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남소현-
dc.creator남소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8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8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교수능력을 증진시키기 위한 기초연구로 현재 유치원에 재직 중인 교사들을 대상으로 유아교사 양성과정에서 수강한 유아음악교육 제반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효과적인 유아음악교육 실시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이 무엇이지에 대한 그들의 의견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교사들의 인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들을 반영하여 현장에 실천 가능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을 계획하고 운영함에 있어 방향을 잡고 개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한다. 이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 떠한가? 2.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의 개선 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소재 유치원과 경기도 소재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의 선정은 교육청에 공개되어 있는 유치원 자료를 토대로 전화를 걸어 허락을 받은 68곳의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치원 교사 300명에게 설문지를 우편 및 직접 방문을 통해 배부하였고 총244부(81.3%) 회수되어 그 중 너무 늦게 회수된 설문지와 응- ⅷ -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여 연구에 부적합한 설문지 32부를 제외한 나머지 212부(70.7%)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현직교사의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기 위해 윤현진(2002), 황해익 외(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에 기초하여 연구자가 직접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정․보완된 설문지는 유아교육과 전공교수 1인으로부터 내용타당도를 검증을 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 대해 알아본 결과, 전반적인 배경에 있어서는 응답자 전원이 유아음악교육을 수강한 것으로 타나났으며 55.7%가 40명 이상의 학생들과 수강하였다고 응답하였다. 한편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의 제반에 대한 인식에서 담당교수의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도에 대해 교사들은 보통수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담당교수의 전문성에 대해서는 보통보다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다. 다음으로 교수방식에 있어서 주된 교수방식에 대한 인식은 1순위와 2순위 모두 음악교육 계획안 작성 및 모의수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들이 가장 원하는 교수방법과 가장 효과적인 교수방법으로도 인식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한편, 교육내용에 있어서 교과관련 교육내용이 교육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노래 부르기 관련내용(M=3.68), 신체표현 관련내용(M=3.51), 악기 다루기 관련내용(M=3.38)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실제 운영방법 관련 교육내용이 교육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정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들은 교육과정 및생활주제에 적합한 음악교육 활동선정에 관련한 교육내용이 실제 교육현장에서 가장 많은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였다.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이 현재의 교수실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부족함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족함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로는 현장과 동떨어졌던 수업내용 때문에로 응답하였다. 또한 구체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현장에서의 음악수업을 계획하고 지도하는 데 도움을 준다(55.29%)로 가장 많이 응답하였고 상대적으로 음악에 대한 흥미나 자신감 형성(8.65%)과 음악적 지식 및 신념에 대한 인식의 전환에 도움을 주었다(1.44%)는 낮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의 개성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은 주로 실제 활동과 관련되어 직접적인 경험에 대한 요구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났다.;This study, as a basic research to enhanc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ability, was attempted with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to determine how they perceived overall status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they took in their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and some improvement measures for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were also explored. Taking into account of their perceptions and opin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measures, basic data will be set to direct and improve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childhood teacher nurture, to plan and operate it with knowledge practicable in kindergarten education fields. Study questions to explore this were as follow. 1.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2. What is the teacher’s opinion regarding the improvement measures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from kindergarten teachers currently working at kindergartens in Seoul and Gyeonggi do. Based on the information of kindergartens opened at district offices of education, 68 kindergartens were selected after getting their consents by calling. Questionnaires were sent 300 kindergarten teachers from the 68 kindergartens by mailing or visiting in person. A total of 244 questionnaires (81.3%) were returned, of them, 212 (70.7%) were used for our analysis except 32 questionnaires which were returned too late or responded unfaithfully, omitting some questions. As instruments, in order to investigate current teachers’ perception of the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kindergarten teacher training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this author modified the questionnaire that was used in Yun Hyeon Jin(2002), Hwang Hae Ik et at’s (2004) studies to use. The modified questionnaire was tested for its content validity by a profess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all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took the course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Of them, 55.7% took part in the course with 40 other students. With regard to children’s music education professor’s understanding of education fields, the teachers perceived it as moderate level, but they perceived professor’s professionality highly. In the teacher’s perception of teaching methods, they perceived writing teaching plans for music and demonstrating teaching practice the most highly. Furthermore, those were found to be the most desirable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in their perception. That is, the most helpful teaching methods in real children’s music education were writing teaching plans for music and demonstrating teaching practice, and these were emphasized and implemented in the curriculum of childhood teacher nurture. With regard to the teacher’s perception of how contents of music education were helpful in real education fields, they perceived the contents in order of sing a song related (M=3.68), physical expression related (M=3.51), and playing musical instruments related (M=3.38). In addition, in the teacher’s perception of how the contents related to how to operate teaching practice were helpful in real education fields, they perceived the contents related to musical activities appropriate to the curriculum and themes from daily living most helped. Most of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the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lacked to influence on current teaching practice. The greatest reason for that was the contents were not related to reality. More specifically, they responded the most frequently to item of “it helped me to plan and teach music.”(55.29%), followed by “it improved interest and confidence in music” (8.65%), and “it helped me to change my musical knowledge and belief” (1.44%). Second, in the results of the teacher’s opinions regarding the improvement measures, their needs were mostly in direct experiences related to actual activities. Thus, it is considered to strengthen practice centered and activity centered curriculums, reflecting the teacher’s requests. However, in order for the teachers to implement children’s music education,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basic knowledge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music, it is required that the instructors who provide children’s music education courses should make great efforts to offer a balanced curriculum with theories and practi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6 A. 유아음악교육 = 6 1.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과 가치 = 6 2. 유아음악교육의 목표 = 9 3. 유아음악교육의 내용 = 11 B.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 = 20 1. 유아교사의 음악적 자질 및 역할 = 20 2. 유아음악교육과정 = 23 Ⅲ. 연구방법 = 27 A. 연구대상 = 27 B. 연구도구 = 28 C. 연구절차 = 29 D. 자료분석 = 29 Ⅳ. 결과 및 해석 = 30 A.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인식 = 30 1.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배경 = 30 2.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 제반에 대한 인식 = 31 B.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40 1. 현장에서의 유아음악교육 실태 = 40 2.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의 개선방안에 대한 의견= 42 Ⅴ. 논의 및 결론 = 44 A. 논의 = 44 B. 결론 및 제언 = 49 참고문헌 = 53 부록 = 58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725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개선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In-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the Status of Children’s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teacher nurture Curriculum and its Improvement Measures.-
dc.creator.othernameNam, So-Hyeon-
dc.format.pagex, 70-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