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4 Download: 0

24~35개월 영아의 기질과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지속시간과 놀이 수준에 관한 연구

Title
24~35개월 영아의 기질과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지속시간과 놀이 수준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duration of play time and in level of play related to child’s nature and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in 24~35 month Toddlers.
Authors
박춘방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의 기질(순한 기질, 중간 기질, 까다로운 기질)과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지속시간 및 놀이 수준과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영아의 놀이 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영아의 놀이 지속시간은 어떠한가? 1-1. 영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 지속시간은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지속시간은 차이가 있는가? 1-3. 영아의 기질,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지속시간은 차이가 있는가? 2. 영아의 놀이 수준은 어떠한가? 1-1. 영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1-3. 영아의 기질,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수준은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경기지역에 소재한 N, S 어린이집 2곳에 재원 중인 24~35개월의 영아 20명과 그들의 담임교사 3명이었다. 만 2세 영아의 기질 측정은 영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기질 측정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비디오 촬영은 영아의 자유선택놀이 시간에 교사 개입 유무에 따라 영아당 15분씩 2회 촬영하였다. 자료 분석은 놀이의 주제에 따라 놀이 지속시간을 체크하였으며, 놀이 수준은 15초를 1회로 체크하여 한 영아당 30분(120회), 전체 600분(2400회)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각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과 표준편차, F검증, t검증,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의 기질에 따른 놀이 지속시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기질에 따라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순한 기질의 영아가 다른 기질의 영아에 비해 놀이 지속시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교사 개입 유무에 따라 놀이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었다. 영아들은 교사가 놀이에 개입할 때 놀이를 더 오래 지속하였다. 셋째, 영아 놀이에서 기질과 교사 개입 유무에 따라 놀이 지속시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순한 기질의 영아는 다른 기질의 영아에 비하여 교사 개입 유무에 관계없이 가장 오랫동안 놀이를 지속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는 교사 개입이 없을 때 놀이 지속시간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질에 따른 놀이 수준에 차이를 살펴본 결과, 순한 기질의 영아는 기능·관계적 놀이와 행위가작화 놀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중간 기질의 영아는 기능 놀이와 비놀이 행동, 기능·관계적 놀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까다로운 기질의 영아는 단순조작과 기능놀이, 행위가작화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연속된 가작화의 대치, 두 번 이상의 대치, 계획 등 높은 수준의 놀이는 까다로운 기질에서 나타났다. 다섯째, 교사 개입 유무에 따라 놀이 수준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 대체 행동, 계획과 같은 높은 수준의 단계는 교사 개입이 있을 때에만 나타났다. 여섯째, 영아의 기질과 교사 개입 유무에 따른 놀이 수준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개입이 있을 경우에는 비상징놀이에서 비놀이행동은 중간 기질에서 가장 많았으며, 단순조작은 까다로운 기질에서 많이 나타났고, 상징놀이 횟수는 행위가작화에서 순한 기질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교사 개입이 없을 경우에는 수준의 횟수의 차이는 없었지만, 놀이 수준은 까다로운 기질에서는 대체행동까지만 나타나 다른 기질보다 낮은 놀이 수준을 보였다.;A Study on duration of play time and in level of play related to child’s nature and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in 24~35 month Toddl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 that can be found in duration of play time and in level of play related to the child’s nature(easy child, difficult child and slow-to-warm-up child) and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Also it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expedition of child play and training of teachers. The following are the research tasks for these purposes: 1. Duration of child’s play time 1-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child’s play time related to thechild’s nature? 1-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child’s play time related to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1-3. Is there a difference that can be found in duration of play time related to the child’s nature and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2. Level of child’s play 1-1.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child’s play related to the child’s nature? 1-2.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child’s pla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1-3. Is there a difference that can be found in the level of child’s play related to the child’s nature and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The objects of research were 20 children, aged 24~35months, from N and S nursery in Gyeongi province and 3 of their teachers. The nature of children aged 2 were classified through surveys done by their mothers. The videos were recorded twice during the children’s free-play time for 15minutes, once with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eacher and once without it. The data was checked every 15 seconds for the duration of play time and level of play according to the subject of play. 30 minutes(120 times of checking) of data was made for each child and 600minutes(2400times of checking) in total.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d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of deviation and ANOVA.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ild’s play time related to the child’s nature that was found through the research. Easy children showed longer duration in their play time compared to other children. Second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ild’s play time related to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that was found through the research. It appeared that the duration of play time was longer when there was intervention from a teacher. Thirdly, there is a difference that can be found in duration of play time related to the child’s nature and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a teacher that was found through the research. Easy children showed long duration in play time unrelated to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from the teacher. However, difficult children showed longer duration in their play time when they had intervention from a teacher. Fourthly,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child’s play related to the child’s nature that was found through the research. It was found out that easy children mostly showed Functional-Relational play and Enactive Naming play, and difficult children mostly showed Functional and Functional-Relational play. Slow-to-warm-up children mostly showed simple actions and Enactive Naming play, and these children were the only group which showed high level of playing, such as planning. Fifthly, there was no difference that could be found in the level of pla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inteference of a teacher. High level of plays like over two times of replacement and planning were only found when there was intervention of a teacher. Lastly, there was no difference that could be found in the level of easy child’s play related to the existence of intervention of a teacher but it could be found in difficult children. Slow-to-warm-up children showed higher level of play when there was no intervention from teac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