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현아-
dc.creator김현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2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20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3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309-
dc.description.abstractBangujangkeng Bottle was produced over the whole period of Goryeo Dynasty, and its production and consumption was widespread since it was made from various materials into celadon, white porcelain, earthenware as well as metal wares. Nevertheless, enough discussion about Bangujangkeng Bottle has not been brought for many reasons, which are often attributed to insufficient data which indicate the production period of Bangujangkeng Bottle and lack of understanding the use and importance of Bangujangkeng Bottle. In addition, it has failed to draw lots of attention from researchers since the coarse quality products outnumber good quality ones with no literature about it around. For these reasons, Bangujangkeng Bottle has not been brought up for discussion subject for a long time although a huge amount of them are still existing. However, now it is possible to grasp the form developments of Bangujangkeng Bottle and rearrange them in a chronological order since recently there has been considerable amount of study about it by excavating and surveying each of the production sites of Goryeo Dynasty. Also, Bangujangkeng Bottle has been found among ruins such as ancient tombs, temple, and building site besides those production sites, which allows u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the kinds of remains. This thesis limits the discussion only to Bangujangkeng Bottle made of chinaware. However, Bottle with lip shaped of Bangu started to be produced during the Dynasty of the Three States, originating from China, so it is possible to presume how the production technique of Chinese celadon porcelain was introduced, accepted, mixed with the existing porcelain production technique, and finally prospered by studying the developments of Bangujangkeng Bottle based on the introduction period of Chinese celadon porcelain technique. To do so, the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Bangujangkeng Bottle have been studied considering kiln and production period; the form developments have been analyzed; and then, how they were distributed and used out of the production sites has been studied through analyzing the ruins. Bangujangkeng Bottle of chinaware started in the same form as Bangujangkeng Bottle made of cay of the United Silla Dynasty which has a long neck with the body shaped like an oval and then they transformed into what has more ample body with wider shoulders narrowing in the lower part. During the mid-Goryeo period, more various kinds of Bangujangkeng Bottle appeared as the body became narrower, and the lower part stretched outwards or the shoulders got more square-shaped. As for the lower part developments, firstly, Dari-gub stretching outwards appeared, followed by An-gub and flat foo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tyles of lower part vary depending on quality and consumer. Various kinds of techniques used for the patterns on Bangujangkeng Bottle, which are more likely to have patterns in contrast with common situations at production sites. Also, Bangujangkeng Bottle with design painted with material containing iron(cheolwha) greatly outnumbers any other type among Bangujangkeng Bottle with patterns. Usually, the design painted with material containing iron was only given to certain types including , oil bottle, pillow as well as Bangujangkeng Bottle, which is thought to be due to its function for rituals. Frequent appearance of pattern of material containing iron on Bangujangkeng Bottle reflects its common function as a burial accessory, and for this reason, Bangujangkeng Bottle can be easily found in the ancient tombs of Goryeo Dynasty. Intaglio, the earliest type among patterns on Bangujangkeng Bottle, is mainly the design of lotus flower and was produced mostly in Kangjin. In the meantime, the patterns made by Bakwha and inlaying have been rarely found, but the Bangujangkeng Bottle with those patterns are thought to have been produced after 13th century judging by its form, serving as important standard for setting chronological arrangement. Especially, the patterns of inlay are different from those on Buncheng, which shows that Bangujangkeng Bottle developed until the mid 14th century. As stated above, Bangujangkeng Bottle started to be produced during the Dynasty of the Three States, and the production of Bangujangkeng Bottle began during United Silla Dynasty. However, Bangujangkeng Bottle made of Ceramic have been found in Bangsandong which is an important place for earlier development of celadon porcelain of Goryeo Dynasty, and Bangu Bottle with flat face appeared in the clay-bulit kiln of Southern province which had produced black-glazed Bangsandong Bottle as well. More active production of Bangujangkeng Bottle made Ceramic commenced in the clay-kiln of the southern province such as Kangjin. This indicates that types of have something to do with skill of built kiln. Also, even though Bangujangkeng Bottle were Bangu Bottle made into porcelain and black-glaze as well as celadon, the production of each type occurred separately; while Bangujangkeng Bottle of porcelain was produced in the mid-west part, black-glazed Bangujangkeng was produced in the southern part. This shows that the Bangujangkeng Bottle excavated in clay-built kiln are quite different from those excavated in brick-built kiln in terms of material as well as form. As a result, it has been confirmed that Bangujangkeng Bottle was produced in clay-built kiln of the southern province along with Hemurigub-bowl, strongly influenced by clay. In addition, these production differences show that there was fundamental difference in background even though apparently brick-built kiln of the mid-southern part and clay-built kiln of the southern part influenced each other. Bangujangkeng Bottle have been found in various remains of Goryeo Dynasty, but are mainly concentrated on the ancient tombs. Though they have been found in other remains besides ancient tombs, they are mostly Bangudankeng Bottle made of clay or Bangu Bottle with flat face.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Bangujangkeng Bottle of ceramic or porcelain were not used for practical purpose at all since ruins are commonly open space unlike ancient tombs and have longer than ruins, which often leads to destruction of remains during excavation. Nevertheless, at almost every ancient tomb Bangujangkeng Bottle have been found, and this clearly shows that they were commonly used as burial accessories at that time.;반구장경병은 고려시대 전 기간에 걸쳐 생산되었으며 청자, 백자, 도기뿐만 아니라 금속기로도 만들어지는 등 재료에 구애됨 없이 널리 생산․소비되던 기종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반구병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못한 것은 반구병의 제작시기를 알려줄만한 편년자료가 드물고 반구병이란 기종의 용도에 대한 이해와 그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한데 있다고 하겠다. 더구나 반구병은 양질보다는 조질이 많으며 문헌기록이 남아 있지 않아 연구자들의 관심을 끌지 못해 왔다. 이런 이유 때문에 현존하는 수량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논의의 대상이 되지 못했던 것이다. 그러나 각지의 고려시대 가마터에 대한 발굴․조사가 실시되고 이에 대한 연구 성과가 상당부분 축적된 현 시점에서는 반구장경병의 형식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따라 편년을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생산지 이외에 고분과 사지, 건물지 등의 소비유적과 해저 인양품 중에서도 반구장경병이 발견되고 있어, 시기 구분뿐만이 아니라 공반 유물들과의 상관관계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논 논문에서는 논의의 대상을 자기질의 반구장경병으로 한정하였다. 그러나 반구형 구연의 병은 삼국시대부터 만들어져 왔으며 그 연원은 중국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므로 청자 기술의 도입 시기를 기준으로, 반구장경병의 변화양상을 살펴보면 중국의 청자 기술이 우리나라에 어떻게 도입되고 수용되었는지, 그리고 기존의 도기기술과 어떻게 융합되고 발전되었는지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각 요지의 층위관계와 요업시기를 고려하여 반구장경병의 형태와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반구장경병의 기형변화를 분석해 보았다. 그 후 고분, 사찰, 주거지 등의 소비유적을 통해 생산지에서 만들어진 반구장경병이 어떻게 유통되고 사용되었는지 알아 보았다. 반구장병경은 목이 길고 동체가 卵형인, 통일신라시대 인화문이 시문된 도기질의 반구장경병과 동일한 기형으로 출발하여 어깨가 넓게 벌어져 동체가 풍만하고 저부에서 폭이 줄어드는 기형으로 변화한다. 그 후 고려 중기 이후로 가면 동체의 폭이 좁아지며 저부가 외반되거나 견부가 각이 지는 등 다양한 형태의 반구장경병이 등장하게 된다. 저부는 밖으로 외반 되는 다리굽이 가장 먼저 등장하고 그 다음으로 안굽, 평저의 순으로 나타나나, 품질과 소비층에 따라 저부의 형태는 선택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구장경병에는 음각․철화․상감․백화 등 다양한 기법으로 문양이 표현되어 있는데, 무문보다 유문의 비율이 높아 생산지에서의 일반적인 현황과 상반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문양이 있는 반구병 중에서는 철화반구장경병이 압도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철화문은 반구장경병을 비롯해서 장고․유병․매병․베게 등 특정 기종에만 한정적으로 시문되는데, 이것은 철화문이 의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반구장경병에 철화문이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도 반구장경병이 가지고 있는 부장품으로서의 특성에 기인하는 것으로서, 실제로 각지의 고려시대 고분군에서 철화문반구장경병을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음각문은 반구병의 문양 중 가장 이른 시기에 나타나는 것인데, 연판문이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강진 용운리를 중심을 제작되었다. 이 밖에 백화․상감 등의 문양은 그 출토 예가 매우 적지만, 이들 문양이 시문된 반구장경병은 기형상 13세기 이후에 생산된 것으로 보이므로, 시기 판단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있다. 특히 상감문의 표현은 분청자에서 보이는 것과 달라 ,반구장경병의 하한이 14세기 중반 경임을 짐작하게 한다. 반구형 구연의 병은 언급한 바와 같이 삼국시대부터 만들어졌으며, 반구장경병은 통일신라시대부터 제작된다. 그러나 자기질의 반구병은 고려시대 초기청자 요지인 시흥 방산동에서부터 나타나며, 반구편병은 흑유자기를 함께 생산하던 남부지방의 토축요에서 등장한다. 그리고 본격적인 자기반구장경병은 강진 용운리, 강진 삼흥리 등 남부 지역의 토축요에서 생산되기 시작한다. 이처럼 반구병의 기형은 가마의 축요 형식과 무관하지 않다. 또한 자기반구장경병은 청자뿐만이 아니라 백자와 흑유자기로 만들어졌으나, 백자반구장경병은 중서부 지방에서, 흑유반구장경병은 남부지방에서, 서로 나뉘어 생산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반구장경병은 기형뿐만이 아니라 재질에 있어서도 토축요와 전축요 출토품에 차이가 있었던 것이다. 결국 자기반구장경병은 해무리굽완과 함께 남부지방의 토축요에서 제작된 기형임이 확인되었고, 도기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반구장경병의 이와 같은 제작상의 차이는 중서부 지역의 전축요와 남부지역의 토축요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음은 분명하나 그 근본적인 배경에는 차이가 있었음을 드러내 주었다. 반구장경병은 고려시대 다양한 유적에서 발견되나 그 중에서도 고분에 집중되어 있다. 고분 이외의 유적에서는 발견되기는 하나 대다수가 도기질의 반구단경병이나 반구편병이다. 물론 생활 유적지는 유구의 존속 기간이 길며 고분처럼 밀폐된 공간이 아니므로 유물이 파손된 채 출토되는 경우가 많아, 자기반구장경병이 실용기로 사용되지 않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고려시대 고분에서는 반구병이 거의 빠짐없이 출토되고 있어 이것이 부장용으로 즐겨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論文槪要 v Ⅰ. 머리말 1 Ⅱ. 연구현황 및 용어의 문제 4 1. 연구현황 4 2. 용어의 정립과 연구방법 9 Ⅲ. 生産地[窯址] 出土 瓷器盤口長頸甁의 특성 12 1. 전축요 출토품 12 2. 토축요 출토품 16 Ⅳ. 消費地 出土 瓷器盤口長頸甁의 성격 40 1. 고분 출토품 40 2. 사지 출토품 89 3. 해저 인양품 및 기타유적 출토품 94 Ⅴ. 高麗時代 瓷器盤口長頸甁의 조형과 재질간의 관계 99 1. 반구장경병의 기형과 문양 99 1) 기형 102 2) 문양 113 2. 반구병의 재질에 따른 상관관계 117 1) 청자반구장경병과 백자반구장경병과의 관계 117 2) 자기반구병과 도기반구병과의 관계 118 3) 청자반구장경병과 흑유반구장경병과의 관계 120 Ⅵ. 高麗時代 瓷器盤口長頸甁의 기원과 용도 122 1. 기원 122 2. 용도 124 Ⅶ. 高麗時代 瓷器盤口長頸甁의 편년 127 Ⅷ. 맺음말 131 參考文獻 135 表目錄 144 圖面目錄 144 圖版目錄 145 圖版 149 Abstract 1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3244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高麗時代 瓷器盤口長頸甁의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Bangujangkeng Bottle of Goryeo Dynasty-
dc.creator.othernameKim, Hyun A-
dc.format.pagevii, 169-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