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영혜-
dc.creator송영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69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3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99-
dc.description.abstract현대의학 발전과 치료의 질 개선으로 급성질환은 줄고 만성질환이 늘면서 만성신부전으로 복막투석을 시행하는 환아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만성질환아의 발생은 가족에게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환아 돌봄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어머니의 정신·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쳐 결국 환아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만성질환아가 증가함에 따라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응방법에 관한 선행연구도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자의 임상경험에 의하면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대한 부적절한 대응방법이 환아치료나 가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예를 볼 수 있으나 대응방법을 간호수행에 적용한 관련 연구는 찾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가 경험하는 스트레스와 대응방법을 확인하여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개별적인 간호중재 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3차 의료기관 2곳에서 소아복막투석으로 외래 진료를 받는 만15세 이하의 환아를 돌보고 있는 어머니 59명이었다. 자료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05년 8월17일부터 9월21일까지 총 35일간이었다. 연구도구는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김희순(1988)이 개발한 만성질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수정ㆍ보완한 후 총18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내적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하였고, 대응방법 측정은 Lazarus와 Folkman(1984)이 개발한 스트레스 대응방법(Ways of Coping) 도구를 박순옥(1993)이 수정·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실시하였고 신뢰도는 Cronbach's alpha값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정도는 2.66점으로 나타났으며(최저 1점, 최고 4점) 스트레스 영역별로는 질병상태 및 예후 스트레스 3.18점, 질병치료 2.86점, 가족관계 및 개인역할 2.44점, 대인관계 2.27점으로 나타났다.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문항별 순위는 ‘힘든 치료나 수술을 받아야 하는 것’이 가장 높으며 ‘회복이 불확실한 것’, ‘다른 아이와 같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을까에 대한 것’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대응방법 정도는 2.49점이며(최저 1점, 최고 4점) 대응방법 영역별로는 희망적 관측 대응방법 2.90점, 긍정적 관점 2.76점, 문제해결 중심 2.55점, 사회적 지지탐색 2.43점, 무관심 2.33점, 긴장해소 1.90점으로 나타났다.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대응방법 문항별 순위는 ‘일이 잘 해결될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환상을 갖는다’가 가장 높으며, ‘현재보다 더 좋은 시간과 장소에 대해 꿈꾸고 상상한다’, ‘기도하거나 성경(불경)을 본다’의 순으로 나타났다. 3.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를 살펴보면 연령이 낮을수록(r=-.262, p=.045), 직업이 없는 경우(t=2.024, p=.048), 배우자와의 사이가 나빠진 경우(F=5.463, p=.002)에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 중 배우자와의 사이가 나빠진 경우(F=3.663, p=.018), 자신이 허약하다고 느끼는 경우(t=-2.143, p=.036)에 대응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환아의 일반적 특성 중 진단 받은 기간이 짧을수록(r=-.263, p=.044), 복막투석 시행기간이 짧을수록(r=-.257, p=050) 대응방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총스트레스와 총대응방법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스트레스 영역 중 가족관계 및 개인역할 스트레스와 무관심 대응방법(r=.489, p=.000), 사회적 지지탐색 대응방법(r=.304, p=.019), 긴장해소 대응방법(r=.278, p=.017)과는 유의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는 스트레스 영역 중 질병상태 및 예후와 질병치료 관련 스트레스를 더 많이 경험하고 있으며 희망적 관측, 긍정적 관점 대응방법을 주로 사용하는 반면에 긴장해소, 사회적 지지탐색 등의 대응방법은 적게 사용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수준을 감소시키는데 다양한 대응방법을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개별적인 간호중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효과적인 대응방법을 확인하여 개별적인 간호중재 방법이 개발되는데 활용될 수 있다고 본다.;As modern medicine develops and the quality of medical treatments improves, chronic diseases are increasing while acute ones are decreasing. Accordingly, the number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due to chronic renal failure is also on the rise. Chronic illness of a child acts as a stress factor for his family and, in particular, affects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his mother, who plays the biggest role in taking care of the child, eventually having negative impact on him. Amid the rising number of chronically ill children, an increasing number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tress level felt by their mothers and the ways of coping with the stress. According to my clinical experiences, inappropriate coping with the stress of the mother of a chronically ill child often results in negative impact on the medical treatment of the child or his family. But it is hard to find the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the ways of coping to nursing. Thus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stresses and the ways of coping of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thereby providing basic data to help prepare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 measures for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9 mothers taking care of outpatient children aged 15 or less at two of the 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s during the 35-day period from August 17, 2005 to September 21, 2005. The tool used in this study to measure the level of stress perceived by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was developed by modifying and complementing the tool originally designed by Hee-soo Kim (1988) to gauge the level of stress felt by the mothers of chronically ill children. Its internal validity was checked by a group of 18 experts. Meanwhile, the tool used in this study to assess the coping strategies adopted by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was developed by Soon-ok Park, who modified the 'ways of coping' tool designed by Lazarus and Folkman (1984).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the SPSS program version 12.0 for the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eanwhile, the confidence was verified using the Cronbach's alpha valu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stress felt by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measures 2.66 points in the scale of one to four. Specifically, the stress level was highest in the area of disease condition and prognosis (3.18), followed by disease treatment (2.86), family relationship and individual roles (2.44),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2.27). Among the individual stressors listed in the questionnaire, the mothers find it most stressful that 'My child has to undergo painful treatments or operations,' which was followed by 'It is uncertain whether my child will recover or not' and 'Will my child grow normally as other children could?" 2. The level of coping by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 measures 2.49 points in the scale of one to four. Specifically, the most often used coping strategy was wishful thinking (2.90), which was followed by positive reappraisal (2.76), focusing on problem solving (2.55), seeking social support (2.43), disengagement (2.33), and tension reduction (1.90). Among the individual coping strategies presented in the questionnaire, most used was 'Hoping that things will evolve in a positive way', which was followed by 'Imagining a better time and place than the one that she is in' and 'Praying or reading the Bible or the Buddhist Scriptures.' 3.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it was found that the younger the mothers are (r=-.262, p=.045), when they are jobless (t=2.024, p=.048), and when the relationship with husbands turn sour (F=5.463, p=.002), the more stress they feel. 4.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use the coping strategies significantly when their relationships with husbands turn sour (F=3.663, p=.018) and when they feel that they are weak (t=-2.143, p=.036). 5.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it was observed that their mothers use the coping strategies significantly when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y were diagnosed of renal failure (r=-.263, p=.044) and when it has not been long since they bega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r=-.257, p=050). 6. No significant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total stress and the total coping. But it was found that the stress from family relationship and individual role has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disengagement (r=.489, p=.000), seeking social support (r=.304, p=.019), and tension reduction (r=.278, p=.017).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feel more stressed about disease condition and prognosis and disease treatment among the stress factors presented in the questionnaire. Among the coping strategies listed in the questionnaire, they mainly rely on wishful thinking and positive appraisal, while they less frequently use tension reduction and seeking social support. Thus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s are needed to induce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to use various coping strategies to reduce the stress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develop individual nursing interventions by verifying the stress level perceived by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and the effective coping strategies adopted by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I.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II. 문헌고찰 = 6 A.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 = 6 B. 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대응방법 = 11 C.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응방법 관계 관련 연구 = 17 III. 연구 방법 = 20 A. 연구설계 = 20 B. 연구대상 = 20 C. 연구도구 = 20 D. 자료수집 기간 및 방법 = 22 E. 자료분석 = 22 F. 연구의 제한점 = 23 IV. 연구 결과 및 논의 = 24 A.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24 B. 대상자의 스트레스 = 29 C. 대상자의 스트레스 대응방법 = 34 D.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 39 E.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대응방법 = 46 F. 대상자의 스트레스와 대응방법 = 53 V. 결론 및 제언 = 55 A. 결론 = 55 B. 제언 = 58 참고문헌 = 59 부록 A. 연구도구 = 68 부록 B. 스트레스 신뢰도 = 78 부록 C. 대응방법 신뢰도 = 79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59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복막투석 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응방법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of the mothers of children receiving peritoneal dialysis treatments-
dc.creator.othernameSong, Young-hye-
dc.format.pagevi, 8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과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