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예영-
dc.creator김예영-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7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76-
dc.description.abstract북한이탈주민의 수가 급증한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북한이탈 아동의 수 역시 증가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으나 여전히 북한이탈 아동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미흡하며 특히 북한이탈 아동의 건강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아동기의 건강은 일생을 건강하게 살아가도록 하는 기초가 되며 아동의 건강상태는 생애 전 과정의 삶의 질을 좌우할 만큼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북한이탈 아동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평가하여 북한이탈 아동이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며 보다 질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간호중재를 개발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05년 8월 26일부터 11월 2일 사이에 하나원을 수료한 북한이탈 아동 4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의 신체 계측치와 임상 검사 결과, 일반적 특성과 신체 증상 및 우울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12.0)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hronbach's α 계수 및 t-test, AN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북한이탈 아동의 신장과 체중은 대부분 남한의 표준치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신장이 남한 표준치의 3백분위수 미만으로 나타난 대상자는 남자 18명 중 6명(33.3%), 여자 25명 중 7명(28%)이었고, 체중은 3백분위수 미만이 남자 7명(38.8%), 여자 5명(20%)이었다. 2. 임상 검사 결과는 대부분 정상 범위 이내였다. 빈혈 소견 보이는 아동(1명), 간기능 저하가 의심되는 아동(1명), 간염 예방접종이 필요한 아동(16명), 간염보균자인 아동(6명), 요잠혈 소견을 보이는 아동(5명) 등 관리가 필요한 아동이 발견되었다. 3. 신체 증상을 호소한 아동은 21명(48.8%)이었다. 그 중 10명(47.6%)이 만성적인 두통을 호소하였고, 5명(23.8%)은 위장관계 증상을 호소 하였다. 증상의 시작 시기는 북한에 있을 때부터라고 답한 응답자가 10명(47.6%)이었고, 탈북 후 입국 전 제 3국 체류 기간에 증상이 시작되었다는 응답자가 7명(33.3%), 입국 후 시작되었다는 응답자는 4명(19.0%)이었다. 4. 우울 정도는 평균 14.30(±4.64)점이었고 문항별로는 ‘나는 학교 공부를 해내려면 언제나 노력해야만 한다.’가 가장 높았다(M=1.37). 일반적 특성 및 신체 증상에 따른 우울 점수는 탈북 후 국내 입국 전까지의 제 3국 체류기간, 신체 증상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살펴볼 때, 북한이탈 아동은 남한의 아동에 비해 성장 발달이 저하된 상태였다. 우울 정도는 남한의 아동에 비해 높은 편이었고, 신체 증상이 있는 경우에 우울 정도가 더 심했으며 탈북 후 제3국 체류기간이 2년 이상일 때 우울 정도도 더 심했다. 따라서 간호사는 북한이탈 아동의 건강상태에 관심을 갖고 이들의 건강을 유지 증진시키기 위한 적절한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무엇보다 북한이탈 아동의 성장 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방안 마련이 요구되며, 탈북 후 입국하기까지 제 3국 체류기간이 긴 아동의 경우에는 특별히 정신적 건강상태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북한이탈 아동의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계속적인 추후연구가 필요하다.;As the number of disaffiliates from North Korea has rapidly increased since the mid 1990s, the number of child disaffiliates has followed accordingly. Although a growing number of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ssues of the North Korean disaffiliates,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children from North Korea and only very few studies focused on their health issues. Childhood health is critical because it lays the foundation for a healthy life, and childhood health status greatly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throughout a person's life. This study explores and evaluates the health and physical condition of children from North Korea and has been conducted to build the groundwork to provide basic resources to develop supportive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improve and maintain physical fitness and health and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the children who have disaffiliated from North Korea.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43 children (18 boys, 25 girls) from North Korea who completed the Hanawon program. Data on physical measurements, clinical examination,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cal symptoms, and degree of depression were collected from August 26, 2005 through November 2, 2005.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2.0 version) progra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coefficients, t-test, and ANOV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follows. 1. The average weight and height of children from North Korea were lower than those of South Korean children. Six boys(33.33%) and seven girls(28%) from North Korea presented with height lower than the 3 percentiles of South Korean Children. As for weight, seven boys(38.8%) and five girls(20%) from North Korea presented with weight lower than 3percentiles of South Korean Children. 2. Clinical examination finding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There were children that needed medical care as follows: one child appeared to have symptoms of anemia, one child showed hepatic insufficiency, 16 children needed to have hepatitis vaccination, six children were found to be hepatitis virus carriers and five children appeared to have occult blood in the urine. 3. Nearly half (n=21, 48.8%) of the children complained of physical symptoms. Ten children(47.6%) complained of chronic headache and five children complained of GI symptoms. In terms of symptom awareness, ten(47.6%) children answered that symptoms started from their residency in North Korea, seven(33.3%) children answered that symptoms started during their stay in a 3rd country before entering South Korea, and four(19.0%) children answered that symptoms started since their residency in South Korea. 4. The degree of depression presented as an average of 14.30(± 4.64) points. Responses were highest for the item "I always have to try very hard to finish school work (M=1.37)." The degree of depress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physical symptom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p<.05) between the duration of stay in a 3rd country before entry into South Korea and physical symptoms. In summary,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growth of children from North Korea were below the average of South Korean children.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higher than that of average for South Korean children. Children from North Korea with physical symptoms and those who stayed in a 3rd country two or more years after leaving North Korea showed a higher degree of depression. These study findings point to the need for nurses to attend to the health status of children from North Korea and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to assist and support these children according to their special needs. Most of all, policy measures to improve and promote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North Korea are in dire need and mental health care needs to be provided to children who stayed in a 3rd country for a longer period of time. Finally, continued research on the health status of children from North Korea is in deman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 목적 = 3 C. 용어 정의 = 4 II. 문헌고찰 = 5 A. 아동의 건강 = 5 B. 북한이탈 아동 = 10 III. 연구 방법 = 19 A. 연구 설계 = 19 B. 연구 대상 = 19 C. 연구 도구 = 20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21 E. 자료 분석 = 22 F. 연구의 제한점 = 22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23 A. 연구 대상자의 특성 = 23 B. 연구 대상자의 건강상태 = 26 V. 결론 및 제언 = 41 A. 결론 = 41 B. 제언 = 45 참고문헌 = 46 부록 = 55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624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간호과학과-
dc.title북한이탈 아동의 건강상태 평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Evaluation of the Health Status of Children from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Kim, Yae Young-
dc.format.pagevi, 6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