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30 Download: 0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tors of Influencing on Successful Aging
Authors
박경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Degree
Master
Abstract
노인 인구의 증가 추세와 더불어 고령화되어지는 노년기가 길어짐에 따라 노인문제는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인 방향 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노년기는 피할 수 없는 인생의 주기지만 이 시기에는 신체적인 변화, 경제적인 불안정, 사회적 역할 상실로 인한 고독감, 심리적 부적응 등의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한 것은 노인문제 뿐만 아니라 노인집단의 특성변화와 함께 진행될 것이다. 21세기 노인층은 사회인구학적 특성, 즉 교육수준과 경제력에 있어서 이전 세대의 노인들과는 큰 차이를 보이고 있어 삶을 즐기고 보람 있게 보낼 수 있는 사회적 활동, 여가, 안락한 노후생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등에 대한 관심과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노인들 자신이 가진 보유자원이나 가족에 대한 기대, 노년기에 대한 태도나 준비 등에 있어서 기존의 노인과는 상당히 벗어난 모습이 예측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성공적 노후는 더욱 중요성을 갖는다. 성공적 노후의 개념은 노인을 병리적이고 정체된 수동적 존재로 보던 기존의 부정적인 관점에서 탈피하여 노인을 긍정적인 관점으로 바라보고자 하는 노력이다. 외국의 경우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를 심리학, 사회학 등의 학문에서 주로 연구하고 있으나 우리 나라의 경우 주로 가정학, 심리학, 간호학 등에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아직까지 성공적 노후에 관한 명확한 개념정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성공적 노후의 개념이 매우 통합적이고 복합적이라 학자들 간의 일치된 정의를 내리기도 어렵고, 이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은 채 탐색적인 연구를 주로 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성공적 노후를 보내기 위해서는 각 영역들 간의 연계가 필요하고 이를 조정·관리하는 조정자(coordinator)의 역할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그간 사회복지학계에서는 이에 대한 많은 관심을 갖지 못했다. 사회복지의 가장 큰 강점 중 하나인 자원연계 및 자원개발 기술을 활용하여 노인들의 욕구를 즉각 사정하고 필요한 자원을 동원․개발․교육하여 연계하고 관리한다면 성공적 노후를 보내도록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소화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우리나라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 정도를 알아보고, 노인들의 삶의 방식에 따른 성공적 노후는 차이가 있는지 확인해 보아 그들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파악하여 노인복지 실천가나 전문가들에게 노인복지 프로그램 개발 및 노인복지 정책을 수립을 도모하는 데 있어 이해를 돕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내에 거주하며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는 60세 이상 남녀노인 중 임의표본추출을 통해 선정된 400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 및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중 392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질문은 첫째,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노인의 지역적 특성, 노년기에 대한 인식에 따라 성공적 노후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이다. 이 연구질문에 대한 가설 검증을 기초로 한 본 연구의 종합적 결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 정도를 살펴본 결과 5점 척도로 구성된 성공적 노후는 조사대상자들의 총 평균이 3.82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자신의 노후의 삶이 보다 성공적이라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지역적 특성에 따른 성공적 노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년기에 대한 인식에 따른 성공적 노후는 남부지역은 평균 116.85로 성공적 노후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서부지역은 평균 116.23, 북부지역은 113.03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동부지역은 평균 110.21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어 지역별 차이를 보였고 성공적 노후의 인식 정도는 지역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년기에 대한 노인의 인식에 따른 성공적 노후를 분석한 결과 노년기가 생산성이 있다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더 많음을 알 수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노인이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태도 또한 적극적이라고 응답한 경우가 평균 116.80으로 수동적이라고 응답한 경우 99.92에 비해 높게 나타나 적극적 태도를 가진 노인이 더 많음을 알 수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한 결과 개인적 요인(신체적 건강, 경제적 능력), 사회적 요인(여가활동, 사회참여, 종교활동) , 가족요인(가족지지) 모두 성공적 노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한 함의는 아래와 같다. 첫째, 그동안 주로 질적 연구방법에 의해 실시된 성공적 노후에 관한 연구를 우리 나라 사회복지학계에서 최초로 성공적 노후라는 개념을 도입하여 양적 연구방법에 적용하여 봄으로써 성공적 노후에 관한 탐색적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둘째, 고령화되어 가고 있는 노인들의 노후생활의 가장 큰 목표 중 하나가 어떻게 하면 성공적으로 노후생활을 보낼 수 있을지가 가장 큰 관건일 것인데 이번 연구를 통해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 실천 현장에서 노인복지 실천 시 노인들의 길어진 노후를 어떻게 성공적으로 보낼 것인가에 대한 개입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노인복지 실천 현장에서 개인에게 맞춤형 서비스 제공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공적 노후는 성별, 지역, 배우자 유무에 따른 차이를 보였는데 현행처럼 모든 대상들을 개인적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선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 외에 보다 클라이언트 중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화된 프로그램 개발이 요청된다.;As the population all over the world ages, there are concerns regarding every issues of the elderly. There are indications in the literature that individuals in the oldest group experience increases in the number of limitations they face in the areas of physical functioning, cognitive skills,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why it is that some elderly age successfully and are able to remain relatively independent on the face of increasing disabilities, while others not so successful and require extensive interven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dea of Korean elderlies on how they recognize the successful aging and what kind of the factors affect to successful aging. This study also hopes to contribute to make a definition about successful aging in Korean cultural context.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got from a sample survey of using the senior's welfare center who were over 60 year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05 to November, 2005. This study made statistic analysis of the structured questionnaires from 392 person and used those for the final analysis. To analyse research questions,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eff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thod had been used. The major survey questions were first, How Korean elderlies recognize the successful aging? second, Korean elderlies' region and perception to the aging were variables which affected to the successful aging? third, What kind of factors influence to the successful aging? The research revealed the following main conclusions. First, Korean elderlies recognized that successful aging is positive precess. Second, Korean elderlies' region and perception to the aging were positive influencing to the successful aging Third, individual factors, soci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perception to the aging were variables which affected to the successful aging. Based on thes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have been made. First, The new programs which manage the conflict in later life should be provided promptly. Second, it is shown that the variables which affect to successful aging can be maneuver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uccessful aging can be led endeavor of individual and family and the preparation for aging. So, the necessity of program and life time education in the side of family relation and conjugal relations in long-time marital life is required. Som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aking more diverse people. Second, according to the change of sex roles in the later years, the research about the sexual identity and identity of women elderlies is need. Third, the research that speculates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le and female elderlies in their successful aging proce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