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7 Download: 0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교사의 의견분석

Title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교사의 의견분석
Authors
김란주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school-based curriculum development(SBCD) and teachers' percep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teachers' opinion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rough opinionnaire-approach. The specific questions in the study are phrased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actual conditions of SBCD in elementary school, 1) Is SBCD performed in elementary school? 2) If SBCD is performed, what are the problems in its performance? 3) If SBCD is not performed, what are the hindering factors? Second, concerni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SBCD, 1) Do the teachers percept the necessity of SBCD? 2) Do the teachers want to participate in SBCD? In this study, 190 teachers from 19 schools in 8 school districts were sampled. The teachers were provided with opinionnaires. Analytic results of the collected 162 teachers' respon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ly a part of the elementary schools are implementing SBCD. Especially in the public elementary schools, schools that don't implement SBCD are much more than do it. In the cases of schools that implement it, SBCD is initiated and teachers are participated in it by their principals' direction. Mainly, teachers,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take part in it and the head of department plays a leadership role. Most types of activities are to modify and complement centrally developed curricular. In this sense, SBCD activities which are being performed at present are passive, restricted, and conservative. Main factors hindering the participation of teachers are lack of time, professional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concern and understanding. Teachers comment that sucessful and ongoing SBCD depends on the improvement of these factors. Second, a number of teachers, especially most of teachers who have participated in it, recognize necessity of SBCD. They want to participate in it. But a part of teachers do not recognize its necessity. And even the ones who recognize the necessity are skeptical to its possibility. They have a negative attitude about their own participation. Most of the teachers that recognize its necessity have a view that a variety of groups must participate and the teacher who is determined either by democratic conference of participants or by voluntary will must become a leader. But they prefer activities modifing and complementing centrally developed curricular to ones creating new curriculum. That is, they are on a conservative level in the perception of desirable SBCD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First, teachers' professional abilities must be developed by continuous in-service education and direct participation. Professional knowledge, skills and confidence enable teachers to be motivated to participate in SBCD and assure quality of its process and product. As a result, sucessful SBCD can be achieved. Second, sufficient administrative and professional supportiveness must be provided within and out of school. Within school, principal try to make open and dynamic school climate to facilitate SBCD. Out of school, educational administrative and professional institutions promote interchange and co-operation among schools, provide with up-to-date informations and support a diffusion of valuable and useful; 본 연구는,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여야 할 교사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초등학교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해 교사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실태 1) 현재 초등학교에서는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가? 2) 이루어지고 있다면, 실행상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3)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면, 그 원인은 무엇인가? 즉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실행을 방해하는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관하여 교사들이 지니고 있는 인식 1)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가? 2)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참여하기를 원하는가? 본 연구는, 서울시내 8개 교육구에서 표집된 총 19개교, 190명의 교사들에게 질문지를 배부하고 회수된 162명의 응답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볼 때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실행하고 있는 학교는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특히 공립학교의 경우에는 실행하고 있지 않은 학교들이 훨씬 더 많다.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실행하고 있는 학교들의 경우, 주로 교장이나 교육행정기관의 지시에 따라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착수하고 교사들과 교장 혹은 교감이 여기에 참여하였다. 주임교사가 지도적 역할을 맡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중앙으로부터 만들어져 내려온 교육과정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활동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즉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은, 능동적이고 자율적이기 보다는 수동적으로 시작되며 참여자들의 범위에 있어 다양하기 보다는 제한적이고 활동유형도 소극적인 수준에 한정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실행과 교사들의 참여를 방해하는 주된 요인으로는 제도적 미비 이외에 과중한 근무부담으로 인한 시간 부족, 전문적인 지식 및 경험 부족, 그리고 관심과 인식의 부족 등이 지적되었다. 교사들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을 성공적으로 지속시키려면 이러한 요인들을 개선하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많은 수의 교사들 특히 참여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대부분은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직접 참여하기를 원하였다. 그러나 일부 교사들은 필요성조차 인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혹은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실행 가능성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참여에 대해서도 원하지 않거나 모르겠다고 응답하는 등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교사들의 대부분은, 다양한 집단이 참여하되 스스로 원하는 혹은 참여자들의 민주적 협의에 의하여 결정된 교사가 지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중앙으로부터 만들어져 내려온 교육과정을 수정하거나 보완하는 활동을 선호함으로써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바람직한 활동유형에 대한 인식에서는 여전히 소극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