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5 Download: 0

5-9 세 아동의 메시지 모호성 인식 발달

Title
5-9 세 아동의 메시지 모호성 인식 발달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awareness of ambiguious message in children 5 to 9 years old
Authors
배인영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태
Abstract
Communication is a process to exchange some information, ideas, needs, desires, etc between two or more people, in which a role of listener and speaker is so important. If a speaker speaks out an inappropriate and ambiguous message in a conversation, a listener will not be able to understand it. The awareness the message of speaker is ambiguous and inappropriate is related to metapragmatics. Metapragmatic awareness is knowledge concerning a method to know fitness of message and to use effectively langu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 things as follows: one is metapragmatic awareness of children regarding failed cases of communication because of a ambiguous message of a speaker; the other is metapragmatic awareness of children regarding failed situations of communication due to wrong reaction of a listener. Sixty children, twenty for each group who are normal children of five years old, seven years old (grade 1), and nine years old (grade 3)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 consisted of three or four sentences in life-like situation. First, they heard about a story with described a picture about speaker and listener, and then asking "Does a speaker of a picture feel good or bad?" or "Does he/she get wants or not?" After children answered, they were asked "why?". This question is intended to explain about their own answer of above question. Explanation patterns were classified five categories. The statistic of ANOVA was adopt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children are order, performance that a speaker makes a cause to communication failure is improved and overall accuracy score of 4%, 29%, and 42% for each age. In explaining patter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for speaker's fault and listener's fault. Second, performance that a listener makes a cause to fail to communicate is improved as a function of increasing age, and overall accuracy score of 25%, 33%, and 50% for each group. In explaining pattern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ed for reasoning unrelated to communicative acts and circumstances. In conclusion, metapragmatic awareness about the communication failure was found to evolve with age.;의사소통이란 정보나 생각, 요구, 바람 등을 상대방과 교환하는 상호작용 과정으로 청자(listener)와 화자(speaker)의 역할이 중요하다. 대화중에 화자가 부적절하거나 모호한 메시지를 산출하였음에도 청자가 인식하지 못한다면 의사소통이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며 화자의 메시지가 모호하거나 부적절하다는 인식은 메타 화용론적 인식과 관련이 있다. 메타 화용론적 인식이란 메시지의 적절성을 인식하고 언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의식적인 인식으로 학령기 이후에 발달한다고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화자가 청자에게 모호한 메시지로 요청하여 의사소통이 실패한 경우와 화자의 발화는 명료하였으나 청자의 잘못된 반응으로 의사소통이 실패한 상황에 대한 아동의 메타 화용론적 인식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정상아동 5세, 7세(1학년), 9세(3학년) 20명씩,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과제는 3-4개의 문장으로 구성된 일상생활에서 흔히 일어나는 요청 상황이었다. 먼저 아동에게 화자와 청자의 그림을 제시하고 이야기를 들려 준 후, “OO는 기분이 좋을까 나쁠까? 혹은 OO가 원하던 대로 됐니 안 됐니?”라고 질문하였다. 아동이 대답하면 두 번째로 “왜?”라고 질문하여 아동이 자신의 첫 번째 질문의 대답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하였다. 각 결과는 첫 번째 질문에 정반응하고 두 번째 질문에서 화자로 인한 의사소통 실패 이야기에서는 화자의 오류라고 말한 아동과 청자로 인한 의사소통 실패 이야기에서는 청자의 오류라고 설명한 아동에게 1점을 주었고 두 가지 질문 중에 하나라도 오반응하면 0점으로 채점하였다. 그리고 아동들의 두 번째 질문에 대한 설명은 다섯 항목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화자로 인한 의사소통 실패 인식의 점수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높아졌다. 설명유형에서는 화자 탓으로 돌린 항목과 청자의 탓으로 돌린 항목에서 세 연령 집단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둘째, 청자로 인한 의사소통 실패 인식에 대한 점수도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높아졌고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설명유형에서는 의사소통 실패에 대하여 청자를 직접적으로 비난하기보다 주변 상황으로 진술한 항목과 관련 없는 이야기에서 세 연령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화자의 모호한 메시지로 인한 의사소통 실패의 메타 화용론적 인식은 학령기에 눈에 띄게 발달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아동의 이해 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지표를 제공한다. 따라서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검사시 산출에 대한 평가와 메타 화용론적 인식에 대한 평가가 병행된다면 정확한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