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수업의 효과

Title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수업의 효과
Other Titles
The mathematical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reinforced teaching method.
Authors
박은경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수학교과에서의 협동학습을 통한 일지 쓰기 활용 수업이 제 7차 교육과정의 수학과 목표인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수업을 한 학급과 일제학습을 한 학급간의 자기주도성에서 차이가 있는가? 2.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수업을 한 학급과 일제학습을 한 학급간의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수업을 한 학급과 일제학습을 한 학급간의 문제해결력에서 차이가 있는가? 4.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학 수업을 한 학급과 일제학습을 한 학급간의 수학적 성향에서 차이가 있는가? 이들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울산시 소재의 I중학교 2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2개 학급으로 나누었고, 사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1학기 중간고사, 수학적 성향검사, 자기주도성 검사,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여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실험집단은 약 8주 동안 협동학습의 형태로 일지 쓰기 활용수업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같은 교과서로 일제수업만 받았다. 사후에 1학기 기말고사와 자기주도성 검사, 수학적 성향검사, 문제해결력 검사를 실시하고 t-검증을 통해 의사소통을 강조한 수업이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로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자기주도성면에서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 수업을 지도받은 학생들은 일제 학습 지도를 받은 학생들과 비교해서 유의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 구성요인 중에서 학습에 있어서 주도성 및 독립성,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감의 면에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즉, 두 요인에서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수업이 효과가 있음을 보여 주는 것이다. 둘째, 학업 성취도면에서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 수업을 지도받은 학생들은 일제 학습을 받은 학생들과 비교해서 유의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 학습은 현재 학교에서 시행 중인 평가에서 일제 학습을 지도 받은 학생들과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셋째, 수학 문제 해결력면에서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 수업을 지도받은 학생들은 일제 학습을 받은 학생들과 비교해서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 수업은 수학 문제 해결력에서 일제 학습을 받은 학생들과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넷째, 수학적 성향면에서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 수업을 지도받은 학생들은 일제 학습 지도를 받은 학생들과 비교해서 유의 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수학적 성향의 구성요인 중 수학에 대한 호기심, 반성면에서 일제 학습을 지도 받은 학생들과 비교해서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 수업의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상의 연구에서 의사소통이 강조된 수학 수업은 기존의 일제 학습을 받은 학급과 비교하여 자기주도성과 수학적 성향면에서 수학적으로 사고하는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후속 연구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일지 쓰기 뿐 만 아니라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위한 다양한 학습 자료와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자기 주도적인 학습의 변화량을 보기 위해서 보다 장시간에 걸쳐 효과를 기다려야 할 것이다. 셋째, 객관식 고사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의 창의력, 추론능력, 문제해결력 등의 다양한 평가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are instituted in order to find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reinforced teaching method, journal-writing, cooperative learning. 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ense of self-directedness the group with the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and the group with communication-reinforced teaching method applied? 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int of math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group with the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and the group with communication-reinforced teaching method applied? 3.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cept of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the group with the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and the group with communication-reinforced teaching method applied? 4.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int of mathematical disposition between the group with the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and the group with communication-reinforced teaching method applied? In order to analyze these research problems, 2 classe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2 classes of controlled group have taken the mid-term examinati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ests and math disposition tests in advance and their similarities are confirmed. The experimental groups used the activity of journal-writing for 8 weeks, but the controlled groups had only taken traditional uniform learning. Later both of the two groups took final examination, self-directing learning test, math dispositi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test. Through t-test, its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led group within significant level of .05 Especially, there were differences in some of important factors such as self-directing, independence and responsibility in learning. Two results show the effectiveness of journal-writing and cooperative learning. 2.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 learning achievement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led group within signifiant level of .05 In other words, math learning through journal-writing didn't show any effectiveness in the school evaluation. 3.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led group within significant level of .05 That is to say that learning through journal-writing doesn't show any effectiveness i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bility. 4.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 disposi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led group within significant level of .05 The inquisitiveness and self-reflection on math among math disposition were impro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aking everything into consideration, it was conclud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had been taught with journal-writing was more competent in self-directed learning and math terminolgy-thinking which is one of mathematical factors. Now a few suggestions will be followed as closing words. Firstly, various other study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long with the journal-writing as one of the self-directed learning. Secondly, the long-term effectiveness must be emphasized to notice the change of self-directed learning. Thirdly, various evaluation methods must be developed to estimate students' creativeness, inference,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stead of multi-choice ques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