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효임-
dc.creator정효임-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04-
dc.description.abstract본 고는 고암 이응노(顧菴 李應魯 1904-1989)가 그림 안에 쓰기적 측면을 적용해나간 과정을 그의 회화의 양식적 변화 안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동서미술의 특징을 주관적으로 해석하며 자신의 작업에 적용해왔다. 이응노의 작업은 서화가로 시작한 작가의 바탕에 한국을 비롯한 근대 동아시아의 미술과 서구 미술이 복합적으로 결부되며 형성된 것이다. 서화가 일체된 동양문화와 근대 한국미술의 정체성 논의 그리고 전후 유럽미술의 추상경향 등이 모두 이응노의 회화에서 그리기와 쓰기가 관계 맺는데 영향을 주었다. 동양화의 내재적인 발전 과정선상에 놓여 주로 분석되어 온 이응노를 외부맥락과의 연관성 안에서 살펴봄으로써 그의 예술이 지닌 해석 가능성을 확장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전통 동양화가로 작업을 시작한 이응노는 한국미를 세계화한 실례로 평가되어왔다. 작가 자신이 고수했던 동양화가로의 정체성, 붓과 먹의 지속적인 사용 역시 그를 ‘현대화’된 동양화가로서 규정짓는 큰 요소였다. 그러나 이응노가 동양전통회화와 깊은 연결성을 맺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를 전통, 동양이라는 범주에 귀속시키는 것은 이응노 작업의 해석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응노는 전통을 계승했을 뿐 아니라 타문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며 발전되어 왔다. 그가 추구했던 현대화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이응노 작업의 성격과 의의는 다양하게 규정될 수 있을 것이다. 이응노를 타문화와의 상호관계라는 넓은 맥락 안에 위치시켜 고찰함으로써 전통미술의 현대화에 적용되어온 자생과 유입의 이분법적인 구분에 대한 대안적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중년 이후의 삶을 유럽에서 보낸 이응노에게 있어서 서구 사회 안의 상대적인 타자라는 위치는 역설적으로 동양인이라는 작가의 정체성을 보다 의식하게끔 하는 작용을 했다. 따라서 이응노 작업의 한국성은 서구문화라는 외부맥락과 불가분의 관계에서 발현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응노 회화의 형성에 있어서 타문화와의 관계는 그의 작업에 나타나는 서구미술의 측면 뿐 아니라 뿌리가 되어온 전통적, 한국적인 요소를 살펴보는데 있어서도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이다. 이응노 회화의 형성에 있어 상대적인 요소들의 상호작용과 더불어 양식적 변화의 연결성 또한 본 연구가 주목한 부분이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주로 이응노 회화의 시기별 특수성이 부각되어 왔으나 본 고는 쓰기가 다각적으로 적용되는 과정 안에서 나타난 연결성을 살펴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응노 회화에 단계적으로 나타나는 양식적 변화들은 각기 두드러지는 차이를 지니지만 그리기와 쓰기의 관계라는 큰 틀 안에서 볼 때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타문화로부터의 영향, 작품의 변화과정에서 발견되는 연결성이라는 이응노 회화의 외부적, 내부적 특수성을 40여 년에 걸친 회화 작업을 통해 살펴 봄 으로써 작가의 실천적인 태도가 지닌 의의를 재조명해볼 수 있을 것이다.;This thesis is written in attempt to study Ungno Lee's unique drawing style that incorporated various aspect of writing in drawing. He had peculiar views on characteristics of western and oriental paintings, and those views were originated from his Asian cultural background. Further more, the Abstraction of Western art after WW II influenced the evolutions of Ungno Lee's style of work and it has became the basis for the artistic integration of painting and writing.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is discovering of the alternate view on Ungno Lee's work. His work often has been viewed as a part of oriental abstract art, but the author wants to analyze his work from outside view. By analyzing Ungno Lee's work in different angle his work could gain new meaning as a contributor to oriental abstract art. Ungno Lee, who began his career in oriental style paintings, has been described as a painter who introduced the beauty of Korean art to the World. Use of traditional Chinese painting brush and ink, and his new technical skills fixed his image as a modernized oriental painting artist. However, his deep connection to Asian culture and traditional oriental art sometimes limited the significance of his work in place of international art. Despite the dominance of Asian culture in his work, Ungno Lee fully accepted other cultures into his art in attempt to the modernization of oriental art of that time. Therefore, his modernization of oriental art can be defined in many different ways. The interaction of multicultural aspect of his work could be viewed as the solution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art. In his work Ungno Lee not only try to portray traditional style of oriental art but also he embraced other styles of art from western culture. Therefore, in his work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es is the key to the understanding of western and Korean cultural influence. Research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conflicting aspects and the change of style in the development of painting style of Ungno Lee was main part of this thesis. Other researches often describe the development of his style in periodical orders. However, in this paper the emphasis is on the analysis of the use of character writing in Ungno Lee's work.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style in every development stage of his paintings, but the keep occurring theme of character writing never missed its place in his work. By studying forty years long works of Ungno Lee,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his dedication toward the evolu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and truly his devotion brought advance in Korean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 I. 서론 = 1 II. 동서 서체회화와 이응노 회화의 형성 배경 = 7 A. 서구의 서체추상미술 = 8 B. 동아시아의 서체추상미술 = 14 C. 이응노와 1950년대 한국의 미술 = 18 III. 서체적 회화의 양식적 변화 = 24 A. 선의 활용과 추상화(抽象化) = 25 B. 조형적 요소로서의 운필 = 33 C. 상형적 문자 구성 = 40 D. 메시지를 담은 서체 형상 = 47 IV. 결론 = 56 참고문헌 = 60 도판목록 = 65 도판 = 66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0776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이응노의 회화에 나타난 그리기와 쓰기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rtistic Use of Character Writing in Ungno Lee's Paintings-
dc.creator.othernameJung, Hyo-Im-
dc.format.pagei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