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미리-
dc.creator홍미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0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준비수준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시설 청소년의 퇴소이후 자립을 돕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아동양육시설에 입소한 16세 이상 19세 이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이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양육시설은 소재지와 시설평가결과에 따라 층화표집을 하였으며, 전국의 15개 시설에서 수집한 총 116부의 자료를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시설청소년의 진로준비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이다. 이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시설 입소기간등의 개인적 배경과 진로지도를 받은 경험 및 취업경험, 직업훈련경험, 학교에서의 적응, 사회적 지지이다. SPSS/WIN 10.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Cronbach's α, 요인분석,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성별, 학년, 진로 지도를 받은 경험여부, 진로의논대상, 취업경험, 직업훈련경험에 따라 진로준비수준의 차이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없었으며,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변수는 ‘학년’과 ‘진로의논대상’ 이었다. 둘째,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진로결정수준과 상관관계가 있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지도를 받은 경험, 직업훈련을 받은 경험, 학습적응, 중요한 주변인의 지지, 가족의지지, 친구의지지 변수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시설청소년의 진로준비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독립변수 중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없었다.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진로지도를 받은 경험, 학습적응, 친구의 지지의 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는 시설 청소년의 학습증진을 위한 지원이 진로준비에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시설이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시설의 진로지도 역량이 강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청소년들이 시설을 퇴소하기 이전에 진로상담과 진로준비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도록 규정하는 방안이 마련해야 하며, 진로 전문성을 가진 자원과의 연계가 필요하다. 퇴소를 앞둔 시설 청소년에게 필요한 자립준비의 여러 가지 영역 중 진로준비수준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규명하지 못한 진로결정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This study aims to be helpful to successful self-support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by identifying career readiness levels of adolescents and primary factors influencing them. I surveyed 16 to 19-year-old high school students in institutional care. I stratified institutions by their location and evaluation results of them, and analyzed data from 116 samples collected from 15 institutions over the country. Dependent variables used to measuring career readiness levels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wer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dependent variables were personal backgrounds such as gender, age and residing period in institution, career-guided experiences and work experiences, job training experiences, levels of adaptation to school and social support. Quantitative analyse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factor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by operating SPSS/WIN 10.0.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research on differences in career readiness levels by personal backgrounds, career-guided experiences, work-related experiences show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y academic year and person with whom he or she consulted on career. On the other hand, jop training experiences and work experiences were found not to cause differences in both of career decision level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Secondly, the correlation analyses showed that none of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rrelated with career decision level.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owever,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areer-guided experiences, job training experiences, interests in study, significant persons support, family support and friends support. Thirdly, while there were no factors influencing career decision level among independent variables, there were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such as career-guided experiences, interests in study and friends support as a result of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institutional adolesc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above mentioned indicate that support for improvement of learning ability, the institution is important in career preparation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Therefore, capacity-building on career guide of institutions is necessary for institutions to play a proper role in career preparation. In that sense, appropriate scheme should be established for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to have opportunities to consult their careers and take career preparation programs before they leave the institution and also cooperation between institutions and resources related with career consulting should be organized. Tools to measure career readiness levels of adolescents need to be developed among various aspects of self support preparation which are necessary for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who should leave institutions before long. And also following studies on effective measures to enhance the career decision level, which were not analyzed in this researc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Ⅰ. 서 론 = 1 A. 문제제기 = 1 B. 연구문제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시설청소년의 진로준비 = 7 1. 시설 청소년의 자립 = 7 2. 자립과 진로발달 = 9 3. 시설 청소년의 진로준비 = 15 4. 진로준비 수준의 측정 = 19 B.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3 1. 개인적 배경 = 23 2. 진로지도 받은 경험 및 고용관련 경험 = 24 3. 학교적응 = 27 4. 사회적지지 = 28 C. 연구질문 및 연구모형 = 30 1. 연구질문 = 30 2. 연구모형 = 31 Ⅲ. 연구방법 = 32 A. 변수의 구성 및 측정 = 32 1. 종속변수 = 32 2. 독립변수 = 33 B.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 35 C. 표본선정 및 자료수집 = 40 D. 자료분석방법 = 41 Ⅳ.연구결과 및 분석 = 42 A.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배경, 진로지도 및 고용관련 경험, 학교적응, 사회적 지지 = 42 1. 개인적 배경 = 42 2. 진로지도를 받은 경험 및 고용관련 경험 = 44 3. 학교적응 = 46 4. 사회적 지지 = 47 B. 진로준비수준 = 48 1. 조사대상자의 진로준비수준 = 48 C. 진로준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6 1. 주요변수간 상관관계 = 56 2. 시설청소년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59 3.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0 Ⅴ. 결론 = 64 A. 분석결과의 요약 = 64 B. 연구의 함의 및 한계, 후속연구에의 제언 = 67 1. 연구의 함의 = 67 2. 후속연구를 위한 논점 = 71 참고문헌 = 74 부록 = 82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593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dc.title양육시설 청소년의 진로준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Carer Readiness for independent living of adolescents in Institutional Care-
dc.creator.othernameHong, Mi-Ri-
dc.format.pagevii,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