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나은-
dc.creator윤나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56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1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561-
dc.description.abstractAffective aspect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learning of cognitive strategy. Namely, the mathematical ability of studying, developing and proving can be achieved when there is a mental attitude to do th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tudent's learning status, understand them much better and perform much more proper education to students by investigating mathematics anxiety, mathematics attitude and attribution tendency among diverse variables that represent the affective domain and grasp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is connection, concrete study problems are as following. 1. How is the mathematics anxiet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by grades and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what differences exist? Furthermore, do differences by grades about mathematics anxiety exist according to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2. How are the mathematics attitude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oward mathematics by grades and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what differences exist? Furthermore, do differences by grades about the mathematics attitude exist according to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3. How are the mathematics attribution tendency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by grades and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and what differences exist? Furthermore, do differences by grades about mathematics attribution tendency exist according to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As for the subject of this study, the samples were 551 male and female students of E middle school and E high school in Seoul. While the students in the first year of high school were selected, the students in every year (from the first to the third) of middle school were considered in this research. The mathematical anxiety measurement of Choi Jin-seung (1998), the attitude measurement about mathematics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992) and the attribution tendency questionnaire of Lee Jae-seung (1991) were used as measurement tools and the levels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were divided into highㆍmiddleㆍlow grades followed by class organization by level.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One way Anova, MANOVA, Tukey's Post-Hoc Test were perform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study problems. The major results achieved by this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as grades ascends, our secondary school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anxiety extent in mathematics learning. In the sub-factors of anxiety, bigger anxiety was shown in mathematics evaluation anxiety than mathematics content anxiety. According to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all the students in the high,middle, low grades didn'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mathematics content anxiety and mathematics evaluation anxiety. As grades ascends, the high-ranking group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evaluation anxiety and the middle-ranking group showed tendencies to increase all the content anxiety and evaluation anxiety. And the low-ranking group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evaluation anxiety as grades ascends. Second, as grades ascends, our secondary school students showed a negative tendency to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In the sub-factors of the attitude toward mathematics, self-concept and learning habit about the curriculum proved to be less than attitude about the curriculum. According to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all the sub-factors was shown to the orders of high-ranking, middle-ranking, low-ranking. As grades ascends, the high-ranking group doesn't show any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three attitude factors and the middle-ranking group showed an inclination to decrease all the three attitude factors. In the low-ranking group, self-concept and learning habit tend to be decreased as grades ascends. Third, as grades ascends, our secondary school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figures of attribution about each attribution. And figures of internal attribution, controllable attribution and stable attribution a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attributions. As for the levels of academic achievements, the high-ranking students showed higher figures of attribution about success and the low-ranking students did those of attribution about failure. It means that the high-ranking students tend not to accept failure and the low-ranking students not to accept success. The high-ranking group became more stable attribution tendency in the success side of academic accomplishments as grades ascend while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to attribution tendency in the failure side of academic accomplishments as grades ascend. In addition, the middle-ranking students became more controllable and stable attribution tendency in the success side of academic accomplishments as grades ascend while they tended to more attribute to internal and external attributions, controllable attribution and stable attribution in the failure side of academic accomplishments as grades ascend. In the low-ranking group,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to the attribution tendency about the success and failure of academic achievements as grades ascend.;인지적 전략의 학습에는 정의적 측면이 많은 영향을 준다. 즉, 수학화하거나 발견하며 논증하는 능력은 그것을 하고 싶은 마음가짐이 있어야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의적 영역을 대표하는 여러 변인 중, 수학불안, 수학에 대한 태도, 귀인성향을 조사하여 중등학교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학생들을 보다 잘 이해하며, 학생들에게 보다 적절한 교육을 행하는데 있다. 이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중등학교 학생들의 학년별,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수학불안에 차이가 있는가? 또, 그 내용은 어떠한가? 2. 중등학교 학생들의 학년별,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수학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또 그 내용은 어떠한가? 3. 중등학교 학생들의 학년별,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수학적 귀인성향에 차이가 있는가? 또 그 내용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서울시 소재 남녀공학인 E중학교 1․2․3학년과 E고등학교 1학년 학생 5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사도구는 최진승(1988)의 수학불안 검사,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개발한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 이재승(1991)의 귀인성향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생들의 학업성취수준은 수준별 반편성에 의해 상․중․하로 나누었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일원변량분석, 다변량분산분석, Tukey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중등학교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수학학습에서 불안정도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불안의 하위요인에서 수학내용불안보다는 수학평가불안에서 더 큰 불안을 나타내었다. 또한,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불안정도는 상ㆍ중ㆍ하 학생들 모두 수학내용불안과 수학평가불안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상위그룹과 하위그룹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평가불안이 커지는 경향을 보였고, 중위그룹은 내용불안과 평가불안 모두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우리나라 중등학교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수학에 대한 태도가 부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수학에 대한 태도의 하위요인에서 교과에 대한 자아개념ㆍ학습습관이 교과에 대한 태도보다 수치가 작게 나타났다. 학업성취수준에 따라서는 세 가지 하위 영역 모두 상위그룹의 수치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중위그룹, 하위그룹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그룹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세 가지 태도 요소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고 중위그룹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세 가지 태도 요소 모두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하위그룹에서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자아개념과 학습습관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우리나라 중등학교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각각의 귀인성향이 강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 다른 귀인보다 내적귀인, 통제가능귀인, 안정귀인들에서 원인을 찾는 성향이 강하였다. 학업성취수준에 따라서는 상위 학생은 성공에 대한 귀인성향이 강하였으며, 하위 학생은 실패에 대한 귀인성향이 강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상위 학생은 실패를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크고 하위 학생은 성공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큼으로 짐작되어진다. 상위그룹은 학업성취 성공면에서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더욱 안정적인 귀인에서 성공의 원인을 찾는 성향이 강했고 학업성취 실패면에서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귀인성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중위그룹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업성취 성공면에서는 더욱 통제가능하고 안정적인 귀인들에서 성공의 원인을 찾는 성향이 강했고, 학업성취 실패면에서는 더욱 내적귀인, 외적귀인, 통제가능귀인, 안정귀인들에서 실패의 원인을 찾는 성향이 강했다. 하위그룹에서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업성취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성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더 나은 후속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수학 학습에서 각 단원에 대하여 학년별, 학업성취수준에 따라서 정의적 영역의 특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각 단원에 따라서 정의적 영역에서의 특성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어려움을 겪는 단원에 대한 이유를 정확히 파악하고 해소시킬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양적 연구를 통하여 수학학습에서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특성을 조사해 보았다. 이러한 양적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의 특징에서의 어려움을 해결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처치 방법의 질적 연구가 필요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 문 개 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5 C. 용어의 정의 = 6 D. 연구의 제한점 = 7 Ⅱ. 이론적 배경 = 8 A. 수학불안 = 8 1. 수학불안의 개념과 특성 = 8 2. 수학불안에 대한 선행 연구 = 11 B. 수학에 대한 태도 = 15 1. 수학에 대한 태도의 개념과 특성 = 15 2. 수학에 대한 태도에 대한 선행 연구 = 17 C. 귀인성향 = 21 1. 귀인성향의 개념과 특성 = 21 2. 귀인성향에 대한 선행 연구 = 25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 29 A. 연구대상 = 29 B. 검사도구 = 30 C. 자료처리 = 34 Ⅳ. 결과분석 및 논의 = 35 A. 연구문제 1 = 35 B. 연구문제 2 = 42 C. 연구문제 3 = 50 D. 논의 = 66 Ⅴ. 결론 및 제언 = 70 참고 문헌 = 74 부록 = 79 <부록 Ⅰ> 수학불안 검사지 = 80 <부록 Ⅱ>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 = 83 <부록 Ⅲ> 귀인성향 검사지 = 87 <부록 Ⅳ> Pearson의 상관 계수 = 89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23429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중등학교 학생들의 수학학습에서 정의적 영역의 특성에 대한 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Investigation Study on Characteristics of Affective Domain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bout Mathematics-
dc.creator.othernameYoon, Na Eun-
dc.format.pageix,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수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