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은혜-
dc.contributor.author김은영-
dc.creator김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5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81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1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81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가 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 영역과 내용을 밝히고, 각 직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전반적인 인식을 조사하며, 관련 변인에 따른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유치원 교사 교육을 위한 시사점과 정책 제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가 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의 영역과 내용은 무엇인가? 2. 유치원 교사가 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수행 빈도는 어떠한가? 2-2.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중요도는 어떠한가? 2-3.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직무의 난이도는 어떠한가? 2-4. 직무 수행 빈도, 중요도, 난이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가 현장에서 수행하는 직무에 대한 인식은 관련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1. 기관변인(기관의 유형, 보조교사의 유무, 서무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2. 교사변인(직책, 경력,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1번을 위해 문헌연구, 1차 전문가 협의회(워크숍), 사례연구(일기기록법), 2차 전문가 협의회, 전문가 자문, 현장검증을 위한 설문조사의 과정을 거쳤다. 1차 전문가 협의회에는 유치원 원장, 원감 7명이 참석하였고, 사례연구에는 유치원 교사 14명이 참여했으며, 2차 전문가 협의회에는 유아교육 전문가 12인이 참석하였다. 전문가 자문에는 1, 2차 협의회에 참여했던 유치원 원장, 원감 4명과 유아교육 전문가 4인이 참여하였으며, 현장검증을 위한 1차 설문에는 유치원 교사 경력 5년 이상의 교사, 원감, 원장 243명이 참여하였고, 현장검증을 위한 2차 설문에는 1차 설문에 참여하였던 교사, 원장, 원감 중 102명이 참여하였다. 연구문제 2, 3번을 위해서는 연구문제 1번을 통해 나온 내용을 기초로 작성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전국적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유치원 교사 721명이 참여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설문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α 신뢰도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기본배경과 주요변인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또한 연구문제에 따라 평균, 표준편차, 상관관계를 산출하고 t검증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 영역은 교수학습 준비, 교수학습 실제, 교수학습 평가, 전문성 신장, 유아보호 관련 업무, 학부모 관련 업무, 행사 관련 업무, 사무 관련 업무, 시설설비 관련 업무,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의 10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각 영역의 직무내용은 교수학습 준비가 20개, 교수학습 실제가 40개, 교수학습 평가가 12개, 전문성 신장이 20개, 유아보호 관련 업무가 33개, 학부모 관련 업무가 13개, 행사 관련 업무가 10개, 사무 관련 업무가 26개, 시설설비 관련 업무가 8개,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가 8개로 총 190개의 직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수행 빈도가 가장 높은 직무 영역은 교수학습 실제 영역이고, 그 다음으로는 행사 관련 업무, 교수학습 준비, 유아보호 관련 업무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행 빈도가 가장 낮은 직무 영역은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영역이고, 그 다음으로 전문성 신장, 사무 관련 업무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무 영역은 교수학습 실제 영역이고, 그 다음으로는 행사 관련 업무, 유아보호 관련 업무, 교수학습 준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직무 영역은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영역이고, 그 다음으로 사무 관련 업무, 전문성 신장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치원 교사들이 가장 어렵게 생각하는 직무 영역은 학부모 관련 업무 영역이며, 그 다음으로는 교수학습 평가, 전문성 신장, 행사 관련 업무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가장 쉽게 생각하는 직무 영역은 교수학습 실제 영역이고, 그 다음으로 유아보호 관련 업무, 교수학습 준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 중요도와 수행 빈도, 중요도와 난이도, 난이도와 수행 빈도의 상관관계를 유치원 교사 직무 영역별로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 직무의 중요도 인식과 수행 빈도의 상관관계는 모든 영역에서 정적 상관을 이루며 상관계수가 .46~.77로 상관이 있거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무의 중요도 인식과 난이도 인식의 상관계수는 -.06.~.22로 모든 영역에서 상관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 빈도와 난이도 인식의 상관계수도 -.20~.04로 모든 영역에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기관 변인에 따른 직무 인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치원 교사 직무의 수행 빈도, 중요도는 모든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난이도 인식은 기관 유형에서만 차이가 있었다. 기관 유형에 따라서는 국공립 교사가 전문성 신장, 사무 관련 업무, 시설설비 관련 업무 영역에서 직무 수행 빈도가 높았으며, 교수학습 준비, 전문성 신장, 시설설비 관련 업무 영역에서의 중요도 인식이 높았고, 사무 관련 업무와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영역에서의 중요도 인식은 낮았으며, 행사 관련 업무 영역에서의 난이도 인식은 낮게 나타났다. 보조교사의 유무에 따라서는 보조교사가 있는 경우, 사무 관련 업무와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영역에서 수행 빈도가 낮았고,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영역에서 중요도 인식이 낮았으며, 난이도 인식은 차이가 없었다. 서무 유무에 따라서는 서무가 있는 경우, 교수학습 실제와 교수학습 평가 영역에서 수행 빈도가 높았고, 사무 관련 업무 영역에서 수행 빈도가 낮았으며, 학부모 관련 업무, 사무 관련 업무, 대인관계 및 사회적인 업무 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중요도 인식이 높았고, 난이도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일곱째, 교사 변인에 따른 직무 인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유치원 교사 직무의 수행 빈도, 중요도는 모든 변인에서 차이가 있었으나, 난이도는 교사의 경력과 학력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사의 직책에 따라서는 주임교사가 행사 관련 업무와 사무 관련 업무 영역에서 직무 수행 빈도가 높았고, 교수학습 준비, 교수학습 실제, 전문성 신장, 유아보호 관련 업무, 행사 관련 업무, 사무 관련 업무 영역에서 중요도 인식이 높았으며, 난이도 인식에는 차이가 없었다. 교사의 경력에 따라서는 경력이 높은 교사가 직무 수행 빈도와 중요도 인식은 높은 반면 직무 난이도 인식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교사 경력과 마찬가지로 학력이 높은 교사가 직무 수행 빈도와 중요도 인식은 높은 반면 난이도 인식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 직무 내용을 분석한 결과 유치원 교사의 직무가 매우 다양하고 유치원 교사의 직무부담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업무 간소화 및 경감을 위해 교사의 업무를 일정 부분 분담해서 지원해 줄 수 있는 보조교사, 서무, 청소 담당자 등의 인력지원이 절실하다. 둘째, 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유치원에서 수행하는 직무의 핵심이 교수학습 실제 영역으로 나타났다는 점에서 유치원 교사가 교육전문가라는 것에 이론의 여지가 없다. 따라서 교사에게 부여되는 전시적 행사에 대한 인식과 수행에 있어 재고가 필요하며, 유치원 교사들이 어려워하는 학부모 관련 업무에 대한 교육과 이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셋째, 관련 변인에 따른 분석 결과는 사립 유치원에도 국공립 유치원 수준의 연수를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하고, 주임(부장) 교사들의 업무를 덜어주어야 하며, 경력과 학력이 낮은 교사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동시에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직무를 더 많이 수행할 수 있도록 현장의 여건을 개선해야 함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categorization of du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general perception of each duty; to analyze differences according to related variables; and to make suggestions for alternative policies.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scope and the content of the duties that kindergarten teachers have? 2. How do kindergarten teachers generally perceive their duties in the educational field? 2-1. How frequently do kindergarten teachers perform their duties? 2-2. How important do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 their duties? 2-3. How difficult do kindergarten teachers feel each of their duties is? 2-4. What is the correlation among the frequency, the importance, and the difficulty of each duty? 3. Are there any differences i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following variables? 3-1. Are there any differences due to variable characteristics of the kindergarten (type, helper's existence, general operator's existence)? 3-2. Are there any differences due to variables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position, teacher career, academic career)? To answer Question 1 above, this study took a series of approaches including literature reviews, the 1st specialist conference (workshop), case studies (daily record), the 2nd specialist conference, consultation with the specialists, and a survey for on-site verification. Seven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of kindergarten schools attended the 1st specialist workshop, and fourteen kindergarte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case study. Twelve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ttended the 2nd specialist workshop. Four principals and vice principals of kindergarten who attended the 1st and 2nd specialist workshops and four specialis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consulted. In total, 243 respondents including kindergarten teachers, vice-principals, and principals of kindergarten with a minimum of 5 year teaching experience, participated in the first survey for on-site verification. Next, a total of 102 respondents who already provided answers in the first survey took part in the second survey. To answer Question 2 and 3,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content collected from Question 1 was distributed to kindergarten teachers nationwide, of which 721 teac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The Cronbach Alpha Test was applied to assess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and frequency as well as percentage was calculated to understand the subjects' backgrounds in relation to major variables. Furthermor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rrelations were calculated. T-test and one-way ANOVA were also conducted.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cope of kindergarten teachers' duties can be subdivided into the following 10 categories: 1) preparation for teaching, 2) practice of teaching, 3) assessment of teaching, 4) professional development, 5) tasks related to infant protection, 6) tasks related to parents, 7) event-related tasks, 8) administrative tasks, 9) tasks related to facilities, and 10) interpersonal and social tasks. In detailed views of the categorized duties,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carry on a total of 190 duties: preparation for teaching (20), practice of teaching (40), assessment of teaching (12), professional development (20), tasks related to infant protection (33), parent-related tasks (13), event-related tasks (10), administrative tasks (26), facility-related tasks (8), and interpersonal and social tasks (8) respectively. Second,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carried out the practice of teaching task at the highest frequency, which was followed by event-related tasks, preparation for teaching, and tasks related to infant protection respectively. Notably, it was also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performed interpersonal and social tasks at the lowest frequency, which was followed by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administrative tasks. Third,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considered their practice of teaching most important, then event-related tasks, tasks related to infant protection, and preparation for teaching respectively. It was noted that they valued interpersonal and social tasks least, which was followed by administrative task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kindergarten teachers felt parent-related tasks to be the most difficult, followed by assessment of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event-related task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practice of teaching was deemed to be the easiest. This was followed by tasks related to infant protection, and preparation for teaching. Fifth, this study examined three major correlations: importance of the duties and frequency of performing the duties; importance of the duties and difficulty of the duties; and difficulty of the duties and frequency of performing the duties of kindergarten teach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their duties and the frequency of performing their duties, with a ver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46~.77) in all categori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littl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importance of the duties and the difficulty of performing those duties, as seen by a low correlation coefficient of -.06~.22.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frequency of performing the duties and the perception of the difficulty of the duties. This relation had a very low coefficient; -.20~.04 in all categories. Sixth,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according to variables in institution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requency of the performance of duties and the importance of each duty changed with each of the institution variables (type, helper's existence, general operator's existence), and that the difficulty of each duty varied only with institution type. When grouped by institution type, national/public school teachers indicated a high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that were related to professional development, administrative tasks, and facility-related tasks.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facility-related tasks was high, and thei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dministrative tasks, and interpersonal and social tasks was low. Also, national/public school teachers' perceived difficulty of event-related tasks was low. When helpers existed, teachers showed a low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in the administrative tasks and in the interpersonal and social tasks groupings. Additionally, thei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performing interpersonal and social tasks was low.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difficulty of each duty. With the existence of general operators, teachers showed a high frequency of performing their duties in the practice of teaching and the assessment of teaching groupings, but the frequency of performing administrative tasks was low. They also showed a high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all areas, except for parent-related tasks, administrative tasks, and interpersonal and social task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erceived difficulty of each duty. Seventh,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stemming from variables in kindergarten teachers'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and the perceived importance of each duty according to all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position, teacher career, academic career), a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difficulty of each duty according to the kindergarten teacher's teaching career and academic career groupings. Based on the analysis involving the positions of the teachers, teachers-in-charge showed a high frequency of performing event-related tasks and administrative tasks. They showed a hi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reparation for teaching, practice of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tasks related to infant protection, event-related tasks, and administrative task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difficulty of each duty based on the kindergarten teacher's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teacher's career, experienced teachers showed a high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and a hi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duties. However, their perceived difficulty of each duty was low. Depending on the teachers' education, teachers with higher education showed a high frequency of performing duties and a hi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duties, but their perceived difficulty of each duty was low, just as in the case of experienced teacher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after the content of kindergarten teachers' duties was analyzed, it was noted that their duties vary and the variation in the levels of their responsibility is high. Therefore, labor support from helpers, general operators, and janitors should be given to kindergarten teachers in order to simplify and reduce their duties. Second, after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duties was analyzed, no results contradicted the statement that kindergarten teachers are indeed education professionals since the focus of their performed duties is on the practice of teaching. This implies that the practice of assigning kindergarten teachers display event duties needs to be reconsidered. Likewise support and training for how to deal with parent-related tasks should be an essential practice since kindergarten teachers have difficulties with these tasks. Third, the results from the variable correlation analyses suggest that private kindergartens are in need of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equivalent to that of national/public kindergarten schools.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education field conditions need to be improved by assigning teachers-in-charge less duties and teachers with less teaching experience and education less pressure to fulfill duties; when teachers of the latter are assigned to duties, they should be given dut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직무분석의 개념 및 방법 = 8 1. 직무분석의 개념 = 8 2. 직무분석의 방법 및 절차 = 9 3. 직무분석의 활용 = 16 4. 직무분석에 관한 연구 = 19 B. 유치원 교사의 직무 = 22 1. 유치원 교사의 역할 = 22 2. 유치원 교사의 직무 = 27 3. 유치원 교사의 직무와 전문성과의 관계 = 31 4. 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관한 연구 = 37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41 A. 문헌연구 = 44 B. 1차 전문가 협의회: 워크숍 = 45 C. 사례연구: 일기기록 = 48 D. 2차 전문가 협의회 = 52 E. 전문가 자문 = 54 F. 현장검증을 위한 설문 조사 = 55 G. 직무에 대한 인식 조사를 위한 설문 조사 = 62 Ⅳ. 결과 및 해석 = 69 A. 유치원 교사의 직무 영역과 내용 = 69 B. 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 80 1. 직무 수행 빈도 = 80 2. 직무 중요도 = 84 3. 직무 난이도 = 87 4. 직무의 수행 빈도, 중요도 난이도의 상관관계 = 90 C. 관련 변인에 따른 직무 인식 = 92 1. 기관 변인에 따른 인식 = 92 2. 교사 변인에 따른 인식 = 107 Ⅴ. 논의 및 결론 = 123 A. 논의 = 123 1. 유치원 교사의 직무 영역과 내용 = 123 2. 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대한 인식 = 125 3. 관련 변인에 따른 직무 인식 = 140 B. 결론 및 제언 = 148 1. 결론 = 148 2. 제언 = 151 참고문헌 = 156 부록 = 172 ABSTRACT = 2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894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유치원 교사의 직무 분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Job analysis of kindergarten teachers-
dc.creator.othernameKim, Eun-Young-
dc.format.pageix, 208-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유아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