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8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정서-
dc.creator김정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9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9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1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6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10-
dc.description.abstract선천적으로 청력 손실을 가지고 있는 청각장애 영유아의 경우 청각적 피드백 부족으로 인해 말 &#8228; 언어 습득 뿐 아니라 정상적인 음운발달까지도 제한을 받게 된다. 최근 고도 이상 감각신경성 난청 아동을 대상으로 인공와우 이식 수술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인공와우 이식 수술은 성인보다는 특히 아동의 말 &#8228; 언어 습득 및 산출에 큰 이득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보청기를 통한 환경음 및 말소리 감지 등의 이득을 얻지 못하는 언어습득기 이전 청각장애 영유아들의 경우, 인공와우 수술로 인한 청각적 정보 및 피드백 전달이 효과적인 말 &#8228; 언어 및 음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3세 이전에 인공와우 이식을 받은 고도 이상 청각장애 영유아 36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3년까지의 자음을 중심으로 한 음소 발달을 살펴보았다. 수술 후 기간은 6개월, 1년, 2년, 3년으로 각 기간 마다 9명씩 대상아동이 분포되어있으며, 조음검사를 실시하여 아동들의 발화 자료를 수집하였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들의 음소 발달은 자음정확도 변화 및 음소 습득 연령 산출, 음운변동 분석을 통한 출현율 변화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조음방법, 조음위치, 낱말 내 위치 별로 자음정확도를 산출하여 수술 후 기간에 따른 산출 변화를 살펴보았다. 음소 습득 연령은 출현연령, 관습적 산출 연령, 숙달연령, 완전습득 연령으로 구분하여 수술 후 기간에 따라 각 음소가 어떤 습득 연령에 위치하는지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수술 후 기간에 따른 아동의 음운변동 오류 산출 변화를 생략 및 첨가, 대치, 동화, 기타 음운변동으로 구분하여 출현율 분석을 통해 세밀하게 살펴보았으며, 더 나아가 정상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인공와우 이식 아동들의 음소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조음방법에 따른 자음정확도는 수술 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모든 음소에서 수술 후 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조음위치 측면에서는 수술 후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음정확도가 점차 증가하였으며, 수술 후 기간에 따라 모든 음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낱말 내 위치 측면에서는 수술 후 기간이 경과할수록 초성 및 종성 모두 자음정확도가 점차 증가하였고, 수술 후 기간에 따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음소 습득 연령에서는 수술 후 3년까지 양순파열음 /ㅃ/, /ㅍ/, 치조파열음 /ㄸ/, /ㅌ/ 및 비음 /ㅁ/, /ㄴ/가 먼저 완전히 습득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나머지 파열음 /ㅂ/, /ㄷ/ 및 연구개파열음 /ㄱ/ 계열 음소와 파찰음 /ㅈ/ 계열 음소가 발달하였다. 마찰음 /ㅅ/, /ㅆ/는 수술 후 3년까지도 관습적 산출 수준에 머물렀고, 유음 /ㄹ/는 잦은 유음생략으로 인해 출현연령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보고하고 있는 정상 아동들의 음소 습득 순서와 비교해볼 때, 인공와우 이식 아동들은 습득 속도는 느리지만 전반적으로 정상발달과 유사한 음소 습득 순서 및 패턴을 보였다. 셋째, 음운변동을 생략 및 첨가, 대치, 동화, 기타 변동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수술 후 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음운변동에서 출현율이 점차 감소하는 패턴을 보였으며, 수술 후 기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공와우 이식 아동들은 유음생략, 종성생략, 치조음생략, 성문음생략, 비음생략, 경구개음의 전설음화, 파열음화, 치조음화, 탈기식음화를 많이 보였으며, 정상발달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와 비교해 볼 때 출현율에서는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산출한 음운변동 유형에서는 상당히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언어발달기 이전 와우 이식 영유아들은 수술 후 초기에 비해 후기인 수술 후 2년 및 3년으로 갈수록 자음정확도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이며 또한, 조음능력이 향상될수록 음운변동이 점차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다는 것이 나타났다. 또한 선행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인공와우 이식 아동들이 정상아동들과는 양적인 차이는 있지만, 음소 습득 및 음운변동 출현율 측면에서 비슷한 패턴으로 음운발달을 보이는 것을 제시하였다. 최근 청각장애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인공와우 수술의 확대 및 시술 연령의 조기화로 언어습득기 이전 인공와우 이식 영유아들의 수술 후 말 &#8228; 언어 수행력 및 발달에 대한 정보의 요구가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 결과는 인공와우 수술 후 초기 재활에서의 목표 설정과 아동의 발달 및 진전 양상을 평가하는 데 의미있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consonant development of young cochlear implant users in post-operative 3 years.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the age of phoneme acquisition during post-implant periods and phonological process analysis were monitored during first 3 years of post-implantation. Thirty-six children with profoundly impaired hearing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each nine children had six month, one year, two years and three years implant experience. All children were less than 3 years old at the time of cochlear implantation. Speech samples were collected for each child by articulation test and analyz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consonant development over the post-implant periods. The statistics of One-Way ANOVA and Tukey's HSD test were adopt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on the manner of articul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 < .05) and demonstrated ascending pattern over the post-implant periods. Stops and Nasals were used correctly by more children than fricatives and affricates. (2)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on the place of articul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 < .05) and gradually increased during 3 years post-operation. Visible places of articulation were developed more accurately than less visible places of articulation. (3) Percentage of consonants correct according to word po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p < .05) and demonstrated rising trend over post-implant intervals. (4) Bilabial stops, alveolar stops and nasals were mastered, the remaining stops and affricates were acquired at 3 years post-implant. After extended implant experience during three years, fricatives and liquids were remained at lower level of acquisition. (5)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ructure processes(syllable reduction, addition and omission), substitution processes, assimilation processes, tension/aspiration processes were showed during 3 years post-implant(p < .05) and descending pattern of overall percentage of phonological processes experience were observed according to extended post-implant periods. Comparisons to previous studies, the data suggested trends in the order of consonant development and elimination of phonological process similar to those of normally hearing children, although the slower rate of consonant development and quantitative differences in percentage of occurrence of each phonological proces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ⅷ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5 C.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배경 = 7 A.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발달 = 7 1. 청각장애 아동의 말 산출 및 음소 습득 = 7 2. 청각장애 아동의 음운변동 산출 = 9 B.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음운발달 = 11 1.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말 산출 및 음소 습득 = 12 2. 인공와우 이식 아동의 음운변동 산출 = 14 Ⅲ. 연구방법 = 17 A. 연구대상 = 17 B. 검사도구 = 20 C. 연구절차 = 21 D. 자료의 통계적 처리 = 23 E. 신뢰도 = 24 Ⅳ. 연구결과 = 25 A. 수술 후 기간에 따른 자음정확도 변화 = 25 B. 수술 후 기간에 따른 음소 습득 연령 = 34 C. 수술 후 기간에 따른 음운변동 출현율 변화 = 36 Ⅴ. 결론 및 제언 = 44 A. 결론 및 논의 = 44 B. 연구의 제한점 = 53 C. 제언 = 54 참고문헌 = 55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2158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인공와우 이식 영유아의 수술 후 기간에 따른 음소 발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nsonant development of young cochlear implant users in post-implant periods-
dc.creator.othernameKim, Jeong Seo-
dc.format.pagex, 68-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