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936 Download: 0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과정 연구

Title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과정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ork Values and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 A contextual approach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uthors
박정란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함인희
Abstract
여성 새터민의 직업문제는 남한 사회 적응에 있어 핵심적 부분이며, 남성 새터민과 비교 시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 ‘여성’으로서 갖는 진로장벽(job ceiling)을 경험한다는 것을 고려할 때, 여성 새터민의 직업문제는 남성과 별도의 분석이 요구된다.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새터민의 직업문제로 연구 내용을 국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직업가치 개념의 확대 및 체계화 - 직업가치 하위영역 구분은 우선 내재적 직업가치(intrinsic work values)와 외재적 직업가치(extrinsic work values)의 두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기존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 온 외재적 직업가치로서 경제적 도구, 권력추구, 개인주의와 사회인식 중시 등의 직업을 도구적 가치로 보는 측면 외에도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실현하여 자기능력을 발휘하고, 사회에 헌신하며, 인간관계를 중시하고 이상을 추구하며 직업을 통하여 발전을 이루므로 자기를 표현하고자 하는 직업 그 자체에 가치를 두는 내재적 직업가치 지향의 내용을 추가·확대 - 하고, 북한에서부터 남한에 이르기까지 여성 새터민의 삶을 맥락적으로 접근하여, 직업가치의 변화 및 지속의 흐름과 그 요인 및 배경을 분석하므로 여성 새터민들이 남한사회에서 겪고 있는 직업과 관련한 문제의 근본적 원인을 찾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직업가치 외에도 본 연구에서 다룰 내용인 진로의사결정과정은 여성 새터민들이 북한의 사회주의계획경제체제 하에서의 생활로 남한 입국 이후 ‘선택’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게 된다는 기존 연구의 지적에서 그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구체적이고도 체계적인 분석을 시도한 것이다. 여성 새터민들의 북한에서 남한이라는 급격한 사회구조 변화 경험은 직업가치 지향과 진로의사결정과정의 불안정성을 우려하게 한다는 점에서도 맥락적 접근을 통해 여성 새터민들이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어떠한 변화와 지속을 나타내고 있는 가에 대한 심층적 분석은 그 의의가 크다 할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사용된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문화기술적 연구는 맥락적 접근 논리와 일치점을 가지고 있으며, 직업가치와 진로의사결정의 변화와 지속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리라는 판단 하에 사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새터민들이 북한에서부터 탈북과정을 거쳐 남한에 입국한 이후까지 경험에 대한 맥락적 접근을 통해 여성 새터민들의 직업가치 변화 방향과 그 내용 및 요인, 유형을 밝히고 직업가치 유형별로 나타나는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맥락적 접근을 통한 여성 새터민의 북한과 제3국, 남한 입국이후의 직업가치 변화 연구 결과 여성 새터민들의 직업가치는 북한, 탈북 이후 제3국, 남한이라는 환경 및 구조 변화와 상호작용의 결과로서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직업가치 변화의 요인 및 배경 간에, 직업가치 간에 나타나는 상호작용과 직업가치 요인 및 배경과 직업가치 간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으로 얽혀 있었으며, 직업가치는 북한과 제3국,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환경과 구조 변화 속에서 지속되기도, 변화되기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의 여성 새터민의 전체적인 직업가치 변화와 지속의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직업가치의 지속은 북한에서 남한으로 이주하면서 북한에서 내재적 직업가치를 지향한 사례들은 내재적 직업가치, 북한에서 외재적 직업가치를 지향한 사례들은 외재적 직업가치를 지속하게 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직업가치의 변화는 직업가치 하위영역 수준에서 논의할 수 있는데, 북한에서 보다는 내재적, 외재적 직업가치의 뚜렷한 지향이 사라지고, 다양한 가치 지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특히 전체 사례들이 북한에서 보다 남한에 입국해서 내재적 직업가치 보다 외재적 직업가치를 중요시 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심층면접 결과 남한 입국 이후의 가치 지향의 다양성은 오히려 직업가치의 명료성을 흐리고,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의 직업가치의 혼재로 인한 혼란과 일관성 결여를 초래하여, 부정적 측면을 내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북한에서부터 제3국 체류 기간,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여성 새터민들의 직업가치 변화 요인 및 배경에 대한 분석 결과, 우선 북한에서의 정치사회화 과정, 경제위기 심화, 학교 교육 등과 북한에서와 탈북 후 제3국에서 접한 자본주의 및 남한사회에 대한 정보, 북한과 제3국, 남한 각기에서의 직업경험, 남한 입국 이후의 요인 및 배경으로서 사회봉사경험, 남한 사회에 대한 인식, ‘탈북자’로서 느끼는 차별과 열등감·적대감, 가족주의의 강화, 중고령자들의 노후에 대한 불안감, 진로 적성검사 등이 제시될 수 있었다. 여성 새터민의 직업가치 유형은 진로의사결정과 우세적 상호작용을 하는 직업가치 하위영역의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의 지속과 변화 여부에 따라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 별로 나타나는 진로의사결정과정 즉, 진로동기단계, 진로구체화(준비)단계, 진로결정 및 피드백 단계에서의 특징들을 제시하였다. 첫 번째 유형인 지속적(sustainable) 자기능력가치 유형의 진로의사결정과정은 적극적 성취동기, 성숙한 진로준비, 조정적(adjustable) 진로결정의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두 번째 유형인 가변적(changeable) 안정추구가치 유형은 소극적 성취동기, 미성숙한 진로준비, 축소적(self-abasement) 진로결정을 보이고 있었으며, 세 번째 유형인 가변적(changeable) 자기능력가치 유형은 소극적 성취동기, 미성숙한 진로준비, 회피적(evasive) 진로결정으로 나타났고, 네 번째, 지속적(sustainable) 경제우선가치 유형은 적극적 성취동기, 미성숙한 진로준비, 선회적(roundabout) 진로결정의 특징으로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네 가지 유형에 따라 나타나는 진로의사결정과정의 세 단계는 상호 연결된 과정으로서 진로동기화와 진로준비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따라 그들의 진로결정과 진로의 성패가 가름되는 맥락을 보이고 있었다. 각 유형별로 나타나는 우세적 직업가치 외에 혼재된 직업가치로 인한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의 특징들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특히 북한에서 사회인식중시가치를 중요시했던 사례들의 경우 남한 입국 이후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 부정적 태도를 야기하고 있어 진로지도 시 유의를 요한다. 북한에서 남한에 이르기까지 직업가치의 지속과 변화가 진로의사결정과정에 어떠한 함의를 지니고 있는가를 살펴보면, 성취동기의 ‘적극성’ 대 ‘소극성’, ‘진로지향’ 대 ‘가정지향’, 진로장벽의 ‘조정·선회’ 대 ‘회피·축소’의 차이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내·외재적 직업가치지향의 진로의사결정과정에서의 함의는 진로준비의 ‘성숙’ 대 ‘미성숙’, 진로기대수준의 ‘조정’ 대 ‘고정’, 직무 ‘만족’ 대 ‘불만족’의 차이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여성 새터민 진로지도를 위한 제언을 결론에서 제시하였다.;The job problem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is a core actor for them to adapt themselves to the South Korean society. Reflecting that, unlike male new residence seekers, the female counterparts are experiencing a job ceiling as ‘women’ in South Korea as well as North Korea. The job problem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is required to be analyzed apart from men’s case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on the job problem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First of all, this study expands and systematizes work value concepts and divides the sub-categories of work values into two: intrinsic work values and extrinsic work values. The existing researches invest jobs with just instrumental values or extrinsic work values because they regard jobs only as a tool to pursue after economic resources and/or power, making much of individualism and social recognition. In contrast, this study expands extrinsic work values and adds intrinsic work values to them, considering jobs as a means to realize workers’ aptitude and interest, display their abilities, contribute to their society, develop human relations, persue after their ideal, and develop and express themselves. This study approaches the context of the life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coming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from a value-centered perspective, with a view to determine fundamental reasons for the maladjustment the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encounter in relation to their jobs. The existing researches take only note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ho suffer difficulties in ‘selecting’ their career after fleeing from North Korea’s socialist economic system to lead a life in South Korea. In this line,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investigations into the said difficulties and attempts to make a detailed analysis of them. South Koreans are concerned that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from North Korea encounter a sudden change in the structure of their society in South Korea and feel uneasy about the orientation of work values and the instability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t calls for a deep analysis of the changes and continuances of work value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from North Korea are faced with in South Korea. In this study, a cultural and technological investigation,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is employed since its rationale is consistent with that of a contextual approach and that it is useful for the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hanges and continuances of work values and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is study is aimed to contextually approach the experience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after fleeing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thereafter; determine a trend in the change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ork values and the details, types and reasons for the changes;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work value types shown during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 contextual approach is applied to research into a change in the work value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ho have fled from North Korea to enter South Korea via a third country. The approach shows that a change in the work values of the seekers results from interactions with changes in their living environment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in the structure of their society. Moreover, the interactions are developed between the reasons for & the background of changes in work values, between work values, and between the reasons for & the background of changes and work values. Work values are intensified or weakened while they are interacted with the changes in their living environment from North Korea to South Korea and in the structure of their society. Below described is a more detailed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s analysis on all the changes and continuances of work values of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As for the continuances of work values, those who pursued after intrinsic work values in North Korea are inclined to do the same in South Korea as well, and so are those who pursued after extrinsic work values in North Korea. As for the changes in work values which can be discussed in sub-categories of work values, it is analyzed that the seekers do not any more pursue ardently after intrinsic or extrinsic work values as they did in North Korea but they seek after various work values. In particular, all the sampled cases demonstrate that the seekers make more of extrinsic work values than intrinsic ones after entering South Korea. Depth interviews with the seekers show that a diversity of their value orientation after they entered South Korea clouds the clarity of their work values, brings about disorder and inconsistency due to mixed work values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and has negative features. Next, the reasons for and the background of the changes in work values of the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include the process of their political socialization in North Korea, a deepened economic crisis in North Korea, school education in North Korea, capitalism they tasted in North Korea and a third country, information on the South Korean society, work experiences in North Korea and a third country and South Korea, social service experiences in South Korea, recognition of the South Korean society, discrimination, inferiority, and antagonism felt by them as a refuge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ntensification of family ties they experience after entering South Korea, uncertainty about aged people’ declining years, and a career aptitude test they went through after entering South Korea. Depending upon the continuance of or changes in work values sub- categories which are predominantly interacted with career decision-making,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work values type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The following i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comprises career motivation step, career preparation step, career decision step, and feedback step.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first type or the sustainable self-ability value type is characterized by positive achievement motives, mature career preparation, and adjustable career decision. The second type or the changeable stability pursuing value type is characterized by negative achievement motives, immature career preparation, and self-abased career decision. The third type or the changeable self-ability value type is characterized by negative achievement motives, immature career preparation, and evasive career decision. The fourth type or the sustainable economy- preferred value type is characterized by positive achievement motives, immature career preparation, and roundabout career decision. This study finds that three steps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for each of the types are interconnected, and the seekers’ career is decided and made a success or a failur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of and preparation of their career. In addition to superior work values for each of the types, other work values emerge i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n particular, those who made much of the values recognized by the North Korean society take a negative attitude against to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n South Korea. It calls for counsels on careers to be given to them with care. Analyzing which effect the changes and continuances of work values of the seekers ha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t is revealed that motivation for career achievements have been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and from ‘family-oriented’ to ‘career-oriented’ and career obstacles changed from ‘evasion and reduction’ to ‘arbitration and gyration.’ Analyzing which effect the seekers’ pursuance of intrinsic and extrinsic work values has on the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it is revealed that career preparation has been changed from ‘mature’ to ‘immature,’ career expectation level changed from ‘fixed’ to ‘adjustable,’ and job duties from ‘unsatisfactory’ to ‘satisfactory.’ Based on the above-mentioned results of this study, its conclusion is stated as suggestions for career guidelines to be given to the aforesaid female new residence seek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