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최유미-
dc.contributor.author전혜정-
dc.creator전혜정-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63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3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634-
dc.description.abstractUnder lengthy Japanese rule, Korea had lost the chance to build its popular culture systematically. After the liberation, the modern civilization was introduced to Korea, mainly through Japan, and without any proper filtering. Admitting that there are few genres that does not keep any traces of influence from Japanese rule, the animation genre is quite special in some respects. The animation, especially the robot animation was born in Japan under its unique culture and environment. In spite of this origin, significant number of Korean animations are robot animations. Only with this fact, you could see the not so bright side of Korean animation, the plagiarism and imitation smeared one. it is true, however, though they are imitation works, they deserve credit for being a incarnation of efforts and spirit of our animation makers who devoted all their energies to the prosperity in the bleak field of Korean animation. And the Korean and Japanese animations are quite distinguishable genre, with few similar examples from other countries. So I believe the robot animation has its reason to be analysed and studied, to be developed to unique Korean robot animation. In Korean and Japan animation alike, the color of the character has been the unconscious standard of the character's good and evil, and we can see it through the robot animation history. In other words, the color of good character and the one of bad character were set forth beforehand conventionally. Many studies have already proved that colors can express and symbolize the feelings and mood. The color's meaning, however, is not always the same. There are differences of country, age, race and the favored colors are differentiated by age. The clear differences can also be observed in each country's cultural assets, even if the compared countries are in the same cultural area. The reason why colors are varied, which has been revealed in related studies, lies at various things: climate, habits, natural environment and etc. So it is no surprise that each country's animation shows different standards for colors. But our animation is similar to Japan's not only in design and storytelling but also in the colors of good and evil characters under the Japanese culture's influence. This means that the color has not been considered more enough than the contents, which seems relatively to have been re-created in Korean way. And robot animation is different from other genres in that it has clearer good and evil and its narrative makes it sure the evil be eventually destroyed by the leading characterThere are some works such as『Gundam』, which has no clear good and evil, but still the counter characters of the leading role reveal the existing conventional colors. With this narrative, colors can be a language which tells the moral superiority, in robot animation. Also this kind of color difference between good and evil could directly lead good or bad feelings for specific colors in younger audience. In that the robot animation is consumed mainly in childhood, of which learning is very actively performed, this conventional moral superiority in color should be reconsidered. Recently Korean animation cuts a better figure than ever. Under the circumstances, it is urgently needed to overcome the Japanese culture's influence and to taking a leap into Korean own new animation. So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lor custom in good and evil, comparing Korean animation with Japanese' and to vindicate the need of unique Korean color development.;오랜 기간 일제 치하에서 문화 말살 정책을 경험한 우리나라는 체계적으로 근대 대중문화를 형성할 기회를 잃었고, 해방 후 주로 일본으로부터 근대 문명을 채 거르지 못한 채 받아들이게 되었다. 모든 점에서 일제의 영향을 받지 않은 문화가 드물지만 애니메이션, 특히 로봇애니메이션은 장르 자체가 일본의 특수한 문화와 환경에서 탄생한 장르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이 제작한 애니메이션의 상당수는 로봇 애니메이션이 차지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런 점만으로도 표절과 모방으로 얼룩진 우리나라 애니메이션의 한 단면을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모방 작품이라도 황무지나 다름없던 국내 애니메이션의 부흥에 헌신한 우리나라 애니메이션 제작자들의 노력과 철학이 다분히 반영된 것은 사실이며, 또한 한국과 일본의 로봇 애니메이션은 다른 나라에선 그 예를 찾기 힘든 특수한 장르인 만큼 철저히 비교 분석하고 연구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로봇 애니메이션으로 발전시킬 가치가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나 일본도 마찬가지로, 로봇애니메이션의 역사를 살펴보면 주로 어떤 색으로 디자인 되었느냐에 따라 캐릭터의 선악을 구분할 수 있는 무의식적인 기준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선한 주인공의 색과, 악역의 색이 관습적으로 전제되어 왔다는 의미이다.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하여 색은 일종의 감정이나 분위기를 표현하고 상징할 수 있다는 점이 증명되어왔다. 그러나 색이 내포하는 의미가 항상 같은 것은 아니다. 국가별, 시대별, 인종별로도 그 차이가 있고, 선호하는 색도 연령별로 다르다. 같은 문화권 내라 하더라도 국가별 문화재만 봐도 그 색의 차이를 확연히 알 수 있는데, 그렇게 색감이 달라지는 이유로 기후나 생활습관, 자연환경 등 여러 요인임이 관련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그러므로 애니메이션 역시 제작 국가별로 색채 선택의 기준이 달라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의 로봇 애니메이션은 일본 모방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만큼, 과거에서부터 일본과 그 차이점을 찾기 힘들 정도로 디자인이나 스토리텔링의 방식은 물론 선역과 악역의 배색 방식까지 흡사한 면모를 보이고 있다. 이는 내용 면에 있어서는 한국식으로 재창조가 되었다 하더라도 배색 디자인에 대한 고민은 부족했다는 뜻이 된다. 또한 로봇 애니메이션은 다른 장르에 비해 선악의 구분이 뚜렷하고 악당이 주인공에 의해서 파멸한다는 확실한 내러티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내러티브를 가진 로봇 애니메이션은 색이 도덕적 우열을 나타내는 일종의 언어가 된다는 점을 뜻하며 선악별 배색의 차이는 곧 아동기의 시청자에게 색채에 대한 호감과 비호감으로 직결될 우려가 있다. 로봇 애니메이션이 학습이 왕성한 아동기에 주로 소비된다는 점에서 색의 도덕적 우열이 관습화되는 것도 생각해 볼 문제이다. 현재 한국 애니메이션의 위상이 날로 높아지고 있는 만큼, 일본 모방의 역사를 극복하고 새로운 한국식 로봇 애니메이션의 재도약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따라서 한・일 양국의 로봇 애니메이션의 역사를 비교하여 선악별 색 관습을 조명하여, 우리나라 고유의 로봇 애니메이션의 색감을 개발해야 하는 당위성을 입증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초록 = ⅵ 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및 의의 = 1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5 2. 이론적 배경 = 6 2-1. 우리나라와 일본의 색채관 차이 = 6 2-1-1. 전통적인 색채관 차이 = 6 2-1-2. 현재의 차이 = 8 2-2. 아동 색채 인지 심리 = 11 3. 자료 분석 = 14 3-1. 시대별 로봇 애니메이션의 한·일별 비교 = 14 3-2. 한·일 로봇 애니메이션의 선악별 배색 디자인 비교 = 24 3-3. 한·일과 서양 로봇 애니메이션의 선악별 배색 디자인 비교 = 32 4. 연구방법 = 35 4-1. 분석대상 = 35 4-2. 분석방법 = 35 4-2-1. 아동 및 청소년의 선악별 색상 인지 조사 = 35 4-2-2. 청소년 및 성인의 선악별 색상 인지 조사 = 36 4-2-3. 청소년 및 성인의 로봇 애니메이션 접촉 빈도와 구별 수준과의 상관관계 조사 = 38 4-3. 요약 = 40 5. 결론 = 42 참고문헌 = 45 영문초록 =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62850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일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선악별 배색 디자인에 대한 비교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tudy on the Color Design of Good and Evil characters in Korean & Japanese Animation:Mainly on Robot Animation-
dc.creator.othernameJeon, Hye-Jeong-
dc.format.pagevii, 63-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