunakYoungsanhwesang. The second composed note which was used mech was ‘и’ but this didn't appear on part3 of Peong-jo hwe-sang and part4 of hyeunakYoungsanhwesang. Further more, there were various kind of composed notes like‘ㄱ’,‘ㄴ’,‘ㄷ’,‘人’,‘h’, ‘~’, ‘&#5458;’, ‘&#5558;’, ‘&#5812;’, ‘ ’,‘ㄱ’. Fourth of all, when we look over the rhythms, the mostly appearing rhythm was ♩. ♪ ♩ , and the next one that appeared the most was◁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There were a lot of ♩. ♬♩ rhythym following ♩. ♪ ♩ in hyeunak-Youngsan-hwesang . The rhythyms those appear through out the Taryeong are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Fifth of all, When we go over the flow of the melodies from part1 through part4, the melody that went upwards appeared in the sum of 36.9%, 28.1%, 30.8%, 36% in order of Part1 from Part4. The melody that went downwards appeared about 48.68%, 53.07%, 56.67%, 59% which is more than half. About the melodies, generally the rhythms and melodies of Peongjohwesang and hyeunakYoungsan-hwesang appeard to be similar when removing 4notes. In the case of part2, the rhythms appear to have a big gap, so there were a lot of empty melodies through out this part. Through out part 3~4, except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sing notes, the melodies of KuanakYoungsanhwesang and beulwoojotaryeong appeared to have almost the same melo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 및 의의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1 Ⅱ. 본론 = 3 A. 타령 장단 = 3 B. 다섯가지 타령의 악장별 장단(각) 구성 = 3 C. 다섯 가지 타령의 음역의 구성 = 4 D. 타령의 시김새와 리듬 및 선율 비교 = 6 1. 제 1장 = 6 2. 제 2장 = 23 3. 제 3장 = 54 4. 제 4장 = 67 Ⅲ. 결론 = 79 참고문헌 = 81 ABSTRACT = 82 부록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938881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타령에 나타나는 대금선율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alysis on the study of the melodies of Daegum in Taryeong : according to the three Youngsanhwesang and GilTaryeong, beulwoojotaryeong-
dc.creator.othernameHong, Seo-Hee-
dc.format.pageⅸ, 105-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