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한종임-
dc.contributor.author조아라-
dc.creator조아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6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23-
dc.description.abstract성공적인 외국어학습은 학습자에게 적절한 난이도의 입력을 제공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그리고 듣기 활동은 입력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적 영어학습에 유용한 자료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데, 특히 최근 의사소통중심접근법의 영향으로 실제적 입력이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효과적이라는 주장이 지지를 얻으며 영어교육현장에서 뉴스, 영화, 외국시트콤 등의 실제적 입력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처럼 실생활에서 영어 듣기 입력을 충분히 받을 수 없는 EFL 환경에서 제공되는 실제적 듣기자료는 학습자들의 제한된 영어능력 때문에 의도된 대로의 효과를 내기 어렵고, 학습자들의 동기를 저해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듣기활동에 사용되는 실제적 입력자료를 학습자들의 영어능력 수준에 맞게 조정해 줄 필요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영어 듣기 수업에서는 학생들의 영어능력과 듣기 자료에 쓰인 영어의 난이도의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스크립트를 활용하고 있으며, 집중적 듣기를 통해 사용하고 있다(Kim, 2004). 본 논문은 듣기자료의 내용을 자막이나 스크립트를 통해 제시했을 경우 듣기 능력 향상을 저해하고 학습자들을 읽기 능력에 치중하게 만든다는 비판이 많지만(Rost, 2002; Stewart & Pertusa, 2004) 스크립트가 실제 영어 교육 현장에서 빈번하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였을 때 효과적인 듣기자료의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에 착안하였다. 또한 최근 멀티미디어 기술의 발달과 함께 교육현장에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자료를 사용해 듣기학습이 실시되고 있으므로 스크립트가 멀티미디어 듣기자료와 제시되었을 때 듣기 능력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한국의 영어학습자들이 스크립트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유형이 듣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및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서울소재의 A 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여자대학생 5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피험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는데 각각 스크립트만 주어진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를 사용하는 집단, 입력강화 처치가 된 스크립트가 제공된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를 사용하는 집단, 그리고 스크립트와 입력강화와 특정 단어 및 표현에 대한 우리말 해석까지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를 사용하는 집단의 세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실험은 3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는데, 피험자들은 매 차시마다 서로 다른 동영상을 교실에서 본 후 동영상 내용에 관한 이해도를 평가하는 문제를 풀고 듣기 회상(listening recall) 활동을 한 후 듣기 자료의 내용을 얼마나 이해했는지, 그리고 듣기 자료에 사용된 표현을 어느 정도 능숙하게 사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요약하기 활동을 하였다. 한 회의 교실듣기 활동이 끝나면 인터넷상에서 동일한 동영상을 사용하여 듣기 연습을 한 후 다시 한 번 이해도 평가 문제를 풀고 듣기 회상 활동과 요약하기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교실에서 시행한 듣기 평가 점수와 인터넷에서 시행한 듣기 평가 점수의 차이를 비교하여 듣기 능력의 향상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과 태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주관식 설문과 객관식 설문을 병행하였다. 이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는 듣기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듣기 학습에 있어 스크립트가 효과적인 듣기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의 유형 및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듣기성취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학습자들은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가 듣기에 대한 긍정적 태도와 동기를 유지시켜 주며 듣기를 포함한 언어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특히 스크립트에 주어진 입력강화는 시각적 학습자인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유용한 입력 형태로 듣기자료에 집중을 하고 학습자의 의식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전략 및 학습후행활동이 듣기학습자료의 효과성을 증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스크립트는 멀티미디어 듣기자료에 사용된 어휘나 표현을 이해하게 해 주며 복잡한 구조의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게 해 줌으로써 듣기자료의 효과적인 입력 변형 역할을 한다. 그러나 멀티미디어 듣기자료의 효과 중 읽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집단 간 다른 의견을 보였다.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 중 우리말 해석이 주어진 집단의 학습자들은 다른 집단에 비해 읽기에 미치는 효과 및 문장의 구조적 복잡성을 낮추는 데 미치는 효과를 낮게 평가했는데, 이는 Mayer(2001)의 주장처럼 우리말 해석이 주어진 집단의 경우 시각적으로 너무 많은 정보를 받게 되어 오히려 인지처리에 방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하여 영어교육현장에 제언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효과적인 듣기학습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학습자료에 제공된 스크립트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듣기 과정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노력이 중요하므로, 학습자가 스크립트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지 않도록 다양한 후행 활동과 전략교수가 필요하다. 둘째, 스크립트에 제공된 입력강화를 활용하여 듣기 뿐 아니라 말하기, 읽기, 쓰기 활동에 효과적으로 학습 내용을 확장시킬 수 있다. 셋째,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에 우리말 해석을 제공하였을 경우 학습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해 줄 수는 있지만 듣기 학습에 있어서는 학습자의 인지활동에 부담을 주게 되므로 우리말 해석이 필요한 부분은 듣기 활동 전에 미리 그 의미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스키마를 형성하게 해 주거나, 듣기 활동의 후행 활동을 통해 그 의미를 추론하여 인지적 활동의 깊이를 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듣기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영어 듣기 학습을 위한 다양한 교재와 웹사이트를 통한 듣기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교사 및 영어교재 개발자들은 듣기 학습이론 및 멀티미디어 학습이론에 근거한 다양한 활동을 통해 듣기 및 의사소통적 영어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In foreign language learning, sufficient language input is the key element to successful language acquisition. Listening, therefore, is considered as a useful and important source of input of English learning which enables learners to achieve communicative language proficiency. Moreover, with the rise of communicative approach i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field, authentic listening materials such as news, movies and situation comedy shows are widely used so that English learners can enhance their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y. However, when Koeran learners are exposed to authentic English listening material, authentic materials may be counterproductive in that their lack of English vocabulary and idioms as well as lack knowledge of cultural background of English-speaking countries could lead to learner's low motivation to listen or ineffectiveness of authentic listening materials as Korean learners of English cannot receive sufficient English input in their daily lives in EFL environment of Korea. Thus, it is suggested that English teachers in Korea should modify authentic materials in order that they can be comprehensible to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ypes of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s on Korean EFL learners' listening proficiency and attitude to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0 female students of a university in Korea.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ly, group A using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s with script in listening. Secondly, group B using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s with input-enhanced script in listening. Finally, group C using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s with input-enhanced script which is followed with Korean translations in listening. The subjects had a trial examination of TOEIC listening for the diagnosis of their listening proficiency before the study begins. First listening test using video was given in classroom without seeing script and six days later they were supposed to study with the same video file with script, input-enhanced script and Korean translations in Internet for themselves. After self-study another listening test was given to examine the development of their comprehension of the video content and the retention of vocabulary and idiomatic expressions used in the listening material. In addition, their opinions attitudes toward the three types of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s and web-based listening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by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The major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f the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 on listening. Second,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 is reported to help students to get motivated to listen. Especially, input enhancement in the scripts was so useful in that it makes students focus on input, raise their consciousness so that they can pay attention to listening content to remember and therefore facilitate successful language learning. Thirdly,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 with script help learners understand difficult vocabulary and sentences with complex syntactic structure. But in reading while listening, Korean translation seems to hinder learners' comprehension and cognitive process. Students in group C who received input enhanced script and Korean translation did not think the effectiveness of their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 in reading as highly as other two group's students did because they perceived too much visual information when they listen to the listening material while reading script with Korean translations. Therefore, the time to utilize Korean translation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students reported that they needed to use listening and learning strategies and actively involve themselves into the process of learning that intake and acquisition may occur.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 has positive effects on listening proficiency and other language skills as well as students'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listening. The type of the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listening, but each type also has positives effects on motivation and attitudes toward English listening. Especially, input-enhanced script is reported to have students to focus on the listening material so that retention can be enhanced. Therefore, teachers and task designers should encourage learners to use input-enhanced script in language learning and provide tasks to get students involved in language learning process actively and make use of their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because successful learning requires learners cognition and effort to use what they learned. Moreover, the use of Korean translation and script needs more study so that successful model of listening course using multimedia material can be developed. And last, teachers and task designers should create and provide variety of interesting and motivating listening materials, activities and websites based on listening and learning theories as well as multimedia cognitive theories to provide students with effective listening program so that learners can achieve successful listening competence using multimedi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2 A. 상향식 정보처리의 중요성 = 2 1. 정보처리체계 = 2 2. 상향식 정보처리 과정의 필요성 = 3 B.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의 장점 = 5 C.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의 입력 변형 = 6 1. 멀티미디어 학습자료의 분할제시 = 7 가. 필수적 인지과부하와 분할 원리 = 7 나. 학습자 내적 상호작용 = 8 2. 스크립트와 우리말 해석의 효과 = 9 D.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의 입력강화효과 = 10 1. 형태 초점 교수법과 입력 강화 = 10 2. 이중채널가정 = 12 E. 선행연구 = 13 1. 집중적 듣기 학습 = 13 2. 입력변형으로서의 스크립트의 역할 = 14 3. 입력강화와 멀티미디어 학습의 인지이론 = 14 가. 입력강화에 대한 선행연구 = 14 나. 멀티미디어 학습의 인지적 한계에 대한 선행연구 = 15 Ⅲ. 연구 방법 = 16 A. 연구문제 = 16 B. 실험대상 = 17 C. 실험자료 = 18 1. 각 집단에 제공된 웹페이지 = 18 2. 듣기평가지의 구성 = 23 3.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에 대한 평가설문지 = 23 D. 실험절차 = 25 E. 연구의 제한점 = 27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28 A.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의 유형이 듣기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28 1.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의 유형에 따른 성취도차이 검증 = 28 가. 집단내 사전 및 사후듣기 성취도차이 검증 = 28 나. 집단간 사전 및 사후듣기 성취도차이 검증 = 29 2. 학습자 수준별 성취도차이 검증 = 29 가. 집단내 수준별 사전 및 사후듣기 성취도차이 검증 = 29 나. 집단간 수준별 사전 및 사후듣기 성취도차이 검증 = 30 B.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분석 = 32 1. 스크립트에 대한 학습자들의 반응 분석 = 33 가. 스크립트 활용시기에 대한 반응 = 33 나. 동기부여 및 학업을 지속시켜주는 요인으로서의 스크립트 = 35 2. 입력강화의 영어학습효과에 대한 반응 = 37 가. 주의 집중과 기억에 도움을 주는 입력강화 = 38 나. 듣기 능력 외 다른 언어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39 (1) 긍정적 영향 = 40 (2) 부정적 영향 = 40 3. 우리말해석의 영어학습효과에 대한 반응 = 42 C. 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의 효과성에 대한 학습자의 평가 = 45 1. 입력변형으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학습자 평가 = 46 가. 입력변형으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집단내 평가 = 46 나. 입력변형으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집단간 평가 = 47 다. 입력변형으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집단내 수준별 평가 = 48 라. 입력변형으로서의 효과성에 대한 집단간 수준별 평가 = 48 2. 영어학습효과에 대한 학습자 평가 = 49 가. 영어능력 향상 효과에 대한 집단내 평가 = 49 나. 영어능력향상효과에 대한 집단간 평가 = 50 다. 영어능력향상효과에 관한 집단내 수준별 평가 = 51 라. 영어능력향상효과에 대한 집단간 수준별 평가 = 52 Ⅴ. 결론 = 56 참고문헌 = 59 부록 = 63 ABSTRACT = 9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87533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멀티미디어 듣기학습자료유형이 한국 대학생의 영어듣기성취도 및 듣기자료 효과성에 대한 반응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the Types of Multimedia Listening Materials on Korean EFL Learners' Listening Achievement and Reactions to the effectiveness of the Listening Materials-
dc.creator.othernameJo, A-Ra-
dc.format.pageⅸ, 96-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