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Title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원욕구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Family Support Needs and Characteristics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Child and Family
Authors
배은경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원욕구를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서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욕구에 맞는 실질적인 가족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일반적 특성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문제행동, 가족기능, 부모 양육스트레스를 포함시켰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6개 소아정신과클리닉을 내원한 아동 중 정서행동장애(자폐 제외) 진단을 받은 만 6세부터 만 18세 미만 아동을 둔 부모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200부 중 160부가 수거되어 회수율 80%를 보였고, 응답이 불분명하거나 누락된 사례 13부를 제외한 147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 중 약물치료를 받고 있는 아동이 71.4%로 압도적으로 많음에도 불구하고 문제행동 평균점수가 선별기준인 총점 13점보다 5.80점이 높아 아동의 문제행동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선별기준을 충족시키는 정서행동장애 아동들의 문제행동 분포는 신체문제가 67.35%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이는 문제를 표현하는 방식으로 신체화증상을 호소하는 한국인의 특성을 보여주는 여러 연구의 결과가 아동에게서도 전형적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가족기능은 일반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들과 비슷하거나 오히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나, 부모 양육스트레스는 부모생활스트레스보다 학부모역할스트레스에 대한 부담이 2배 이상 높게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가족지원 욕구는 평균 117.77점으로, 가족지원서비스 이용의사를 밝힌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은 80.75%를 차지하였다.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은 정보지원서비스, 지역사회지원서비스, 아동보호지원서비스, 타인에게 설명하기, 재정지원서비스의 순으로 가족지원 욕구를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와 달리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은 아동의 행동을 다루는 방법 등의 정보지원서비스를 가장 필요로 하고, 타인에게 설명하기의 경우 정신과나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과 아동의 문제행동을 가정교육의 문제로 돌리는 한국적 정서로 인해 다른 장애아동 가족보다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필요성 인식이 더 높았다고 볼 수 있었다. 넷째,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문제행동, 가족기능, 양육스트레스, 가족지원 욕구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문제행동과 가족기능, 양육스트레스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동보호지원서비스에서 아동 연령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 정보지원서비스에서 치료기간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 아동보호지원서비스에서 아동 학업수행능력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 재정지원서비스에서 월평균 소득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원서비스 이용을 거부하는 가족은 그 이유로 과반수 이상이 주위의 시선이나 편견과 같은 불이익을 들었으나, 타인에게 설명하기에 대한 가족지원 욕구가 더 큰 것은 정신과나 정신장애에 대한 편견과 아동의 문제행동을 가정교육의 문제로 돌리는 한국적 정서로 인해 다른 장애아동 가족보다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필요성 인식이 더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정서행동장애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일하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아동과 가족의 관계 개선을 위한 적절한 정보지원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정서행동장애에 대한 편견 해소 및 인식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보다 적극적으로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대한신경정신의학회나 한국임상심리학회의 경우 산하에 소아청소년연구회나 학회로 별도로 운영된 것에 반해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의 경우 일부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수련기관에서만 소아청소년에 대한 개입과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기에, 조속히 소아청소년연구회와 같은 교육훈련모임이 만들어져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에 대한 편견해소 및 서비스제공에 있어 보다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개입을 제공할 수 있기 바란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 결과 부모가 느끼는 아동의 문제행동이 심할수록 가족기능이 나쁘고, 양육스트레스는 심하며, 가족기능이 좋을수록 양육스트레스는 덜 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서행동장애 아동과 가족을 대상으로 일하는 사회복지사는 문제행동, 가족기능, 양육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개입과 함께 부모가 양육스트레스를 줄이고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정, 개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다수의 정서행동장애가 약물치료를 받고 있음에도 부모가 인식하는 아동의 문제행동이 선별기준보다 현격히 높았다는 것은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에게 약물치료 외에 다양한 치료적 개입이 함께 이루어져야 함을 보여준다. 치료실 안에서 운영되는 집단프로그램 외에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가족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족놀이치료, 대상아동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급이나 지역사회 장면에서 직접 행동수정이나 집단 개입을 하는 것도 필수적이다.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경우 학령기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아동을 둘러싼 교사, 또래, 지역사회 체계와의 갈등 및 학업성취, 학교생활에 대한 우려로 인한 양육스트레스가 가중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족강화모델로 개입을 함에 있어서도 학교를 기반으로 한 개입이 더욱 중요하다. 학교를 기반으로 교사, 특수교사, 양호교사, 임상심리사, 정신과전문의 등과 함께 학교사회사업가나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아동의 문제에 대해 다양한 전문가와의 다학제적 접근이 필수적이며 이 과정에서 아동과 아동을 둘러싼 환경을 고려하여 자원을 발굴하고 적절하게 배치, 개입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더욱 중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셋째,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이 아동의 연령이 어리고 치료기간이 짧을수록, 아동의 학업수행능력과 월평균소득이 낮을수록 특정 가족지원서비스 욕구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행동장애 아동에 대해 우리 나라 역시 비범주적 접근인 ‘발달지체’라는 개념을 도입해 영유아기부터 조기발견, 등록, 진단,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실질적인 서비스지원체계를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대다수의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이 가족지원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에도 부모 스스로도 자비를 들여 사설기관을 통해 제한된 개별치료를 받는 것 이외의 선택이 가능함을 알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가족사회지원 욕구조사에서 ‘내 아이와 내 가족을 위한 권리주창에 나서는 일’항목에서 전체 대상가족 81%가 가장 많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는 점에서 정신보건사회복지사가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과 일함에 있어 ‘권리옹호자’, '활동가‘로서의 역할 또한 보다 적극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한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고자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모집단 전체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에 많은 한계가 있어 비확률표집 중 의도적 표집방법을 활용하였다. 하지만 서울시 소재 6개의 외래 클리닉에서만 조사가 실시되어 연구 결과를 일반화 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서울 이외 지역의 소아정신과 병의원에서의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은 자폐를 제외한 만 6세 이상 - 만 18세 미만의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이었다. 그러나, 초등학생 연령층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여 정서행동장애 아동의 연령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를 유의미하게 분석할 수 없었다. 적응의 문제를 가지는 정서행동장애의 특성을 고려할 때 아동의 발달과 가족주기 변화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정서행동장애 아동 부모를 대상으로 하였으나, 실제 응답은 어머니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가족지원 욕구에 대한 정서행동장애 아동 부모의 차이를 분석할 수 없었다. 이는 대개 소아정신과에 내원하는 부모가 어머니임을 반영하는 것으로 가족기능과 아동의 문제행동의 상관관계를 고려할 때 정서행동장애 아동 부모 각각에 대한 비교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원 욕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향후 가족지원 욕구를 보다 객관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척도가 개발되어 정서행동장애 아동 가족의 가족지원 욕구에 어떠한 변수들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family support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 child and family. For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EBD child are composed of the degree of behavioral problem, the period of treatment for EBD. And characteristics of EBD family are composed of family's characteristics and family function, parenting stress.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of 147 families of EBD children from ○○ psychiatric hospital in Seoul,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20. October. 2005. to 10. November. 2005.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reliability test were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lthough 71.4% of EBD children had medication, behavioral problem of EBD children that was higher CPSQ score 5.80 than CPSQ standard score 13 was shown very serious. Behavioral problem of EBD children was the most serious in somatic symptom explaining 67.35% of the total variance. Second, the family function of EBD child family was similar or higher than the previous researches of general family. but, parenting stress was twofold or more 'typical stress due to the parenting' than 'pressures pertaining to the parental role and distress'. Third, the family support needs of EBD child family was average 117.77. EBD child family wanted family support service form 80.75%. The family support needs of EBD child family was answered as above, and Information support service, Community support service, Child support service, Explaining others and Economy support service. Forth,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behavioral problem, family function, parenting stress, family support needs of EBD child family was significa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