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6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효임-
dc.creator최효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17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175-
dc.description.abstract북한을 직접 경험할 수 없는 우리의 입장에서 매체는 북한의 인식을 형성하는 중요한 채널이다. 따라서 북한인식은 언론을 통해 유포되는 담론들로부터 된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러나 언론이 사회현실을 있는 그대로 반영한다는 가설은 이를 반증하는 연구들로부터 심각한 도전을 받고 있으며, 언론의 현실 재구성은 남북관계처럼 적과 동포라는 상반된 인식이 각축을 벌일 때에는 매우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여기서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는 것은 매체에서 북한여성에 대한 묘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가 하는 문제이다. 우리는 북한여성과 만나기 전에 북한여성의 이미지와 먼저 만나고 있다. 북한여성의 이미지에 본 논문이 주목하는 이유는 여성에 대한 한정적 이미지가 대중매체를 통과할 때 더욱 심각한 영향력을 지니는 것은 대중매체가 특유의 권위를 소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지와 실재 사이에는 깊은 연관이 있고,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은 사회적 신화를 만드는 사람이다. 따라서 이미지가 생산되고 소비되는 사회구조와 이미지의 관계를 규명하는 작업은 긴요하다는 인식하에서였다. 본 논문은 1990년부터 2001년 10월까지 보도된 북한여성의 신문기사 내용분석을 통해 북한여성의 이미지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수준으로는 시기별, 주제별, 정보원별 변수를 고려했다. 시기는 크게 시기별 변화요인을 고려하여 크게 세 시기로 나누었고, 시기별 변화요인은 각각 1990년대 초 사회주의 국의 붕괴와 1994년 북한의 식량난, 마지막으로 1998년의 김대중 정권의 출범과 남북교류의 증가로 분류했다. 주제는 크게 네 가지로 남북여성교류, 북한여성의 생활, 북한의 식량난과 여성 그리고 기타로 나누었다. 연구결과 1990~1993년의 북한여성은 과잉정치화된 이미지로 보도되었으며, 이러한 이미지 뒤에는 반공이념과 언론의 상업주의가 작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94~1997년의 북한여성 이미지는 북한의 식량난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여성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으며, 북한여성의 생활 소개를 통해 노동일군으로서의 이미지와 전통적인 현모양처로서의 이미지가 부정적으로 보도되었다. 이러한 북한여성 이미지 형성은 정서적 민족주의를 비롯해 대북우월의식이 공존하고 있다. 1998~2001년의 북한여성 이미지는 식량난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여성 이미지가 지속되었다. 뿐만 아니라 남북교류의 증가로 노동일군과 현모양처로서의 긍정적인 이미지와 부정적인 이미지가 동시에 유포되었다. 이러한 시선에는 가부장적 시선에 대북우월의식이 함께 작동하고 있다고 본 연구에서는 밝히고 있다. 이렇게 시기별 북한여성의 이미지와는 별도로 1990~2001년 12년 동안 북한여성의 외모와 성문화에 관해서는 지속적으로 보도되고 있는데, 이것은 언론의 상업주의와 지속적으로 맞닿아 있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상 본 논문이 밝힌 결과에 의하면, 북한여성의 이미지는 남북의 정치·경제·남북관계의 변화에 따라 시기별로 다르게 구성되기도 하며, 이와 관계없이 동일한 북한여성 이미지가 유포되기도 한다는 것이다. 또한 북한여성을 통해 북한체제를 비판하는 경우 북한여성을 체제와 통합시키고 분리시키는 언론의 전략이 동시에 사용되고 있었다. 본 논문은 북한보도 성향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이 정치적인 부분에 대한 논의들에 집중되어 있던 것을 북한여성을 대상으로 한 주제의 다양화라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남한사회의 사회적 맥락과 북한여성의 이미지 구성이라는 메커니즘을 밝혀 본 데서도 그 의의를 발견할 수 있다.;South Koreans can't experience directly North Korean reality, so they recognize it by the speech in mass media.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peech represents the social reality. Especially, when conflicting conceptions on the reality contest, the reality reconstruction of the speech should be reconsidered. This study is interested in the descriptions of North Korean Women in mass media. South Koreans are faced with the images of North Korean Women, before meeting the actual North Korean Women. The restricted images of them through mass media have great influences on the cognitions of South Korean to North Korean. Images are related with social reality. The relation of social reality between structure and image is important, because social structure produces and consumes image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images of Nothe Korean Women in the articles in newspapers from 1990 to 2001. For analysis, I considered three kinds of factors, such as to say, period, theme and informer.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1. From 1990 to 1993, Reportedly North Korean Women were represented in over-politicized image. Anti-Communist ideology and commercialism of the press were in the rear of the image. 2. From 1994 to 1997, North Korean Women were represented in suffering image for starvation, image of working laborer and image of a model wife-mother in negative tone. 3. From 1998 to 2001, Suffering image for starvation was continued. For the increase south-North Korea exchange and cooperation, a working laborer and model wife-mother image was represented in positive and negative tone. A partriarchial view and a sense of superiority over North Korea were in these reportes. 4. Separately from these images, from 1990 to 2001, the appearances and sexual culture of North Korean Women were reported all the time. This was due to the commercialism of the press.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is thesis can diversify study of the press reportes about North Korea. 2. This thesis clarified relation mechanism that the image construction of North Korean Women through the press was related to social context of South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 1 제2절 연구 목적 및 의의 = 2 제2장 기존 논의 및 연구 방법 = 3 제1절 언론매체의 북한보도 = 4 1. 1990년대 이후 남북관계 변화 = 6 2. 언론의 북한보도 연구 검토 = 8 1) 언론의 북한보도 경향에 대한 선행연구 = 8 2) 선행된 북한 보도 경향에 내재한 이데올로기적 특성 = 17 제2절 북한여성 연구 및 북한여성상 연구 검토 = 25 제3절 연구 방법 및 자료 = 32 1. 연구 방법 = 32 2. 연구 자료 = 34 1) 북한여성 기사의 연도별 게재건수 = 34 2) 북한여성 기사의 주제별 게재건수 = 35 3) 북한여성 기사의 정보원 = 36 제3장 신문기사 분석 = 40 제1절 1990~1993년 북한여성 이미지 = 40 1. 남북여성교류 기사에 반영된 북한여성 이미지 = 41 2. 북한여성 생활 기사에 반영된 이미지 = 47 3. 기타 기사에 반영된 이미지 = 50 제2절 1994~1997년 북한여성 이미지 = 53 1. 식량난 기사에 반영된 이미지 = 56 2. 북한여성 생활에 반영된 이미지 = 61 1) 노동일군·현모양처로서의 부정적 이미지 = 61 2) 후진적인 외모 이미지 = 66 3. 기타 기사에 반영된 이미지 = 69 제3절 1998~2001년 북한여성 이미지 = 75 1. 북한여성 생활 기사에 반영된 이미지 = 77 제4절 소결 = 85 제4장 결론 = 90 참고문헌 = 94 부록 = 99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698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문기사 분석을 통해 본 북한여성 이미지-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학과-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