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8 Download: 0

제 2 이사야서 종의 노래에 나타난 "우리"의 고백의 중요성

Title
제 2 이사야서 종의 노래에 나타난 "우리"의 고백의 중요성
Other Titles
The Importance of "Our Confession" in the Servant Songs of the Book of Deutero-Isaiah
Authors
심수연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숙
Abstract
이 논문은 인간이 맞닥뜨리게 되는 각양각색의 고통의 문제들 중 무죄한 자의 고난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했다. 구약성서는 고난 사(史)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歷史)와 그 속에서 활동하시는 야훼의 역사(役事)하심의 파노라마이다. 그래서 구약성서 안에는 다양한 고난의 모습들과 그에 대한 인식이 담겨있다. 이에 구약성서에서 무죄한 자의 고난문제를 이해하는데 적합한 고난 이해를 찾아보기로 했다. 구약성서는 인과응보적인 고난이해와, 야훼의 교육수단으로서의 고난이해를 담고 있다. 그러나 이 두 이해는 불의의 희생자들의 고난을 이해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두 이해 모두 고난의 책임을 고난 자에게서 찾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떤 것이 무죄한 고난 자들의 아픔을 이해하는 데 올바른 잣대가 될 수 있을까? 제 2 이사야서의 “고난 받는 종의 노래(42:1-4, 49:1-6, 50:4-9, 52:13-53:12)”에 담겨 있는 “혁신적”이라는 “대속적인 고난이해”가 그 답으로 생각되었다. 또한 예수를 ‘고난의 종’으로 이해하며, 예수의 죽음을 자신들을 위한 것으로 받아들이는 기독교인들의 ‘신앙고백’의 토대가 된, 네 번째 노래에 등장하는 일인칭 복수형인 ‘우리’도 불의의 희생자들의 아픔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 둠(Duhm)이 제 2 이사야서에서 네 편의 “고난 받는 종의 노래”(42:1-4, 49:1-6, 50:4-9, 52:13-53:12)를 독특한 것으로 보고 구별해 낸 이후, 노래에 관한 연구들의 목적은 ‘종은 누구인가?’를 밝히는 것이었다. 그래서 II장에서는 연구사적 고찰의 의미로 제 2 이사야서와 종의 노래의 저자문제, 종의 정체에 관한 연구들을 정리하였다. III장에서는 네 편의 종의 노래 본문을 주석하였는데, 주석의 초점은 “대속적인 고난이해”와 “우리”에 맞춰졌다. “대속적인 고난”이란 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종의 노래에서 “우리”는 어떤 역할을 하는지, 종의 고난과는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본문주석을 하였다. 그 결과 종의 노래가 전하는 중요한 메시지를 발견할 수 있었다. 바로, 종과 같이 무죄한 자들이 당하는 고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의 고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것은 그 동안 종의 노래 연구자들이 종의 정체를 밝히는 데만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일 뿐, 네 편의 종의 노래는 인간의 고난문제 해결에 “우리”의 고백, 인간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었다. IV장에서는 III장에서의 연구결과를 오늘날의 고난문제와 연결시켜 생각해보았다. 현대의 여러 부당한 고난사례 중, 일본군 ‘위안부’ 피해할머니들의 문제를 다루었다. 종의 고난을 해결한 것이 ‘우리’의 고백이었던 것처럼, 일본군 ‘위안부’ 할머니들의 고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고백해야 함을 제안해 보았다. 1970년대 한국교회여성들로부터 시작된 “우리”의 고백을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고난이야기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하나 둘 늘어났다. 그리고 “우리”의 고백도 늘어갔다. 그러나 60년이 넘도록 계속되고 있는 할머니들의 고난의 기다림을 끝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일본정부의 진심어린 고백이 있어야 한다. 이것이 제 2 이사야서의 네 편의 “고난 받는 종의 노래”를 통해 얻은 깨달음이다. ;This thesis started from the concern about various human sufferings, especially the innocents' suffering. The Old Testament is the panorama of Israel's suffering and God's activities in history. That is why the Old Testament includes diverse aspects and understandings on suffering. For that reason, I decided to dig into the proper recognition for the innocent sufferers in the Old testament. The understandings of suffering in the Old Testament are punitive and YWHW's instrument educating the Israelite. But these are improper because the victim of the injustice is said to be responsible for their hardship. What is the proper way to comprehend their sufferings, then? I think that the redemptive recognition in the servant songs(42:1-4, 49:1-6, 50:4-9, 52:13-53:12) of Deutero-Isaiah can be a clue to the question. The first personal pronoun "we" emerging from the last song will help understand the innocent sufferer. The "we" notion is the basis of Christian confession that Jesus Christ is 'the suffering servant' and his death is for 'our' sin. I think "we" is also contribute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victims of the un-righteousness. Since Duhm distinguished the four unique "Suffering servant songs(42:1-4, 49:1-6, 50:4-9, 52:13-53:12)" from the Book of Deutero-Isaiah, the main purpose of the most studies on the songs has been identifying the servant: Who is the servant? On that account, the problem of the author of the Book of Deutero-Isaiah and the servant songs is dealt in chapter II, and the identity of the servant as well In chapter III, there are comments for the four servant songs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redemptive suffering" and "we"; what is the redemptive suffering? how is the redemptive suffering illustrated? what is the role of "we" in the servant songs?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we" and servant's suffering? As a result, I was able to find out the important message from the servant songs. It is that "we" must confes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innocent suffering. Even though the message has always been in the servant songs, nobody paid heed on that rather than on identifying the servant. The four servant songs remind us that there should be "our confession; the human effort" to solve the problem of innocence suffering. In chapter IV, the result of chapter III is rethought in relationship with contemporary issues. In these days, hundreds of unjust suffering cases is happened. Among them, I dealt with a problem of korean military sexual slave. As much as 'our confession' solved the problem of the suffering of the servant, I suggest "we" must confess to relieve the suffered Korean Comfort Women. Since Korean church women began "our confession" in 1970's, lots of people have become interested in their story and participated in the effort resolving their problem. However, there should be a sincere confession from Japanese government above all things to bring the still waiting 60years of Korean Comfort Women to an end. This is just what I was convinced from my study on the servant songs of Deutero-Isaia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