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9 Download: 0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Adjustment of the Disabled juvenile
Authors
이은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청소년기는 아동기에서 성인기로의 전화기로써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으로 새로운 출발이 시작되는 제 2의 탄생시기이다. 장애청소년들은 `늦은 청소년기(delayed adolescence)`라는 용어로 표현될만큼 비장애청소년들과 같으면서도 다른 청소년기를 보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장애청소년들은 발달과정에서 장애로 인한 심리적 갈등으로 자아개념을 확고하게 내면화하지 못하는 개인의 문제와 또래집단 형성의 부족, 학교부적응 등의 환경의 문제를 지적하며 사회 적응력이 떨어진다고 보고 있다. 이와 같이 장애청소년은 복합적인 문제로 인해 사회 적응력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하여 개인적ㆍ가족적ㆍ사회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사회복지실천에서 장애청소년 개입의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고 실천적 함의를 도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인천에 위치한 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청소년을 임의표본추출을 통해 이루어졌다. 자가보고식 설문조사가 가능하다고 판단된 지체장애, 청각장애, 시각장애 청소년 188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연구질문은 첫째, 집단별 및 장애유형별 사회적응의 차이가 있는가? 이며 둘째,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이다. 연구질문을 기초로 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별(특수학교, 장애인복지관) 사회적응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유형별(지체장애, 청각장애, 시각장애) 사회적응의 차이 역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으로 장애수용이 가장 큰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장애청소년이 자신의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할수록 사회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적 요인으로는 가족지지, 가족기능(응집성, 적응성)을 보았으며 이 중에서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가족 응집성이 좋을수록 사회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환경적 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를 보았으며 이 중에서 타인으로부터 사랑, 이해, 신뢰, 관심 등을 받는 정서적 지지와 칭찬, 인정을 받는 평가적지지가 높다고 인지할수록 사회적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은 개인적 요인, 가족적 요인, 사회환경적 요인 중 어느 한 특성으로 설명되기보다는 복합적인 영향력을 통하여 가장 잘 설명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지니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중 장애수용 부분에 대한 개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면 효과적인 사회적응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복지실천에 있어 장애청소년이 자신이 가진 장애를 긍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개입의 필요성을 입증하였다. 이것은 곧 실천현장에서 장애청소년들에게 장애를 강점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강점관점으로의 전환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또한 스트레스 대처능력 부분에 대하여 장애청소년들이 자신이 가진 장애, 주변 환경, 사람들을 통하여 가지게 되는 스트레스 중 청소년기에 누구나 가지게 되는 특성을 가짐을 밝혔다. 둘째,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가족의 중요성을 제시함으로써 가족에 대한 지지가 사회적응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장애청소년이 자신의 가족으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다고 인식하는 것이 사회적응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가져오기 때문에 가족 간의 올바른 지지역할에 보다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가족 구성원 각자의 바람직한 역할 모델을 찾을 수 있는 프로그램, 가족의 올바른 의사소통을 위한 대화기술,문제해결 기술 등의 프로그램, 가족 자조 모임 프로그램 등의 가족 지지가 향상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족이 가진 것들에 대하여 구성원들이 바라볼 수 있는 통찰력을 갖고 지속적인 관계를 맺어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사회환경적 변인 가운데 장애청소년들이 청소년 시기에 경험하는 정서적 지지와 평가적 지지가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이것은 친구 혹은 이성에 대한 관심, 신뢰, 애정 등의 정서적 부분과 자신의 모습에 대한 인정이나 부정하는 등의 자기 평과와 관련된 평가적 부분이 유의미하게 나타나므로 장애청소년들 역시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사춘기의 심리·정서적인 부분이 나타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청소년들의 자조모임 등을 통하여 서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인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 사회적응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넷째, 장애청소년의 사회적응에 개인적ㆍ가족적ㆍ사회환경적 요인 가운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다각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함으로 사회복지실천의 관련 프로그램의 다양화에 기여한다. 현재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 장애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되는 일회성 캠프, 방과후 프로그램 등에서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다각적인 부분에 대한 통찰력을 가지고 사정에서부터 사후 관리까지 연계성과 지속성을 가지고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이것을 위하여 개인ㆍ가족ㆍ지역사회 간의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할 것이다.;Adolescence is, as a turning perio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the period of second birth of a person when he or she starts the new life i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ological respect.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disabled juvenile passes an adolescence which is on one hand different from, and on the other hand so similar as to be called 'delayed adolescence' to that of the non-disabled. The preceding researches point out that the disabled juvenile possess weak social adaptive power in development process because of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the personal problem of inability to firmly internalize the notion of ego due to psychological conflict arising from impediment, lack of building up the same age group and maladjustment to school.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onstruct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interven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in practicing social welfare, and to derive a practical consen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by classifying them into personal factor, family factor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 from the point of eco-systematic view. This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random sample taken from special schools and the disabled facilities located in Seoul and Inchon area. The statistical analysis is based on 188 physically, acoustically and visually handicapped who are judged to answer to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Is there any difference among groups and types of impediment?" The second is "What factors have influence on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 which this study on the mentioned question reached. Firstly, the result show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ocial adaptation power neither between two groups(special school and the disabled facilities) nor among types of impediment(physically, acoustically and visually handicapped). Secondly, it is verified that of the personal factors affecting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receptiveness of handicap is the most affecting. And its consequence is that the more receptive of their handicaps the disabled juvenile are, the stronger their social adaptiveness is. Thirdly, family support and family function(coherence, adaptiveness) fall under category of family factors affecting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It is indicated that the stronger family support is and the better family coherence is, the higher their social adaptation is. Fourthly,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social support(emotional, substantial and appraisal support) could be defined as a family factor affecting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It also show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ption by the disabled juvenile of emotional support relevant to love, understanding, trust and interest, and of appraisal support relevant to praise and recognition is, the stronger social adaptive power is. In conclusion,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may be determined by composite influence better than by any single factor of personal, family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The practical consent suggested by this study is as follow. Firstly, The need for intervention in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in order for the disable juvenile to positively receive their handicap is demonstrated by the research result that active conduction of intervention in receptiveness of handicap will make an effective contribution to social adapt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could make the disabled juvenile turn to the standpoint of strength from which they can esteem their handicap as strength. Concerning the management of stres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stress caused by their own handicap, surrounding circumstances and people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as everyone has during adolescence. Secondly, by presenting the importance of family for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this study indicates that family support has an influence on social adaptation. As the perception by the disabled juvenile of family support brings positive influences, it is suggested that more attention be paid to the right roles of family support. Programms to make better the family support such as program for search of desirable role model of family members, program for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skill, self-help meeting program, etc. will provide family members the insight into what they possess and driving force to maintain continuous relationship. Thirdly, this study shows that, of the socio-environmental factors, emotional support and appraisal support which the disabled juvenile undergo during adolescence has an influence on the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Since both the emotional part relevant to love, undersanding, trust and interest of freinds or the other sex and the appraisal part relevant to recognition or denial of their figure, praise and recognition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ay be believed that the disabled juvenile show the sam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 as the non-disabled juvenile. In this respect, opportunities should be offered to them for the effective social adaptation by providing occasions such as self-help meetings useful to recognize things in common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This study is believ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welfare practice programs by indicating concrete factors affecting social adaptation of the disabled juvenile among personal, family and socio-environmental factors. In addition to the current programms used for the disable juvenile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practice such as one time program and after school program, effective programms should be developed with insight into diversified factors through continuously interfacing the beforehand stage with the follow-up. In order to achieve this, network among individuals, families and communities will be requi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