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에 관한 연구

Title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the social network of the mental disorders
Authors
정현미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정신장애의 경우 질병의 특성상 높은 재발율을 보이며 만성화되는 경향이 강해 장기치료를 요하는 경우가 많고, 일차적 증상이 완화되어 퇴원한 후에도 의료적인 문제뿐만 아니라 질병으로 인해 야기된 사회․심리적 문제, 대인관계 문제, 경제적 문제 등 지역사회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에 계속적으로 직면하게 된다. 정신장애인의 치료적 특성을 고려해볼 때 정신장애인을 사회로 복귀시켜 그들이 속해있는 지역사회에서 장기적이며 사회적 지지체계의 구축을 통하여 인간관계를 맺고 가정생활, 직장생활, 사회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독자적, 자율적으로 살아가도록 돕는 사회사업적 개입의 궁극적인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회사업적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방법적인 면을 제시해주는 것이 사회관계망 이론인데 사회관계망은 정신장애인의 재활에 중요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장애인들이 갖고 있는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이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사회관계망의 정도(접촉빈도, 크기)가 어떻게 정신장애인에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해봄으로써, 정신장애인들의 향후 사회적응에 사회적 관계망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 가늠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정신장애인들의 사회관계망의 구조적특성과 기능적 특성(지지의 정도)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이들의 사회적 관계망의 구조와 기능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고 예방 및 치료적 개입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복지 차원에서의 정책적, 임상적 의의를 찾는데 있다. 본 연구는 서울ㆍ경기지역의 지역사회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 106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는 Tracy & Whittaker가 개발한 Social Network Map(사회관계망분포)과 Social network Grid(사회관계망의 구조와 기능)를 사용하였다. 사회관계망척도는 사회관계망의 크기와 유형 및 교제기간, 접촉빈도를 파악하는 구조적측면과 기능적 측면인 사회적지지의 4개 유형인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로 구분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통계기법으로는 빈도 및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방법과 t-test, ANOVA 및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구조적특성 중 관계망의 크기는 평균 7.42명으로 나타났으며 정신장애인들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성별, 연령, 학력, 종교, 거주형태, 동거인 수, 경제수준, 결혼여부)과 정신장애관련변인(진단명과 입원횟수)은 사회관계망의 크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관계망의 유형을 7개 즉 가족, 친인척, 학교․직장친구, 병원친구 또는 센터(기관)의 친구, 이웃, 교회나 모임, 전문가(의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상담자등)로 범주화하였는데 그 중 가장 많이 관계를 맺고 있는 유형에는 가족(31.9%) 그 다음으로 전문가(의사, 사회복지사, 간호사, 상담자등)에 21.6%,그리고 19.4%가 친인척과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 직장친구 그리고 계, 모임, 종교는7.8%, 병원 또는 센터친구는 6.3%, 이웃은 5.3%를 차지하였다. 사회관계망의 범주 내에서 그들이 평균적으로 몇 명의 사람들과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족은 2.3명, 친인척은 1,4명, 학교․직장 0.6명, 병원 또는 센터친구 0.5명, 이웃 0.3명, 종교․계모임․클럽 0.5명, 전문가 1.5명과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제기간은 가족과 친인척의 경우에는 10년 이상의 지속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이웃은 1년 미만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접촉빈도에서는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1~2번 정도로 나타났다. 2. 사회관계망 안에서 기능적 특성은 3점 척도에서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서적지지(2.05), 평가적 지지(1.94), 정보적 지지(1.91), 물질적 지지(1.67), 비판적 지지(1.65)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사회관계망의 크기와 기능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정서적지지r=0.482( p<.001), 평가적지지r=0.423(p<.001), 정보적지지 r=0.411 (p<.001), 물질적 지지r=0.295(p<.001), 비판적 지지 r=0.309(p<.001) 수준에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크기 및 사회적 지지의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감안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크기와 유형을 확장할 수 있는 사회사업적 개입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장애인의 사회관계망의 구조적, 기능적 특성을 활용하고 확대하여 사회복귀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원을 연결하고 지역사회 내에서의 네트워킹을 구축하는 전문적인 사회사업적 개입과 동시에 그들의 관계망이 넓어질 수 있는 전달체계 및 정신보건서비스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In the case of mental disorder, it shows high recurrence rate and needs long-term treatment. After primary symptoms are mitigated and leaving hospital, it faces various problems within local community life continuously such as psychological problem, personal relations problem and economical problem caused from disease as well as medical treatment. When considering mental disorder person's treatment, ultimate purpose of treatment is social intervention to help people live independently. It reinstates mental disorder persons to society, makes them to form human relations and adapt successfully to family life, company life, and civil life through long-term construction of social support in local community. Social network theory shows method of social work intervention and importance of mental disorder person's rehabilitation. Purpose of this study is promoting comprehension about mental disorder person who is living in local community, grasping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 person's social network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intervention and finding political, clinical sense in social welfare. Hereupon, in this study, mental disorder person's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 of social network is examined and how measure (contact frequency, size) of social network affects to mental disorder person is examined. So, I wish to recognize what some role of social network can make mental disorder person adapt society later. This study is investigated by 106 mental disorder persons using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and rehabilitation through questionnaire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Investigation method of this study is Social Network Map and Social network Grid that Tracy & Whittaker developed. Society network measure is divided by structural side of size, type, relationship period and frequency of social network and by functional side of emotional support, material support, information support and estimation support that is 4 type of social support. Collected data is analyzed using SPSS 12.0, and utilizing frequency, percentage t - 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s a statistics method. If summariz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1. Size of mental disorder person amo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ppeared to average 7.42 people. There is no significance statistically between population sociology factors (sex, age, education, religion, type of living, cohabitation number, economy level, marital status) of mental disorder person and mental disorder related factors (name of disorders, times of hospitalization) in case of social network size. Type of social network is categorized to 7 types such as family, relatives, schoolfriends/co-workers, hospital/center friends, neighbors, church/meeting and expert (doctor, social worker, a nurse, consultant etc.). Most relation forms in family (31.9%), second is expert (21.6%) and third is relatives (19.4%). schoolfriends/co-workers and church is 7.8%, hospital or center friend dominates 6.3%, and neighborhood dominated 5.3%. If examine how many people averagely they are forming relation within category of social network, it is recognized that family is 2.3 people, relatives is 1.4, school fiends/co-workers is 0.6, hospital/center is 0.5, neighborhoods is 0.3, religion/meeting/club is o.5 and experts is 1.5 people. Social relation period is forming more than 10 years continuously in case of family and relatives, and neighborhood was forming relation less than 1 year. Contact frequency appeared 1~2 in a week average. 2. If a functional characteristic is examined in 3 points measure within society network, in order of emotional support is 2.05, estimation support is 1.94, information support is 1.91, materials support is 1.67 and critical support is 1.65. 3. If interrelation between size of social network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is examined, interrelation appeared by which is levels of emotional support r = 0 482 ( p <. 001 ), estimation support r = 0 423 (p <. 001), information support r=.411 (p <. 001), material support r = 0.295 (p <. 001), critical support r = 0.309 (p <. 001). On the basis of this study, it needs social work intervention plan to extend mental disorder person's social network size and category considering there is significance of mental disorder person's social network size and social support. Also development and research of mental health service and transmission system is needed to extend their social network with taking advantage of and expanding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ental disorder person's social network, connecting useful resource for quality of life and rehabilitation in society and constructing network of professional a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n local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