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9 Download: 0

이분산성을 고려한 시계열의 공적분 검정에 관한 연구

Title
이분산성을 고려한 시계열의 공적분 검정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ointegration Test with Time Heterogeneity:Empirical Analysis Using the Demand for Money of Korea
Authors
이윤희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경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Friedman(1959)이 화폐수요는 안정적이라고 본 이래로, 공적분 기법을 이용하여 화폐 수요가 실제로 장기 균형을 이루는지에 관한 여러 논의가 있어왔다. 화폐 수요 함수의 장기적 안정성 규명은 통화 정책의 효과에 관한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주요한 과제로 여겨진다. 우리나라 화폐수요에 대한 선행 논문을 정리한 결과, M1 및 M2의 공적분 검정 결과가 상이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의 공적분 모형에 그 원인이 있었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논문에서는 Park and Kim(2005)와 같이 이분산성 가정하여 공적분 검정을 할 경우에 M1과 M2 모두 화폐 수요의 장기 균형 관계를 설명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1975년부터 2005까지의 30년간 장기 자료를 이용하여 M1과 M2에 대한 화폐수요를 소득, 이자율을 기본 변수로 하여, 예상물가상승률과 환율을 첨가하며 네 가지 모형을 상정하였다. 환율은 주요 무역 대상국을 바탕으로 실질 실효 환율 지수를 추정하였으며, 기본적으로 IMF 외환위기에 따른 구조 변동 및 계절 변동을 반영하였다. 선행 연구와 비교하기 위해 잔차 기반의 공적분 검정(Residual based test)를 한 결과, 비교적 유동적인 M1에 대한 모형에서는 공적분 관계를 찾을 수 있었으나, M2에서는 찾을 수 없었다. 이와는 반대로 요한슨 검정(Johansen test)에 따르면, 물가 변수를 사용하면 M2에서도 공적분 관계를 입증해 주는 결과를 얻었다. 그 이유는 M2는 상대적으로 덜 유동적이어서 다른 경제 상황이 변화하더라도 시간의 차이를 두고 서서히 증감하는 특성에 의해, VAR 모형 근거한 요한슨 검정에 의해서 장기 균형 관계를 판별할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그런데, Park and Kim(2005)과 같이 시계열의 이분산성(time heterogeneity)을 고려하여 공적분 검정을 실시한 결과에서는 M1과 M2 모두 장기 균형 관계를 입증할 수 있었다. 경제의 특성상 오차가 시간에 관계없이 동질적이라는(homogeneous)가정은 사실상 무리가 따르므로, 장기 경제 관계를 살펴볼수록, 정책 변화 및 기타 충격을 무시하기 어렵다. 실제로, 잔차 기반 검정(Residual based test)나 요한슨 검정(Johansen test)에서 M1 혹은 M2에서 공적분 관계가 없다고 보였던 이유는 실제 통화량이 장기 균형관계를 갖지 못함 때문이 아니라, 모형에 대한 제약으로 오차가 동질적이라는 가정을 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화폐 수요 외에도 여타 경제의 장기 균형 관계 및 안정성을 판별할 때에는 등분산성 가정을 개선시켜 공적분 검정을 사용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After Friedman (1959) assumed that the demand for money be stable, there have been a lot of empirical studies about the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of money demand function using the test for cointegration. It is a major study because the effect of money policy is based on the stable money demand. So far, there were opposite analysis about cointegration test for money demand of Korea - neither for M1 nor M2 was cointegrated. In case of previous studies, I think that the limits of classical assumptions caused the different results. Therefore, this paper tested whether both models for M1 and M2 are cointegrated if assuming the error with time heterogeneity like Park and Kim (2005). In this paper, I used the money demand model which is explained by income, interest rates, expected inflation and exchange rates, additionally. Used data were quarterly long term data from 1975 to 2005, and real exchange rates index (REERI) was estimated using the data about major countries of trade. Also, I consider not only a structural break caused by IMF crisis but also seasonal adjustment. As residual based cointegrating tests, models for M1 were cointegrated but models for M2 were not. The results of Johansen tests show that used proxy variables impact the cointegrating relationship. If adding price index, both for M1 and M2 were cointegrated. Because the characteristic that M2 is less flexible than M1 makes M2 changeable smoothly over time. Likewise Park and Kim (2005), this paper tests cointegration relationships with time heterogeneity. It is shown that demand for M1 and M2 of Korea were cointegrated. Throughout long run economic situation, there can be shocks, change of policy, and so on. Therefore, heteroskedasticity in the errors is considerd as an adequate assumption. In the empirical studies of residual based test and Johansen test, the results were different from theoretical base of money demand. It is not because money demand of Korea is not cointegrated, I think, but because the errors are assumed homogeneous along with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경제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