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7 Download: 0

교수몰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Title
교수몰입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Other Title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eaching Flow State Scale
Authors
최기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Csikszenmihalyi의 몰입의 개념에 기초하여, 한국의 중고등학교 교사들이 수업 시간 중에 경험하는 몰입을 측정하는 교수몰입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일반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외 몰입 연구와 몰입 측정 척도를 검토하여 이론적 구인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문항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문항들은 예비검사 절차를 거쳐 문항 분석 및 요인 분석을 통해 일부 제거되어 최종 45문항만이 선정되었다. 최종 교수몰입 척도는 470명의 전국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검사 자료를 토대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의 구조를 확인하였다. 또한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사효능감과 교사직무만족도와의 상관을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몰입과 교사효능감, 교사직무만족도와의 인과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Csikszenmihalyi의 몰입의 아홉 가지 특성에 기반을 두고 교수몰입 척도의 하위 요인을 도전과 기술의 균형, 행동과 지각에 일치, 명확한 목표, 구체적 피드백, 과제에 대한 전적인 집중, 통제감, 자의식의 상실, 시간의 변형된 느낌, 자기 목적적 경험의 아홉 가지로 구분하고 각 요인에 해당하는 교수몰입을 측정하는 문항을 제작하였다. 2. 예비검사 시행을 통해 얻은 자료를 통해 문항 분석과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적절하지 않은 문항을 제거하였다. 또한 요인의 수를 결정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와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아홉 개의 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어 최종적인 문항 수 조정을 통해 총 45문항으로 구성된 본검사가 제작되었다. 3. 본검사 실시를 통해 얻은 자료를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섯 개의 요인만 확인이 되었으나 이론에 포함된 내용의 중요성을 고려하여 아홉 가지 하위 요인들을 그대로 유지하기로 하였다. 아홉 가지 하위 요인의 내적 합치도는 Cronbach의 가 .678 ~ .864로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교수몰입 척도의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사효능감 척도와 교사직무만족도 척도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수몰입은 교사효능감, 교사직무만족도와 모두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교수몰입의 하위 요인 중 특히 도전과 기술의 균형은 교사효능감과, 자기목적적 경험은 교사직무만족도와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5. 마지막으로 교수몰입이 교사효능감, 교사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으로 작용하는지의 인과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결과 교수몰입은 교사효능감과 교사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변인으로 작용하며 교사직무만족도는 교수몰입이 교사효능감을 예측하는데 중재 변인으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Teaching Flow State Scale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chers.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view of Csikszentmihalyi's flow state model and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m, 59 items were developed. The preliminary scale was administered to 188 teachers. After item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14 items were deleted and 45 items were retained for the final teaching flow state scale. The 45-item final scale was administered to 47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and theoretical basis, nine-factor structure was examined. After then,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 teaching flow state scale, teacher efficacy scale,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scale for the validity. Finally, researcher conducte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for test of cause and effect. The result was teaching flow is cause of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And also teacher job satisfaction mediates the teaching flow and teacher efficac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