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9 Download: 0

수지침 요법과 수지뜸 요법이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여대생의 장 증상에 미치는 효과

Title
수지침 요법과 수지뜸 요법이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여대생의 장 증상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Hand Acupuncture and Hand Moxibustion Therapy on IBS-affected College Women's Bowel Symptoms
Authors
이수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hand acupuncture and hand moxibustion therapy on college women affected with Irritable Bowel Syndrome(IBS), and thereby, develop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which would help relieve them of their irritable bowel symptoms. The study subjects were 297 women attending "S"women college of nursing, who were diagnosed by using the Rome II criteria and 95(31%) college women confirmed with IBS. Of those diagnosed with IBS, 46 of the women agreed to participate in intervention study but two of the women later withdrew from the study leaving 44 women who were then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non-random assignment. Those student nurse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reby agreed to it were finally sampled: the hand acupuncture therapy group(n=14), the hand moxibustion therapy group(n=14); and the control group(n=16). During that time the researcher collected data three times to see how the symptoms of IBS had changed in the participants in both the experimental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The first set of data was collected prior to the therapy treatments(pretest), and the second set was collected three weeks after the therapy had begun(posttest1). And the third set of data was collected one week after end the therapy(posttest2) had concluded. The change of IBS's bowel symptoms were measured for each group by using a Bowel Symptom Severity Scale (BSSS). This tool measured changes in the frequency, distress, and daily life disability associated with bowel symptoms. The data collected was processed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for average, standard of deviation, Fisher’s Exact test, ANOVA, ANCOVA and Scheff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mong the first study subjects 279 women returned the Rome II criteria questionnaire and of those, 95(31%) college women were diagnosed with IBS. 2.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hree groups for a change of bowel symptoms in the frequency from pretest to posttest1, there wasn’t any significant difference(F=2.03, p=.144). However, from pretest to posttest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 acupunctur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the hand moxibustion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F=43.01, p<.0001). 3.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hree groups for a change of bowel symptoms in the distress from pretest to posttest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between the hand moxibustion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F=4.31, p=.020). From pretest to posttest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 acupunctur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the hand moxibustion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F=33.37, p<.0001). 4.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three groups for a change of bowel symptoms in the daily life disability from pretest to posttest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 acupuncture therapy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hand moxibustion group and the control group(F=4.10, p=.024). From from pretest to posttest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hand acupuncture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 the hand moxibustion therapy group and control group(F=34.17, p<.0001). In conclusion, both therapies, performed twice a week for four weeks, totaling 8 therapies, confirmed that hand acupuncture therapy and hand moxibustion therapy are effective interventions to relieve bowel symptoms of IB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needs to be repeated using broader age test groups and using different lengths of testing periods based on shorter and longer therapy sessions to validate the effects of hand acupuncture therapy and hand moxibustion therapy as effective interventions. A verification study about the individual constitution of IBS and its classification is suggested.;과민성 장 증후군은 복통과 배변 장애, 복부 불편감, 복부 팽만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장 질환으로 여성에게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수지침은 자율신경과 호르몬을 조절하여 장부의 기능을 조절하며, 수지뜸은 온열자극을 통해 신진대사와 생리적 기능을 항진시켜 질병의 예방과 관리, 회복에 도움이 되는 요법으로 소화기계 증상 치료에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수지침과 수지뜸을 적용하여 장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S여자 간호대학 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RomeⅡ를 적용하여 과민성 장 증후군 있는 대상자가 95명(31%)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연구에 자발적 참여를 허락한 46명 중 탈락자 2명을 제외하고, 수지침군 14명, 수지뜸군 14명, 대조군 16명을 편의추출법에 의해 선정하여 수지침군은 수지침을 양손에 30분간, 수지뜸군은 황토서암뜸을 양손에 3장씩 적용하였고, 두군 모두 4주 동안 주 2회 총 8회 적용하였으며, 대조군은 아무런 처치를 시행하지 않았다. 자료수집은 2005년 4월 19일부터 6월 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실험처치 전(사전조사), 실험처치 3주가 되는 시점(사후조사1: 2주간의 효과), 실험처치 종료 후 1주일이 되는 시점(사후조사2: 4주간의 효과) 총 3회에 걸쳐 실험군과 대조군의 과민성 장 증상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도구로는 Boyce, Gilchrist 등(2000)이 개발한 장 증상 중증도 척도(Bowel Symptom Severity Scale: BSSS)를 이용하였으며, 이 도구의 세부 항목으로 장 증상의 빈도, 장 증상으로 인한 괴로움, 장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설계는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이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WIN 12.0 Program을 사용하였고, 수지침군, 수지뜸군과 대조군 세 집단의 동질성 검증을 위해 피셔의 정확 검정법(Fisher's Exact test)을 사용하였으며, 세 집단의 장 증상 점수에 대한 동질성 검증은 분산분석법(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수지침군, 수지뜸군과 대조군 세 집단간의 측정시점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장 증상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으로 분석하였으며, 집단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다중비교 방법(Multiple comparison)으로 Scheffe test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연구의 대상자 중 과민성 장 증후군으로 분류된 대상자는 297명 중 95명(31%)으로 과민성 장 증후군이 있는 여대생을 확인하였다. 2. 수지침군, 수지뜸군, 대조군간의 장 증상 빈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사전조사에서 사후조사1까지는 수지침군, 수지뜸군, 대조군 세 군 모두 장 증상 빈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F=2.03, p=.144), 사전조사에서 사후조사2까지는 수지침군과 대조군, 수지뜸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43.01, p<.0001). 3. 수지침군, 수지뜸군, 대조군간의 장 증상으로 인한 괴로움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사전조사에서 사후조사1까지는 수지뜸군과 대조군간에서만 유의한 차이(F=4.31, p=.020)를 보였고, 사전조사에서 사후조사2까지는 수지침군과 대조군, 수지뜸군과 대조군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3.37, p<.0001). 4. 수지침군, 수지뜸군, 대조군간의 장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사전조사에서 사후조사1까지 수지침군과 대조군, 수지뜸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F=4.10, p=.024)를 보였으며, 사전조사에서 사후조사2까지도 수지침군과 대조군, 수지뜸군과 대조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F=34.17, p<.0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주2회 4주간 총 8회 수지침 요법과 수지뜸 요법의 처치를 적용한 결과 2주간 적용 후에는 수지침군과 수지뜸군 모두 장 증상의 빈도에 있어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으며, 장 증상으로 인한 괴로움의 경우 수지뜸군만이 괴로움이 감소되었고, 장 증상으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의 경우는 수지침군과 수지뜸군 모두 일상생활 장애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단기간 요법 적용에 따른 신체적·정서적 증상 변화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하지만, 4주간 적용 후에는 수지침군과 수지뜸군이 모든 부분에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수지침 요법과 수지뜸 요법이 과민성 장 증후군의 장 증상 완화에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수지침 요법과 수지뜸 요법이 과민성 장 증후군의 장 증상 완화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고, 또한 요법의 적용 기간을 장·단기별로 구분한 반복 연구와 과민성 장 증후군의 아형 및 개인별 체질 분류에 따른 검증 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