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은민-
dc.creator김은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8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3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873-
dc.description.abstract복막투석환자는 환자 스스로의 철저한 자가간호이행이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자가간호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중재전략을 이용한 추후관리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막투석을 실시하는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복막투석 간호사가 전화추후관리를 시행한 후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과 간호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제 1가설 : 전화추후관리를 받는 실험군은 전화추후관리를 받지 않는 대조군보다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정도가 높을 것이다. 제 2가설 : 전화추후관리를 받는 실험군은 전화추후관리를 받지 않는 대조군보다 복막투석환자의 간호서비스만족도가 높을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서울시 소재 1개 S병원 신장내과 외래를 방문하는 복막투석환자로 실험군 34명, 대조군 33명으로 총 6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전화추후관리는 외래를 방문하는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외래방문 후 1주, 2주, 3주째에 전화추후관리지침에 따라 1회 15~25분 동안 이루어진 전화상담형식의 간호중재이다. 연구도구로는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오경미(1997)의 자가간호수행 측정도구와 노흥진(2003)의 간호서비스만족도 측정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10월 4일부터 11월 11일까지이고 연구절차는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을 위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자가간호수행정도와 간호서비스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실험군에게는 사전조사 후 1주째, 2주째, 3주째에 전화추후관리를 시행하였으며 4주째 외래방문 시 실험군과 대조군에게 자가간호수행정도와 간호서비스만족도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Chi-square, t-test, ANCOVA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분석 결과는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자가간호수행정도(t=1.631, p=.108), 간호서비스만족도(t=-.179, p=.858)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전화추후관리를 실시한 실험군의 자가간호수행정도는 전화추후관리를 실험군에게 제공한 뒤에는 실험군이 0.30점, 대조군이 0.03점 상승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아(F=3.687, p=.059) 제 1 가설은 기각되었다. 3. 전화추후관리를 실시한 실험군의 간호서비스만족도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있어(F=7.204, p=.009) 제 2 가설은 지지되었다. 4. 전화추후관리 사례분석에서 호소증상과 문제 총 95건으로 주 내용은 수분균형 22건(23.1%), 복약관련문제 14건(14.7%), 도관관련문제 13건(13.7%), 통증 12건(12.6%), 출구감염 11(11.6%) 등 이었다. 총 95건 중 1주에 해결이 85%, 2주에 해결이 12%, 3주 이상 해결지연이 3%로 주로 2회의 추후관리로 해결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복막투석 간호사가 복막투석환자를 대상으로 제공하는 전화추후관리는 의료서비스의 질을 평가하는 측정변수인 간호서비스 만족을 증가시키는 효과적인 간호중재로 활용할 수 있으며, 자가간호수행의 실천을 강화시킬 다양하고 정기적이며 체계적인 추후관리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patients, thorough self-care activities are important a factor to determine the results of the successful treatment, and the patients need various interventional strategies to improve self-care activities. Accordingly,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 of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on self-care activities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in outpatient CAPD patients after CAPD nurse follow up the patients by telephone and is intended to be utilized as the method to care and intervene the patients.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7 CAPD patients who had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in one general hospital in Seoul and 34 patients among them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33 patients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of this study is the nursing intervention which was done as following the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guideline for 15 to 20 minutes. In this study, we used the modified Oh Kyoung Mi's self-care activities scale(1997) to evaluate the self-care activities in CAPD patients and No Hong Jin's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scale(2003) to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the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 4, 2005 to Nov. 11, 2005 and the data about general and health related character in subjects, self-care activity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the data were verified homogene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experimental group, we conducted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at the 1st ,2nd and 3rd weeks later after the previous investigation and, we measured the self-care activities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in both group when they visited the outpatient department at the 4th week later.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percentage, Chi square, t-test and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character and health related characte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care activities (t=1.631, p=.108)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t=-.179, p=.858)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2. The self-care activities'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0.30)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0.03)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3.687, p=.059)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3.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F=7.204, p=.009) in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4. In the case study of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there are 95 cases of symptoms and problems: 22 (23.1%) Fluid imbalance, 14 (14.7%) Medication problem, 13 (13.7%) Catheter related problem, 12 (12.6%) Pain, 11 (11.6%) exit infection. 85% of 95 cases were solved in 1st follow-up management, 12% in 2nd follow-up management but 3% were not solved in 3rd follow-up management. In conclusion, the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in CAPD patients served by CAPD nurse could be used as the effective nurse intervention to improve nurse service satisfaction which is paramet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various, regular and systematic follow-up management method to intensify self care activit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Ⅴ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의 가설 = 4 D. 용어의 정의 = 5 II. 문헌고찰 = 7 A. 전화추후관리 = 7 B.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 수행 = 10 C. 간호서비스만족도 = 14 III. 연구방법 = 17 A. 연구설계 = 17 B. 연구대상 = 17 C. 연구도구 = 18 D. 자료수집 방법 = 19 E. 자료분석 방법 = 23 F. 연구의 제한점 = 24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25 A. 집단간 동질성 검증 = 25 B. 가설검증: 전화추후관리효과 = 28 C. 전화추후관리 사례 분석 = 36 V. 결론 및 제언 = 38 참고문헌 = 41 부록 = 51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960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CAPD, Self Care Activity, Nurse Service Satisfaction,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dc.title전화추후관리가 복막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과 간호서비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a Telephone follow-up management on Self-care activities and Nursing service satisfaction i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CAPD) patients-
dc.creator.othernameKim, Eun-Min-
dc.format.pagevii, 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