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주-
dc.contributor.author송영랑-
dc.creator송영랑-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1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6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7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69-
dc.description.abstractThe Seventh National English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s on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grated uses of four skills in language. In order to develop this communicative skills, it should be necessary to understand and teach vocabulary. A number of researches based on the importance of vocabulary have focused on individual single word.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based language corpora and lexical approach,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recognized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English language is mainly composed of lexical phrases or chunks. That collocations allow us to think more quickly communicate more efficientl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notice and acquire prefabricated multi-word unit. What is obvious is that what the language learners are exposed to from earliest stage is crucial.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eaching English collocations using English Television program for children on Korean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 of English collocation, vocabulary strategy, and attitude. For this study,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four weeks with 182 six-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as provided with moving images and the control group was provided with reading materials with pictures. Both groups were equivalent with the process of instruction, observe -hypothesize-experiment. The results of statistics and qualitative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achieved significantly better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and immediate test, which means that televis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ollocation development. Second, all the vocabulary proficiency-level group were affected by the methods of collocation learning. The upper proficiency level students and the low proficiency level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velopment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 test. However in immediate test low proficiency level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Third, as the result of surveys researching the effects on vocabulary strategy and learning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learners, social strategies, memory strategies, cognitive strategies, metacognitive strategies, interest and video in experimental group have been advanced positively. This finding displays that the class applying video material had more positive educational effects in the affective aspects of learners. Fourth, as the result of analyzing their scores of the test of experimental group, it was shown that the students got high scores on the questions which the meaning of collocation matches with the translation and they got low scores on the questions which the meaning of collocation does not match with the translation. Reliance on L1 often produced lexical errors and unnatural expres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using materials and various activities which arouse students’ interes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ollocation learning process, vocabulary strategies, and English learning attitude. When the teachers teach collocations to the students, they should teach the chunks to them and should make students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collocation meaning and the translation context naturally. In order to design an effective collocational syllabus for moving images teachers need to analyze students’ needs and motivations. Furthermore a collocational syllabus can be mixed with a skill-based syllabus or a task-based syllabus.;제 7차 교육과정에서 영어과의 목표는 기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으로 의미의 전달 및 표현과 관련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네 가지 언어 기능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 충분한 어휘를 학습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휘의 중요성과 관련되어 이루어진 여러 연구는 주로 개별적인 어휘 항목 습득에 초점을 맞추어 왔으나 최근에는 진정성이 있는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한 코퍼스(corpus) 연구의 발달과 단어들이 자연스럽게 함께 결합되어지는 현상이 의사소통 중요한 부분이라는 인식하에 어휘 접근법(Lexical Approach)이 대두되면서 연어(collocation)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강조되고 있다. 연어는 기억하고 표현할 때 효과적이며 유창하고 정확한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외국어 학습 초기 단계에서부터 실제 영어 수업에서 명시적으로 지도하거나 노출 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아동들을 위한 교육용 영어 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어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연어 학습 효과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어 학습을 실시하였는데 실험 집단인 동영상 자료 집단에게는 해당 프로그램을 제공하였고 통제 집단인 읽기 자료 집단에게는 프로그램 화면을 캡처한 그림과 함께 목표 연어가 있는 문장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자료 이외의 변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두 집단 모두 어휘 접근법에 근거한 수업절차(관찰-가설-실험)를 따라 의미 발견 전략을 이용한 소집단 협력 학습과 어휘 강화 전략을 이용한 개별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수업 2주 후 실행된 사후 연어 평가 결과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로 평균이 향상 되었다. 이때 동영상이 제공된 실험 집단이 읽기 자료가 제공된 통제 집단보다 연어 평가 점수가 높았다.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연어 학습 향상도의 경우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상·하위 학습자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사후 평가 결과 실험 집단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이 통제 집단의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보다 평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동영상을 제시하는 어휘 지도법의 차이는 상위 집단의 학습자는 물론 하위 집단의 학습자에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연어 습득의 단기적 효과를 보는 수업 직후 평가에서도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은 평균을 보여주어 동영상이 초등학생의 연어 학습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상위 집단의 경우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의 차이는 거의 없었으나 하위 집단의 경우 실험 집단이 통제 집단보다 높은 평균을 보여준다. 이는 동영상을 제시하는 지도법이 하위 집단의 단기 연어 어휘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어 학습의 장기 효과를 보기 위해 사후 평가와 차시별 수업 직후 평가의 평균차를 살펴본 결과 7차 수업과 관련된 문항을 제외하고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자료의 유형이 학습된 어휘를 장기적으로 기억하는데 크게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넷째, 아동용 영어 방송프로그램을 활용한 연어 학습이 어휘 학습 전략과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서는 어휘 학습 전략의 경우 실험 집단의 전반적 향상과 통제 집단의 전반적 하락의 결과 인지 전략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간의 유의한 차이를 가져왔다. 영어 학습 태도의 전반적인 영역에서도 실험 집단의 평균이 더 높은 결과를 가져왔고 특히 흥미도와 비디오에 대한 태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다섯째, 실험 집단 학습자들의 연어 평가 결과와 오답 유형을 분석해 보면 우리말 번역과 영어가 일치하지 않는 문항에 비해 일치하는 문항의 점수가 높았다. 이것으로 EFL 초등학교 학습자들의 연어적 오류는 모국어의 전이에서 기인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위한 연어 학습에 관한 연구 및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연어에 대한 지식은 EFL 학습자가 목표 언어에 단순히 노출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외국어 학습 초기 단계부터 어휘 지도와 함께 명시적으로 연어를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어휘를 지도할 때 그 어휘가 자주 결합하는 연어 쌍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수준과 흥미에 맞는 활동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또한 연어에 대한 연구와 관련하여 영어 방송 프로그램을 연어 지도에 활용하기 위하여 자료의 선정 및 지도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진정성 있는 실제 자료를 바탕으로 연어에 관한 교수요목이 개발되고 더 나아가 언어 기능 중심 교수요목이나 과제 중심 교수요목과 연계되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ii 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4 A. 어휘 접근법 = 4 1. 어휘와 어휘 항목 = 4 2. 어휘 학습 이론 = 5 B. 연어의 정의와 유형 및 지도 방법 = 7 1. 연어의 정의 = 7 2. 연어의 유형 = 9 3. 연어 학습 활동에 관한 연구 = 13 C. 선행연구 = 15 1. 어휘 지도 방법에 관한 연구 = 15 2. 연어 습득에 관한 연구 = 20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5 A. 연구 문제 = 25 B. 연구 대상 = 26 C. 연구 자료 = 27 1. 어휘 능력 평가지 = 27 2. 설문지 = 28 D. 연구 절차 = 31 1. 실험 이전 절차 = 31 2. 실험의 주요 활동 = 34 3. 실험 이후 절차 = 39 E. 연구의 제한점 = 40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 41 A. 연어 학습 효과 비교 = 41 1. 자료 유형이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1 2. 자료 유형이 단기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5 3. 자료 유형이 장기 연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 = 49 B. 실험 집단 학습자의 연어 평가 결과 분석 = 53 C. 연어 학습이 어휘 학습 전략 및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56 1. 자료 유형이 어휘 학습 전략에 미치는 영향 = 56 2. 자료 유형이 영어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62 D. 연어 학습 활동에 대한 학습자 반응분석 = 66 Ⅴ. 결론 = 72 참고문헌 = 76 부록 = 82 Abstract = 10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38454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동용 영어 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어 학습이 초등학생들의 영어 연어 습득과 어휘 학습 전략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 of Teaching English Collocations through Television Program for Children on Korean Elementary Students’ Development of Collocations, Vocabulary Strategy, and Attitude-
dc.creator.othernameSong, Young-Lang-
dc.format.pagexi, 102-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영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