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미순-
dc.creator이미순-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6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6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31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2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311-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주로 사회철학에서 논의되어 오던 시민불복종에 관한 기존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법철학적 관점에서 시민불복종을 조명함을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과 같은 민주정치 하에서 시민의 역할은 증대되는 추세에 있다. 한국에서도 시민들에 의해 2000년 국회의원 후보자들에 대한 낙천·낙선 운동이 전개된 바 있으며, 이를 계기로 시민불복종이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당시의 낙천·낙선운동은 기존의 항의들과 달리 특정 개인이나 집단의 이익이 아니라 올바른 선거문화의 정착을 위한 행위라는 측면과 시민단체가 자신들의 판단 하에 위헌이라 여기는 법률을 정면으로 위반한 명백한 위법행위라는 측면으로 인해 찬·반론이 대립되어 있었다. 2004년 대법원은 낙천·낙선 운동과 관련한 주요 행위자들에게 유죄를 선고한 원심의 논리를 그대로 확정하였다. 그러나 대법원의 판결은 최초로 시민불복종이라는 단어를 언급하였다는 것 이상으로 시민불복종에 대한 법적인 논리구성을 보여주고 있지는 못하다. 시민의식의 성장으로 정치에 참여하고자 하는 시민들의 욕구가 높아지면서 시민불복종은 계속 증가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시민불복종이 다시 법적 판단을 요구할 때 역시 멀지 않았다고 보여지므로 법학적 관점에서 시민불복종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를 행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논문의 자세한 구성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및 연구의 범위를 밝힌다. 제2장에서는 시민불복종의 가장 잘 알려진 정의인 롤즈의 정의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여타 다른 학자들이 논하고 있는 시민불복종의 개념적 징표들도 함께 살펴봄으로써 시민불복종의 개념을 명확히 한다. 이어서 시민불복종과 유사한 개념으로 대표되는 저항권, 양심적 거부, 정치적 기본권, 헌법소원과 비교함으로써, 시민불복종은 대체적으로 정의로운 법치국가에서 부정의가 존재하는 경우 다수자의 정의감에 호소하여 이를 시정하고자 하는 자가 행하는 위법한 행위이지만, 정의로운 법치국가의 전면적 구현을 위하여 불가피하게 존재하지 않을 수 없는 행위라는 점에서 그 독자적인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제3장에서는 시민불복종의 법학적 논의에 앞서서 기존의 여러 논의들을 통해 시민불복종이론 전반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 이론들의 시민불복종에 대한 쟁점은 크게 시민불복종의 인정여부와 그 근거, 시민불복종을 인정하는 경우에는 그 정당화요건, 그리고 시민불복종자들에 대한 국가의 자세로 모아진다. 이 논의는 최초의 시민불복종 사례로 보이는 소크라테스의 논변을 시작으로, 시민불복종을 인정하는 견해와 부정하는 견해들을 고찰하는데, 특히 시민불복종에 관하여 심도 있게 접근하고 있는 롤즈, 드워킨, 하버마스의 이론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이 장을 마무리하면서 논자는 정치적 기본권과 별도로 시민불복종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법체계와 사회체계의 끊임없는 소통 속에 시민불복종의 정당화근거가 있으므로 시민불복종은 적어도 사회철학적으로는 일정한 요건 하에서 정당화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이 때 국가 역시 시민불복종에 대해 관대한 자세를 요구받는다고 하겠다. 제4장에서는 제3장에서 인정한 사회철학적 정당화를 전제로 법학적 관점에서 시민불복종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찰한다. 먼저 시민불복종이 합법성과 정당성 사이에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것과 관련하여 전통적으로 법과 도덕의 관계에 대한 대표적인 두 입장인 자연법론적 사고와 법실증주의적 관점에서 시민불복종의 정당성을 논하고, 양자의 입장은 어느 정도 서로 융합되고 있다는 점, 그 융합된 결과들이 헌법에 편입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한다. 따라서 시민불복종이 헌법적 질서와 조화될 수 있는가의 고찰이 요구되고, 이는 곧 법치주의, 민주주의의 다수결의 원칙과의 관계의 고찰이다. 이러한 고찰을 바탕으로 법적 관점에서의 정당화논의로 드워킨, 드라이어, 프랑켄베르크, 하쎄머, 하버마스의 견해를 검토한다. 이어 미연방대법원의 상징적 언론에 관한 판례와 뉘른베르크 재판에 대한 분석도 행한다. 이들 논의에서 시민불복종의 정당성을 인정하는 견해는 헌법적 차원에서 정당화하려는 입장과 개별법적 차원에서 정당화하려는 입장으로 대별된다. 이 장을 마무리하면서 시민불복종은 실정법 하에서는 형법의 긴급피난 또는 정당행위로서 인정될 여지가 있으나 이는 시민불복종의 정당화는 아님을 지적한다. 나아가서 시민불복종은 그 위법성으로 인해 법적으로 정당화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정당성과 합법성 사이에 자리할 때 비로소 제 역할을 건전하게 수행할 수 있음을 주장한다. 제5장에서는 시민불복종의 독자적 의의를 최대한 살리면서 제대로 기능하게 하기 위해서 국가와 시민불복종자, 여타 사회구성원들이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가를 법질서와 관련된 범위 내에서 논한다. 국가는 시민불복종이 위법한 행위지만 통상의 범죄인과 다른 대우를 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최대한 관용을 베풀어야 하고, 시민불복종자들은 자신의 양심을 최고의 법원으로 알고 이를 수행하여야 하며, 여타의 사회구성원들은 시민불복종 행위에 대한 가장 엄정한 심판자임을 인식할 것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제6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논자는 시민불복종이 개념내재적으로 법적으로 정당화되는 행위는 아니지만, 국가는 사회체계와의 소통 속에서 시민불복종에 대한 최대한의 관용을 위해 노력해야 함을 주장한다. 한편 본 논문이 시민불복종의 법적 정당화에 중점을 둔 반면 시민불복종의 개념을 법학적으로 다시 정립하는 연구, 나아가서는 시민불복종의 정당화요건은 아니지만 사이비 시민불복종과 구별하기 위한 요건에 대한 정립이 필요함을 지적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civil disobedience based on the philosophy of law using existing discussions on the topic. Today, the role of civil society continues to grow. Korean people have already shown a strong interest in civil disobedience, when they waged movements against certain candidates during the 2000 election races. The actions taken by the protesting civilians at that time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 activities carried out in the past and had two confronting perspectives: one is that the actions were good because they were intended to instill the fair election culture in Korea, while the other is that the actions were obviously illegal because the civilians violated regulations for election intentionally on the ground of their notion that the law was against the constitution. In 2004, the Supreme Court of Korea sustained the opinions of the lower courts, which adjudged as guilty the people involved in those movements. Although the highest court mentioned the word civil disobedience, it did not manifest a more sophisticated legal argumentation on civil disobedience. As the demand of civilians grows with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it is expected that civil disobedience will also grow, and it is naturally thrown to the legal court sooner or later.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civil disobedience based on the view point of legal philosophy. Under this goal,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1, the purpose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chapter 2, in order to have a clear definition of civil disobedience, the most outstanding definition of civil disobedience, which was made by John Rawls, was analyzed from a critical view point, and other scholars’ conceptual works on civil disobedience were also studied. Then, other similar notions such as the right of resistance, conscientious refusal, the constitutional rights against government, and Constitutional Petition were compared. From such process, civil disobedience, according to this chapter, is an illegal act that someone resorts to by appealing to the commonly shared conception of justice when unjustness happens in a law-governed country generally led by the principles of justice. In chapter 3, the existing theories on civil disobedience were studied before introducing the discussion on legal philosophy. The issues that the theories dealt with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1)whether to accept or not the notion of civil disobedience on the strength of its own grounds; (2)if accepted, what are the requirements that made civil disobedience just ; and (3)how authorities treat people who commit illegal acts under the conviction of civil disobedience. The first case of civil disobedience seems to be parallel to the argument of Socrates. There were many arguments on whether to recognize or reject civil disobedience. In this chapter, the theories of John Rawls, Ronald Dworkin, and Jürgen Habermas and others were analyzed. This chapter concludes that the necessity of civil disobedience can be acceptable, irrespective of the fundamental right of politics, and the justification grounds of civil disobedience can be found through ceas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legal system and the social system. In that sense, it is argued that civil disobedience can be at least justified under some condi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philosophy. In that moment, a state is asked to be equipped with a lenient attitude toward civil disobedience. In chapter 4, based on the justification of civil disobedience at the level of social philosophy in the previous chapter, the problem of assessing the issue from a perspective of legal philosophy was considered. Firstly, as civil disobedience is situated between what is legitimate and what is legal, traditional arguments on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morality, theory of natural law and legal positivism, were introduced to check the justification of civil disobedience. With such a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two different legal points of views can be met somewhat in this tricky issue. From this result, whether civil disobedience can be consistent with constitutional order or not needed to be studied, an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lation between civil disobedience and the rule of law, and between civil disobedience and the principle of majority rule. With such a conclusion, the arguments of Ronald Dworkin, Ralf Dreier, Günter Frankenberg, Winfried Hassemer, Jürgen Habermas were reviewed as the legal justification of civil disobedience. In addition, U.S. Supreme Court precedents on the symbolic speech and Nuremberg trial were analyzed. In those discussions, the party accepting the notion of civil disobedience was divided into two: one is to justify it in the level of the Constitution, the other is to justify it in the level of the legislation. Towards the end of this chapter, it is indicated that there is room for civil disobedience to be partly seen as justified through established positive law such as Criminal Law(necessity or justifiable conduct), but it is not an justification of civil disobedience. Furthermore, I argued that it cannot be legally justified for its violation of law. So, it was argued that situated between legitimacy and legality, civil disobedience can play a sound role for intermediate their complications. In chapter 5, for the purpose of enabling civil disobedience to have its own individual meaning and function, the attitudes of authorities, disobedient civilians and other social members were considered. First of all, authorities should be lenient on the disobedient, in recognition of the fact that they are different from other usual criminals, while the disobedient must act by their own consciousness as the best maxim of their act. Other social members should recognize that they are the strictest judges on this particular issue. In chapter 6, it is concluded that civil disobedience can not be authentically justified from a legal point of view, but the state should exert its best efforts to be lenient toward the disobedient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ocial syst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1 Ⅱ. 시민불복종의 의의 = 3 A. 서 = 3 B. 시민불복종의 의의 = 3 1. 시민불복종의 개념요소 = 4 가. 부정의한 법이나 정부의 정책 = 4 나. 위법한 행위 = 4 다. 정치적 행위 = 5 라. 공공적 행위 = 5 마. 비폭력성 = 7 바. 양심적 행위 = 8 사. 처벌감수자세 = 8 아. 최후수단성 = 9 자. 시민 = 10 2. 유사개념과의 구별 = 11 가. 저항권 = 11 나. 양심적 거부(Conscientious Refusal/Objection) = 12 다. 헌법상 정치적 기본권 = 14 라. 헌법소원 = 15 3. 시민불복종의 위상 = 17 C. 소결 = 17 Ⅲ. 시민불복종에 관한 논의 상황 = 19 A. 서 = 19 B. 시민불복종을 인정하는 입장 = 19 1. 소크라테스(Socrates)의 논변 = 19 2. 소로우(Henry David Thoreau)의 시민불복종 = 22 3. 간디(Mohandas Karamchand Gandhi)의 비폭력·무저항주의 = 25 4. 마틴 루터 킹(Martin Luther King, Jr.)의 민권운동 = 27 5. 롤즈(John Rawls)의 공정한 경기의 규칙과 시민불복종 = 29 6. 드워킨(Ronald Dworkin)의 시민불복종론 = 31 7.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 담화윤리와 시민불복종 = 34 C. 시민불복종을 부정하는 입장 = 36 1. 로스토우(Eugene V. Rostow)의 견해 = 36 2. 왈드맨(Louis Waldman)의 견해 = 36 3. 코헨(Carl Cohen)의 견해 = 37 D. 소결 = 37 Ⅳ. 시민불복종의 법적 정당화 = 40 A. 서 = 40 B. 자연법론적 사고와 법실증주의적 사고에서의 정당화 논의 = 40 C. 헌법적 질서와의 관계 = 42 1. 법치주의와의 관계 = 42 2. 민주주의의 다수결의 원리와의 관계 = 43 D. 시민불복종의 법적 정당화 논의 = 44 1. 드워킨(Ronald Dworkin)의 법적 관용 = 44 2. 드라이어(Ralf Dreier)의 헌법적 정당화 = 45 3. 프랑켄베르크(Günter Frankenberg)의 전략적 이론 = 46 4. 하쎄머(Winfried Hassemer)의 법적 정당화 불가능론 = 47 5.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의 법적 정당성 부인론 = 49 6. 미연방대법원의 상징적 언론에 관한 판례 = 50 7. 뉘른베르크(Nuremberg) 재판의 논리 = 51 E. 시민불복종의 개별법적 정당 = 52 1. 형법적 정당화 = 53 가. 형법이론 고찰 = 53 나. 관련 판례 검토 = 56 2. 민사법적 효과 = 58 F. 소결 = 59 Ⅴ. 시민불복종에 대한 대응 = 62 A. 서 = 62 B. 국가의 대응 = 62 C. 시민불복종자들의 태도 = 65 D. 여타 사회구성원들의 대응 = 67 E. 소결 = 68 Ⅵ. 결론 = 70 참고문헌 = 75 Abstract = 8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832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법철학적 관점에서 본 시민불복종-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Legal Philosophy of Civil Disobedience-
dc.creator.othernameLee, Mi-Soon-
dc.format.page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법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법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