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의 타당화 및 학습능력과의 관계

Title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의 타당화 및 학습능력과의 관계
Other Titles
A validation study on the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scale of young children and its relationship with learning ability
Authors
곽아정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이기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K-LRSS) scale for young children,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with age or gender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and learning ability of young children.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s stated above are: 1. How valid and reliable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K-LRSS) scale for young children? 1-1. How valid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scale for young children? 1-2. How reliable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scale for young children? 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ge or gender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2-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age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2-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gender in th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3. What relationship exists between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and young children's learning ability? 3-1.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and young children's language ability? 3-2.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learning-related social skill and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This research verified the K-LRSS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by collecting data from target subjects (955 four- year-old and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Daejeon, Chuncheon, Jeonju, Gyeongbuk and Busan. This research verified a correlation between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and learning ability by targeting a total of 145 young children(75 four-year-old and 7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four national and public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do Province by using verified research tools. The procedure for this research consisted of four parts: 1) Pilot study, 2) Validation study, 3) Questionnaire evaluation, 4) Learning ability test. The Learning Related Social Skill Scale developed by McClelland(2002) was used after a validation process adjusted it to be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s. For a testing tool, the Cognitive Judgment Drawing Test(Shin, 2002) was used to test young children's verbal understanding and the Drawing Vocabulary Ability(Kim, Jang, Lim, & Baek ,1995) was used to test vocabulary ability. In addition, reading was evaluated using the KEDI Basic Learning Ability Test (Park, Yun, & Park, 2001). The Test of Mathematical Ability of Young Children by Choi(2003) was used to measure young children's mathematical ability. For data analysis, content validity via experts' content analysis, construct validity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K-LRSS scale, and concurrent validity using PBSYC by Young-ok Kim(2003) were tested. In addition, reliability was tested with the Cronbach's alph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a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exhibited as follows: First, content,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ity of K-LRSS were found to be high. Based 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5 questions in the four constructs - Mastery, Assertion, Self-regulation, and Adaptability - were confirme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74 based on the concurrent-related evidence of validity by PBSYC(Kim, 2003). Therefore, the K-LRSS scale's concurrent validity was confirmed to be high. In the case of reliability, Cronbach's alpha was .94 and the reliability by sub-domain was high, between .68 and .92. Second, in terms of the scores of each sub-domain and the total scores on the K-LRSS, five-year-old children scored higher than four-year-old children. Additionally, the average scores of girls were higher than boys. Third, learning-related social skill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language and mathematical abilities of four-year-old and five-year-old children.;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K-LRSS)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고,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의 발달이 연령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또한,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과 유아의 학습능력이 어떠한 관련성을 갖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척도(K-LRSS)의 타당도와 신뢰도는 어떠한가? 1-1.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척도(K-LRSS)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1-2.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척도(K-LRSS)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2.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유아의 연령,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과 유아 학습능력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유아의 언어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3-2.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유아의 수학능력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는 전국 7개 지역(서울, 경기, 대전, 춘천, 전주, 경북, 부산)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14개 기관의 만 4, 5세 학급 유아 95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K-LRSS)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화 작업을 통하여 수정된 연구도구를 사용하여 경기도 소재 4개 국․공립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4세 학급 유아 75명, 만 5세 학급 유아 70명 총 145명의 유아와 그들의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과 학습능력과의 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연구는 예비연구, 타당화 연구,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평정, 학습능력 검사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McClelland(2002)가 개발한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척도를 한국적 상황에 맞게 타당화 과정을 거친 뒤 사용하였다. 검사도구는 유아의 언어이해력을 측정하기 위해서 신종호(2002)의 인지판단 그림검사, 어휘력 측정을 위해서는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1995)의 그림 어휘력 검사, 읽기능력 측정을 위해서는 박경숙, 윤점룡, 박효정(2001)의 기초학습기능검사 중 읽기 Ⅰ,Ⅱ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수학능력 측정은 최혜진(2003)의 유아수학능력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척도(K-LRSS)의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의 내용분석에 의한 내용타당도, 요인분석을 통한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으며, 내적 일치도 계수인 Cronbach α 계수를 통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t 검증과 상관분석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척도(K-LRSS)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의 모든 측면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숙달, 자기주장, 자기조절, 순응의 4가지 요인, 35문항이 확인되었다. 김영옥(2003)의 친사회적 행동평가 척도를 준거로 공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상관계수가 .74로 나타나 한국판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척도(K-LRSS)의 공인근거도 높은 편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의 경우 전체 문항에 대한 내적일치도 α 계수는 .94이며, 하위 영역별 신뢰도 또한 .68에서 .92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하위 영역 및 전체점수에 있어 만 4세반 유아보다는 만 5세반 유아들이 높게 나타났으며, 남아보다는 여아들의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유아의 언어능력 및 수학능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은 유아의 언어능력 총점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언어능력의 하위요인으로 살펴본 언어이해력, 어휘력, 읽기는 만 4세 학급 유아의 언어이해력을 제외하고 모든 하위요인 및 총점에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유아의 수학능력 또한 사물규칙성, 수개념, 기하, 측정의 모든 하위영역 및 총점에서 유아의 학습과 관련된 사회적 기술 총점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유아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