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고은-
dc.creator김고은-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1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1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0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8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00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강점관점에 기초한 가족탄력성 개념을 장애아동 아버지에게 적용하여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따라서 현재 장애아동 아버지들의 양육참여 정도와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가족탄력성의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 실천에서 가족개입의 중요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여러 변인 중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을 밝혀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통해 장애아동 가족이 건강한 가족생활을 영위하도록 하기 위한 사회사업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발달장애, 정신지체, 뇌성마비 아동을 양육하는 아버지 29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가족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가족통제감 척도, 장애에 대한 가족의 태도 척도, 가족강점 척도, 역할 안정성 척도, 응집력 척도, 가족자원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버지의 양육참여 측정을 위해서는 생산적 아버지 역할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적 통계, t검증 및 one-way ANOVA,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정도를 살펴본 결과, 양육참여활동이 평균 2.65점, 양육에 대한 책임감이 2.72점으로 중간수준의 양육참여를 하였다. 장애아동 양육에 대한 책임감이 양육참여 활동보다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장애아동 아버지들이 장애 자녀에 대한 책임감에 비해 참여활동이 저조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기존의 비장애 아동 아버지들의 양육참여 정도 보다 낮은 수준의 참여정도를 나타내었는데 장애로 인해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더욱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저조한 현실을 보여주었다. 또한 양육참여활동 중 발달적 지지와 돌보기 및 지도 보다 함께하는 활동에 더욱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장애아동 아버지들이 자녀의 장애에 대처하여 지지하고 지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 정도의 차이를 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장애아동 아버지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아동의 성별, 연령, 장애원인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녀의 장애명과 장애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양육참여의 차이를 살펴보면, 아버지의 학력, 종교유무, 아버직의 직업, 수입, 부모교육 참여 여부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가족탄력성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이 서로 통제된 상태에서 가족탄력성의 전체 변인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은 67.4%의 높은 설명력을 보여 가족탄력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나타내었다. 인구사회학적 변인의 설명력은 18.7%로 48.7%의 증가분이 있었으므로 가족탄력성의 순수한 영향력을 알 수 있다.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가장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가족응집력으로 조사되었고 가족통제감, 가족강점, 명확한 의사소통, 장애에 대한 태도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아버지의 양육참여 증진을 위한 가족탄력성 프로그램 구성시 위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우선순위의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결론적으로 살펴보면,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가족변인 특히 가족탄력성이 영향을 많이 준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가족적 접근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스트레스 보다는 가족탄력성이 더욱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토대로 가족탄력성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회복지실천에서 장애아동 가족을 대상으로 특히 장애아동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라는 결점관점의 개입보다 강점관점의 개념인 가족탄력성 강화를 위한 개입이 필요하겠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사회사업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다. 첫째, 장애아동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프로그램 참여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아버지의 교육이나 프로그램 참여의 경험은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므로 적극적으로 아버지들이 교육이나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계속적으로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아버지들에게 자녀의 장애에 대한 이해증진을 원조해야 할 것이다. 장애아동 아버지들에게는 장애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에서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로 이끌기 위한 접근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자녀의 장애 초기에 적극적으로 장애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장애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갖게 하기 위한 장애인식 개선 프로그램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가족탄력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의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자녀의 장애에 대한 스트레스와 부정적 인식에서 전환하여 강점중심 접근이 중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장애아동 아버지들에게는 제한된 시간에 효과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질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가족탄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가족응집력과 가족통제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향상시켜야 한다. 또한 가족간의 의사소통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하고 자원의 활용을 통해 사회, 경제적 자원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원조하는 일이 중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family resilience on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applying family resilience concept on strength perspective. Recently, the concern with the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has been increasing. It has been recognized that the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has a great impact on the child's overall development and family adaptation. But the research on the father with disabled children has been scarcely conducted. While previous researches have focus on the deficit perspective such as stress of family of disabled children, this study shifts its view toward strength-based perspective. So, first, we resaerched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according to population sociology. Second, we'll find family resilience relatively affect to childcare invol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 we'll find out the way how to increase the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by social work interven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upon 295 persons from the father of disabled children(mental retarded, development disorder, cerebral palsy) of the age range of 5year old through 18year old in community welfare center. The survey tools were family resilience and generative fathering.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12.0.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variables analyzed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of study. 1. The result of the variable analysis for disabled child's variables were that the sex of child, age of child had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level of paternal involvement. But handicap type, handicap degree had statistical deifference in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2. The result of the variable analysis for the factors of father's variables were that educational level of father, job of father, the average income, experience of parent education program had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ather's child involvement. 3.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und out influnce of family resilience on the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family resilience was stas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which 67.4% explanatory power. The most powerful influnced factors for childcare involvement of father were family coherence, family control, family strength, correct communication processes, attitude on disability. These findings have provided various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ers of rehabilitation.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ther's childcare involvement is well explained by family resilience. That result illustrates that intervention of strength perspective on family resilience is effective on improve childcare involvement of father. Therefore, the social workers should provide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programs. This research suggests the necessity of father's supports programs, understanding education of disabled children and family camp. And we need to the self-help group of father which can give them emotional support and can hold information in together. Consequently, development and activity of family resilience and father's program which can improve childcare involvement of father, should be made to enjoy healthy lives for family of disabled childre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목적 및 의의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장애아동 가족의 특징 = 7 B. 가족탄력성 = 10 1. 가족탄력성의 개념 = 10 2. 가족탄력성의 요인 = 13 3. 국내외 선행연구 = 19 C.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 22 1. 장애아동 아버지의 특성 = 22 2. 장애아동 아버지 양육참여의 중요성 = 25 3. 장애아동 아버지 양육 관련 변인 = 29 D. 가족탄력성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 32 Ⅲ. 연구방법 = 35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 = 35 1. 연구대상 = 35 2. 자료수집 방법 = 36 B. 연구질문 및 연구모형 = 37 1. 연구질문 = 37 2. 연구모형 = 38 C. 측정도구 및 내용 = 39 1. 가족탄력성 척도 = 39 2. 아버지 양육참여 척도 = 42 D. 자료분석방법 = 45 Ⅳ. 연구결과 = 46 A.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 46 1. 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46 2. 장애아동 아버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 48 B.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과의 관계 = 49 1. 가족탄력성 = 50 1) 가족탄력성의 일반적 경향 = 50 2) 장애아동의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 = 51 3) 장애아동 아버지의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 = 55 2.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 = 59 1)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일반적 경향 = 59 2) 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아버지 양육참여 = 61 3) 장애아동 아버지의 특성에 따른 아버지 양육참여 = 67 C.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대한 가족탄력성의 영향 = 75 1.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75 2. 가족탄력성이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 81 Ⅴ. 결론 및 제언 = 92 A. 연구결과 = 92 B. 실천적 함의 = 97 C. 연구의 한계 및 제언 = 103 참고문헌 = 105 설문지 = 114 Abstract = 1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119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creator.othernameKim, Go Eun-
dc.format.pageviii, 12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