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의 매개역할

Title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의 매개역할
Other Titles
Adult attachment and Help Seeking Intent: The Mediating Roles of Psycological distress, Self Concealment,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uthors
유영란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이 연구는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 간에 어떤 관계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는 성인 애착(불안애착과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지를 살펴보았다.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안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간에는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다. 둘째,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간에는 부적인 직접효과가 있다. 셋째, 성인 애착(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자기 은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불편감을 거쳐서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부산, 인천 지역의 4년제 5개 대학의 학생 330명(남학생:167명, 여학생:1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인 애착을 측정하기 위해서 Brennan과 Clark, Shaver(1998)가 개발한 성인의 낭만적 애착척도(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를 사용하였고,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Cash와 Begley, McCown, Weise(1975)가 개발한 상담 의도 목록(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을 사용하였고, 자기은폐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Larson과 Chastain(1990)의 자기은폐척도(Self Concealment Scale)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불편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Bartone과 Ursano, Wright, Ingraham(1989)이 개발한 증상 체크리스트(Symptom Checklist)를 사용하였고,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Cutrona와 Russell(1987)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Social Provision Scale)를 각각 사용하였다. 성인 애착,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심리적 불편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자기은폐 간의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하기 위해서는 SPSS WIN 11.0을 사용하였고, 성인 애착과 자기은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불편감,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를 측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AMO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형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수용할 만한 적합도를 보여 이 연구에서 설정한 자기은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불편감이 성인 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간에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연구자의 가설과 비교해 볼 때, 연구 결과는 연구자의 가설 중 첫째, 불안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간에는 정적인 직접효과가 있다는 지지되어 불안애착이 강한 사람은 전문적 도움을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회피애착과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 간에는 부적인 직접효과가 있다는 기각되어 추후 연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다. 셋째, 성인 애착(불안애착과 회피애착)은 자기은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불편감을 거쳐서 전문적 도움 추구 의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다는 지지되어 자기은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불편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유력한 변인임을 알 수 있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불편감을 매개변인으로 사용한 모형과 비교하여서는 자기은폐를 추가한 모형이 더 적합도가 좋게 나타나 자기은폐, 지각된 사회적 지지, 심리적 불편감이 더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으나, 두 모형의 적합도 간에 근소한 차이만 나타나 구조적 경로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에 대한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self conceal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help-seeking intentions. Research hypotheses were as follows; 1. There would be a positive direct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on help-seeking intentions. 2. There would be a negative direct effect of attachment avoidance on help-seeking intentions. 3. There would be an indirect effect of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on help-seeking intentions through self conceal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sychological distress. Participants were 330 college students(male: 167, female: 163) at 5 universities in Seoul, Busan, and Incheon. Each participant received a package of measures;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 Scale(Brennan, Clark, & Shaver, 1998), the Intentions to Seek Counseling Inventory(Cash, Begley, McCown, & Weise, 1995), the Self Concealment Scale(Larson & Chastain, 1990), the Social Provision Scale(Cutrona & Russell, 1989), the Symptom Checklist(Bartone, Ursano, Wright, & Ingraham, 1989).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 indicated that the attachment anxiety in individuals was positively related to acknowledging distress and to seeking help. But individuals with the attachment avoidance denied their distress and were not associated to seeking help, so in this matter further study needed. However, both individuals with attachment anxiety and individuals with avoidance concealed the personal information in high level, which negatively contributed to their perception of social support. Their less perceived social support then negatively contributed to their experience of distress, and their distress positively contributed to their help-seeking intentions. In comparison with the alternative model with two mediators,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developed by Vogel and Wei(2005), the two models were both statistically suitable with a bit better index of the hypothesized model with three mediators, self concealmen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psychological distress.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were made for further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