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진경-
dc.creator강진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5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5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7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1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753-
dc.description.abstract언어발달관련 문헌들을 통해 읽기 및 쓰기 발달과 구어의 발달간에 긴밀한 관련성이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Catts et al., 2002; Boudreau & Hedberg, 1999; Maclean et al., 1987). 또한 일반적으로 학령전기에 언어장애를 보였던 아동이 학령기에 들면서 읽기, 쓰기 등의 언어영역, 더 나아가서는 전반적인 학습영역에서도 문제를 지속적으로 보이는 경향이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Hallahan et al., 2005). 이러한 점을 통해 언어장애아동들은 읽기 및 쓰기 습득에 있어서도 어려움을 지닐 위험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언어장애아동들의 초기 읽기 및 쓰기 발달에 대한 조기 진단 및 중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다. 음운인식능력이란 의미와는 별개로 말소리에 들어있는 단어보다 더 작은 단위들 곧 음절, 초두자음, 각운, 개별음소 등의 여러 단위들을 지각하고, 인식하고,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한다(Goswami & Bryant, 1990). 최근 30년간 읽기를 예측하는 여러 요인 중 가장 강력한 요인의 하나로 밝혀지고 있는 것이 음운인식능력이다. 특히 읽기를 처음 시작하는 단계의 아동에게 음운인식능력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있어왔다(Carroll & Snowling, 2004; Bishop et al., 1999; Catts, 1993; Goswami & Bryant, 1990). 그러므로 아직 정규 읽기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혹은 읽기를 습득하는 초기 과정 중에 있는 언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은 언어치료영역에 많은 임상적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언어연령 4-5세의 취학전 단순언어장애아동 15명의 음운인식능력과, 이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5명의 음운인식능력을 비교하여 세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과제는 그동안 읽기능력에 대한 예측력이 높다고 보고된 음운인식능력 과제 중 음절변별, 음절분절, 음소변별, 음소분절 과제를 사용하였다(권오식 외, 2001; Hammill, 2004; Scarborough, 1998; Ball, 1993).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이와 언어연령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의 음운인식능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별 각각의 검사항목에 대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고,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음운인식능력검사의 총점수는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이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의 음운인식능력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음을 보여주었다.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과제(변별 및 분절)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은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음운인식능력을 평가하는 두 과제 모두에서 생활연령일치 일반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수행을 보여준 것으로 나타났다.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음운구조(음절 및 음소)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은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단순언어장애아동은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에 비해 음절수준보다는 음소수준에서 보다 명백히 낮은 음운인식 수행력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넷째, 음운위치(첫음절, 끝음절, 첫음소, 끝음소)에 따른 음운인식능력은 세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음운구조수준에서의 수행력 비교에서와 마찬가지로 음절수준보다는 음소수준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집단의 열등한 음운인식능력이 보다 분명하게 드러났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언어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과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즉, 연령의 차이가 있는 일반아동에게서 나타난 음절 위치상의 수행력의 차이가 단순언어장애아동에게서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취학전 단순언어장애아동과 언어연령 및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을 비교함으로써 단순언어장애아동이 또래의 일반아동에 비해 음운인식능력이 취약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아동에게서 음운인식 발달 양상에서 보여지는 음운위치별 수행의 차이가 단순언어장애아동에게서는 두드러지지 않으며, 음절과제보다는 음소과제에서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의 취약성이 좀 더 분명히 나타남을 제시하였다.;The purpose of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between the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and two groups of normal children, one matched by their language age(N-LA), and the other matched by their chronological age(N-CA) with the SLI children. Forty children, 15 SLI children, 15 N-LA children, and 15 N-CA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tasks consisted of 20 phonological discrimination(10 syllable discrimination and 10 phoneme discrimination) and of 28 phonological segmentation(14 syllable segmentation and 14 phoneme segmentation). The statistics of One-Way ANOVA was adopted to tes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The total score of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of the SLI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the N-CA. (2)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ach type of tasks(the discrimination tasks and the segmentation tasks) between the SLI and the N-CA group, and between the N-CA and the N-LA group. (3)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each type of phonological structures(syllables and phonemes) among all three groups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ach type of phonological places(onset and final place) of the SLI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at of the N-LA and the N-CA group.-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ⅷ Ⅰ. 서 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용어 정의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음운인식능력 = 5 B. 일반아동의 음운인식능력 특성 = 9 C.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 특성 = 11 Ⅲ. 연구 방법 = 15 A. 연구 대상 = 15 B. 실험 과제 = 17 C. 연구 절차 = 19 D. 자료 분석 방법 = 22 E. 신뢰도 = 22 Ⅳ. 연구 결과 = 23 A. 단순언어장애아동집단과 일반아동집단의 음운인식능력의 차이 비교 = 23 Ⅴ. 결론 및 논의 = 33 A. 결론 및 논의 = 33 B. 연구의 제한점 = 36 C. 제언 = 37 참고문헌 = 39 Abstract = 4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052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취학전 단순언어장애아동의 음운인식능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Phonological Awareness Abilities of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and Normal Children-
dc.creator.othernameKang, Jin-Kyung-
dc.format.pagex, 5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언어병리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어병리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