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호연-
dc.creator이호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1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7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학교 교육에서 대부분을 차치하는 제도교육의 핵심영역인 교실 수업을 관찰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교실 수업을 관찰 분석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중학교 과학 교실 수업을 관찰 분석하여 과학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 유형을 알아보고 유의미하며 활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수업을 구성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 서울, 경기, 부산 지역 소재의 중학교 1, 2, 3학년 과학담당 교사 10명을 선정하였으며, 10명의 교사와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차시의 수업을 관찰하였으며 관찰을 위해 각 교사의 수업을 캠코더와 MD를 이용하여 녹화, 녹음 작업을 하였다. 녹음된 20차시의 수업을 전사한 후 수업 분석 점검표에 의해 분석하였다. 이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지 파악하여 보았고 수업의 형태는 강의식 수업과 실험 수업으로 나누어 각각의 수업 형태에서 상호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각 상호작용 패턴별 빈도수와 비율은 어떠한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교사의 해당 수업 내용과 교사의 전공 일치 여부에 따라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은 어떤 양상을 띠는지를 알아보고자 교사 변인에 따라 수업을 나누어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형태와 형태별 빈도수 비율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식 수업에서는 교사-학생 상호작용 중 교사가 질문을 시작하여 담화가 시작되는 경우 IRF패턴(반복수 1)이 34%의 비율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IRFRF패턴(반복수 2)이 10%로 그 뒤를 이었다. 강의식 수업에서 교사의 질문으로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경우의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3.2였다. 강의식 수업에서는 학생의 질문으로 상호작용이 시작되는 경우는 미미하였다. 실험 수업에서는 교사가 질문을 시작하나 경우 IRF 패턴이 46%의 비율로 가장 많은 빈도수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IR, IRFRF 패턴이 각각 10%를 차지해 뒤를 이었다. 실험 수업에서 교사의 질문으로 시작되는 상호작용의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1.7이었다. 또한 실험 수업시 학생의 질문으로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경우는 I(5)F패턴이 52%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I(5)FRF 패턴이 21%로 뒤를 이었다. 실험 수업에서 학생이 질문을 시작하는 경우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1.7이었다. 강의식 수업은 교사 주도적인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실험 수업은 교사와 학생이 모두 주체가 되어 상호작용을 이끌어 가고 있었다. 실험 수업 중 전공 교사와 비전공 교사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하는 상호작용 형태는 동일했다. 두 집단 모두 실험 수업 중 교사의 질문으로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경우 IRF패턴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다. 학생의 질문으로 상호작용을 시작하는 경우 I(5)F 패턴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차이가 났다. 실험 수업시 전공교사의 상호작용의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1.9이며 비전공 교사는 2.1이다. 전공 교사의 수업에서 학생이 질문을 시작하는 경우의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1.8이며 비전공 교사의 수업에서도 학생이 질문을 시작하는 경우의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1.8이다. 강의식 수업에서 전공 교사는 IRF패턴을 34%로 가장 많이 사용하며, IRFRFRFRF 패턴은 13%로 두 번째로 많이 사용한다. 강의식 수업에서 전공 교사의 상호작용의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4.0이다. 비저공 교사는 강의수업시 IRF패턴을 33%, IRFRF패턴을 12%로 사용하고 있었다. 비전공 교사의 강의수업시 응답과 피드백의 평균 반복수는 2.9이다. 강의식 수업에서 전공 교사는 비전공 교사에 비해 활발한 상호작용을 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은 수업의 형태에 따라 교사의 변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전개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교사와 학생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위하여 교사의 다양한 질문별 개발, 필요한 경우 학생의 응답에 지연 피드백을 주기 위한 다양한 전략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강의식 수업시 학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사 자신의 전공 이외의 영역에 대한 본인의 노력과 대외적인 프로그램이나 연수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observing and analyzing class education, which is the key field of systematic education occupying a large portion in Korean school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focus particularly on verbal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observing and analyzing class education. It aims to examine the types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performed in a science class, and to search for the ways to compose lessons in which meaningful and activ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achieved by observing and analyzing lessons in a junior high school science class. Ten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for 1st, 2nd and 3rd grades of middle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Busan areas along with their responsible classes were chosen as the targets for this study. A total of 20 lessons were observed, and classroom lessons of each teacher were recorded using a camcorder and MD for observation. After transcribing all 20 lessons, they were analyzed based on the lesson analysis checklist. Based on analyzed data in the lesson analysis checklist, the pattern of interact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were grasped, and the way of interacting in each respective lesson as well as the frequency rate of interaction for each pattern were studied by dividing the pattern of lessons into a lecture-type lesson and an experiment lesson. In addition, the patterns of interacting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 frequency rate for each pattern were studied by dividing the lessons according to variables of teachers to examine the type of aspects taken on by interacting in lessons depending on teacher's majoring in the subjects. As for the pattern of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a teacher initiation occurring during lecture-type lessons and experiment lessons, much more delayed feedbacks were used for lecture-type lessons.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repetitious pattern of response and feedback occurred much more actively for an initiation in lecture-type lessons. It was observed that even though a gap between teachers who majored and who did not major in a relevant subject was insignificant in experiment lessons, teachers who majored in a relevant subject interacted slightly more actively in lecture-type lessons. The development of teaching strategies that strengthen questioning techniques and feedbacks in a various forms is needed for the activation of interaction activities. In addition, continuous study on teacher-student interaction is also need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비고츠키의 사회적 구성주의 = 3 B. 교사-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 4 C.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선행연구 = 5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 7 A. 연구절차 = 7 B. 연구대상 = 8 C.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 11 Ⅳ. 연구 결과 및 고찰 = 27 A. 강의식 수업과 실험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학생 상호작용 = 27 B. 교사의 전공 일치 여부에 따른 교사-학생 상호작용 = 37 C. 교사-학생 상호작용 질적 분석 = 54 Ⅴ. 결론 및 제언 = 57 A. 결론 = 57 B. 제언 = 59 참고문헌 = 60 부록 = 62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531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title중학교 과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형태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eacher-students verbal interaction patterns in middle school science classrooms-
dc.format.pagex, 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과학교육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과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