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유미-
dc.creator이유미-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90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9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aggression reduction program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4th, 5th and 6th grade) of low-wage class, positioned in high environmental danger group,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ased on MeichenBaum's principle of cognitive behaviorism (1975), this study also refers to Kim Hyun Joung(2001)'s 'Group treatment program for improving problematic behavior of children from poor families,' Kim Young Thae, Back Han Sam & Kang Sin Duck(1995)'s 'Anger management for teenagers,' and Hughes(1992)' 'STAR (Students Taking Assertive and Responsible Action) Program.'Also, from my past research in group programs effective for aggression reduction, I excerpted only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target age in this study. With help of one development psychologist, one clinical psychologist and one play therapist, I developed a program that fits the circumstances in Korea. This program, aimed at changing cognitive schema managing anger, improving self-esteem and improving social skills, is composed of 8 sessions in total. This program not only manages anger but also helps the children to learn how to express anger in proper way. The program also tries to correct the cognitive schema that makes the children to interpret ambiguous situation as hostile and justify their aggressive behavior. Moreover, the program attaches great significance to the intimat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the therapist, to maximize the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efficiency in problem-solving skill training. The research sample was comprised of children of 4th, 5th and 6th grade, attending After School Child care Center(provided for free for the low-wage families) N and After School Child care Center(provided for free for the low-wage families) S located in Seoul. Except for one child for whom it was impossible to participate in the study due to mental retardation, I randomly assigned the children into the treatment group (N=18) and the control group (N=20). Among these children, two children who were absent in the treatment program more than twice and 5 children from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answer the post-experiment survey were excluded. Other children in the treatment group (N=16) and the control group (N=15) were analyzed. In the treatment program, one main researcher and two assistant researchers participated. The sessions were provid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each session lasting 1 hour and a half. In order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 compared the treatment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treatment program for 4 weeks and the control group, using ex-experiment survey and post-experiment survey. The result showed tha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treatment group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aggression reduction program experienced a significant decrease in negative cognitive schema, aggression,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r and problematic behavior, and a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ability in the area of self-control. In case of the composure of the teachers, the problematic behavior of the treatment group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he program and social skills ability increased. The research result was as follows. First, after attending the aggression reduction program, negative automatic thinking of low-wage class children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result shows that children understood the diversity of point of views and distorted cognitive schema, and learned to manage the anger by using positive cognitive schema in ambiguous situations. Second, the self-esteem of children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By confirming that they are being valued by important others like friends and teachers, the self-esteem of children improved, and they began to evaluate themselves positively. Third, the social skills ability of children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both self-report of the children and the report from teachers. I believe that the activities aimed at expressing anger in appropriate ways and finding ways to solve problems helped children to reduce aggression. Fourth, the aggression, the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r and problematic behavior all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fter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I think that the decrease in negative automatic thinking improved anger management ability, and developing social skills in problem behavior and self-esteem that provides support for internal emotion led to decrease in aggression. This study, by developing and executing an aggression reduction program targeted at low-wage class children that considered all the variables affecting aggression, confirmed the effectiveness the program has on aggression reduction. This aggression reduction program is different from other programs in that the program is not targeted at juvenile delinquents. This is a prevention program targeted at the general children in low-wage class who face many causes of danger. This program has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focuses on the ex-ante prevention of anger being expressed by aggressive behavior. The prevention was done by intervening into the negative cognitive schema in not only negative situations but also in ambiguous situations, cutting off the automatic negative thinking. Together with the anger management, the program provided appropriate alternatives other than suppressing anger or expressing it in violent ways. In addition, this study considered the environmental context in forming the groups and also confirm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three dimensions -aggression, frequency of aggressive behaviors, and problematic behavior.;본 연구에서는 저소득 계층이라는 환경적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프로그램은 MeichenBaum(1975)의 인지행동주의 원리에 근거하여 김현정(2001)의 ‘가난한 가정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집단치료 프로그램'과 김용태, 박한샘, 강신덕(1995)의 ‘청소년의 분노조절 프로그램', 그리고 Hughes(1992)의 ‘STAR(Students Taking Assertive and Responsible Action) 프로그램'을 참고하였고, 본 연구자가 이전에 수행한 다른 집단 프로그램에서 공격성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 내용들을 연령을 고려하여 첨가ㆍ보완했다. 이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도록 발달심리전문가 1인과, 임상심리전문가 1인, 놀이치료사 1인으로 구성된 전문가 3인의 도움을 받아 수정ㆍ제작하였다. 인지도식의 변화, 분노조절, 자아존중감의 향상, 사회적 기술의 향상을 통한 공격성 감소를 목적으로 구성된 이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구성 하였으며, 공격성 감소를 위해 분노 조절 뿐 아니라 아동이 분노를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법을 터득하도록 하였고, 공격적인 아동들이 모호한 상황을 적대적으로 규정하고 공격행동을 정당한 것이라고 믿는 인지도식을 수정하려고 시도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동과 치료자간의 온정적이고 밀접한 관계를 중요시하여 자아존중감 향상과 문제해결기술 훈련의 효율성을 극대화 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에 위치한 N공부방과 S공부방 4,5,6학년 아동으로 프로그램에 참여가 불가능한 정신지체 아동 1명을 제외한 나머지 아동을 치료집단(N=18)과 통제집단(N=20)에 각각 무선적으로 배정하였다. 이중 치료 프로그램에 2회 이상 결석한 치료집단 아동 2명과 사후 질문지를 수행하지 않은 통제집단 아동 5명을 제외한 치료집단(N=16), 통제집단(N=15)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치료 프로그램은 주진행자 한 명과 보조진행자 두 명이 참여하였으며 매회기 1시간 30분씩 주 2회 4주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4주간 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치료집단과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은 통제 집단을 사전, 사후 검사지를 통해 비교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에 참여한 치료집단 아동들은 자기 평정에 있어서 통제집단 아동들에 비해 부정적 인지도식, 공격성(공격성향), 공격행동 빈도, 문제행동이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 능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교사의 평정에서도 치료집단 아동들은 문제행동이 프로그램 전ㆍ후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 사회기술능력은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이 결과 아동들이 긍정적인 인지도식을 활용가능해지고, 분노 조절 능력 향상, 문제 행동에 대한 사회적 기술 능력의 발달과 개인 내적 정서적 지원 요소인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킴으로써 공격성의 감소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저소득층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공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모두 고려한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실시함으로써, 본 프로그램이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은 기존의 프로그램 연구들과는 달리 비행청소년이 아닌 여러 위험요인을 내포하고 있는 저소득층 일반 아동을 대상으로 한 예방 프로그램이며, 부정적인 상황뿐 아니라 모호한 상황에서 부정적 인지도식에 개입을 시도함으로써 자동적인 부정적 사고의 흐름을 끊고 분노가 공격적 행동으로 발현되는 과정을 사전에 차단하는 예방 효과에 중점을 두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분노 조절과 더불어 적절한 표현 방법의 학습을 통해 아이들에게 분노를 억제하거나 폭력적으로 행사하는 것 이외의 대안 방안을 마련해주어 더욱 효과적이다. 이외에 집단 구성에 있어서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였고, 공격성, 공격행동 빈도, 문제행동의 세 측면과 아동과 교사로 평정자를 달리하였을 때의 관점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였기에, 효과적인 개입과 보다 정확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이루어졌다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ⅶ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공격성 = 6 1. 공격성의 개념 = 6 2. 공격성과 관련된 변인들 = 9 가. 환경적 맥락 = 10 나. 인지 도식 = 11 다. 분노 조절 능력 = 12 라. 자아존중감 = 17 마. 사회적 기술 = 19 3. 공격성 인지-행동적 접근 = 21 4.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의 선행 연구 = 22 B. 저소득층 아동 = 25 1. 저소득층의 개념 = 25 2. 저소득층 아동의 특성 = 26 Ⅲ. 연구 방법 = 28 A. 프로그램의 제작 = 28 1. 프로그램의 제작 = 28 2. 각 회기의 목표 및 진행 내용 = 29 3. 프로그램의 실시 과정 = 34 B. 연구 대상 = 35 C. 연구 절차 = 38 D. 연구 도구 = 39 1. 아동용 검사 = 39 가. 한국판 아동·청소년용 자동적 사고 척도(K-CATS) = 39 나. 아동용 자아존중감 척도 = 40 다. 아동용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SSRS) = 42 라. 한국판 청소년 자기행동 평가척도(K-YSR) = 42 마. 공격행동 척도(공격행동 빈도 척도) = 43 바. 아동의 공격성(공격성향) 척도(BDHI) = 43 2. 교사용 = 44 가.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 44 나. 교사용 아동행동 조사표(TRF) = 45 E. 자료 분석 = 45 Ⅳ. 연구 결과 = 47 A.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47 1.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이 아동의 부정적인 인지도식에 미치는 효과 = 47 2.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이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49 3.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이 아동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 50 4. 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 53 가. 아동이 보고한 공격성(공격성향)의 변화 = 53 나. 아동이 보고한 공격행동(빈도)의 변화 = 53 다. 아동이 보고한 문제행동의 변화 = 54 라. 교사가 보고한 문제 행동의 변화 = 54 Ⅴ. 결론 및 제언 = 62 A. 결과 요약 및 논의 = 62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 70 참고 문헌 = 75 부록 목차 = 89 ABATRACT = 10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218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공격성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ggression Reduction Program -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Low-Wage Class-
dc.creator.othernameLee, You-Mee-
dc.format.pagev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