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주리-
dc.creator조주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65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1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58-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1930년대 초현실주의 그룹에 가담한 독일 출신의 예술가 한스 벨머(Hans Bellmer, 1902-1975)의 인형 시리즈를 중심으로 그의 작품 안에 나타난 독특한 에로티시즘의 특질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술사에서 한스 벨머를 에로티시즘을 성공적으로 구현한 중요한 작가로 상정하였는데 그의 작품에 대한 보다 풍부한 접근을 위해 우선 전체 미술사 속에서의 에로티시즘의 면면을 살펴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미술사에서 에로티시즘이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유럽 예술계에서의 에로티시즘에 관한 다양한 논의들을 소급하여 살펴보았는데, 여성에 대한 찬양과 함께 여성 신체에 대한 가학성을 표출했던 양면적 태도와 그 가학성을 에로티시즘 내부에 깊이 침투시키는 특징을 초현실주의 미술 작품 전반을 통해서 읽어낼 수 있었다. 이러한 태도와 조형의식의 사상적 근간이 되었던 것은 사드와 바따이유, 브르통의 에로티시즘에 관한 논의로 수렴되는데, 이러한 초현실주의 내부의 에로티시즘에 관한 활발한 담론은 벨머가 그만의 에로티시즘을 정립하는데 있어 중요한 작용을 했다. 벨머는 특히 사드와 바따이유의 성의 철학을 작품 속에 인상적으로 관철시키고자 했다. 본 논의는 이러한 사상적 논의와 더불어 초현실주의 미술 안에서 ‘인형’이라는 존재가 어떻게 에로티시즘과 결합되었는지에 대한 과정에 대해서도 자세히 들여다보고자 했다. 전통적으로 미술사에서 이상화된 신체로 재현되던 인형의 몸은 다다를 기점으로 하여 특히 초현실주의 미술에서 인형에 내재된 기이하고 불안한 성적 에너지를 잘 포착하여 독특한 존재론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벨머의 인형 시리즈는 초현실주의자들의 인형에 대한 관심을 가장 극적인 방식으로 구체화시킨 예로 보인다. 인형 작품의 기원을 밝히기 위해 또 한 가지 점검했던 것은 인형을 둘러싼 벨머의 개인적인 에피소드의 총합이었다. 아버지의 이름으로 표상되는 공권력과 파시즘에 대한 반발심, 그리고 어린 사촌여동생에 대한 연정, 즉 금지된 것에 대한 열망 속에서 벨머와 자동인형이 등장하는 기이한 내용의 오페라와의 만남은 인형 제작에 있어 중요한 계기로 작용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벨머는 1933년 첫 번째 인형을 제작하게 되었고 이후 일생동안 수많은 인형 작품과 다양한 드로잉을 통해 초현실주의의 여러 개념을 실험해 나갔다. 첫 번째 작업에서부터 나타난 형식적 특징, 즉 파편화된 신체 구조와 이질적인 신체의 접합과 증식은 두 번째 인형 시리즈에 그대로 계승되었는데 두 번째 시리즈에 이르러서는 더욱 극적이고 불길한 내러티브를 극대화 시킨 가운데 단순한 성애의 표출 이상의 다양한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Ⅲ장에서는 벨머의 인형 시리즈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의 특질을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였는데. 우선 주제적인 측면에서 ‘도착’이라는 용어로 포괄될 수 있는 다양한 성적 일탈의 징후들을 살펴보았다. 즉 페티시즘과 관음증, 사도-마조히즘, 소아성애, 근친상간, 시체성애 등 한결같이 과잉되고 금지된 형태로 나타나는 ‘도착’의 몸짓은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특징이다. 살인과 강간과 같은 범죄적 장면을 강박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벨머는 예술과 신체에 대한 관념과 금기를 위반하고자 하는 열망을 가시화했다. 이어 인형 시리즈를 통해 구축된 에로티시즘을 이해하기 위한 또 하나의 열쇠로, 에로티시즘 안에 내재한 명백한 폭력성과 죽음의 속성을 생각해 보았다. 벨머의 작업에는 죽음에 대한 암시나 상징이 아닌 죽음 자체를 직설적으로 표현하는 잔혹함이 스며 있는데, 이러한 특징을 가장 압축적으로 담고 있는 개념으로 프로이트의 ‘기이함(Uncanny)'을 들었다. 이는 억압되는 심리적 대상이 불현듯 드러나는 순간의 두려운 낯설음을 의미하는데, 억압되는 다양한 심리 중에서 가장 근원적인 금기는 결국 인간 생의 대척점이라 할 수 있는 죽음과 폭력에 대한 열망으로 귀결된다. 벨머의 인형 시리즈는 인간 안에 내재된 죽음 충동과 폭력의 본성을 여과 없이 드러내는 지점으로 생각되는데, 성 도착의 징후를 드러내는 인형의 신체 위로 죽음충동은 폭력적 방식으로 깊숙이 투영되어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주목하고자 했던 점은 인형이 제작되었던 1930년대 독일의 정치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벨머가 작품을 통해 어떤 방식으로 사회적, 정치적 발언을 형상화하는가의 문제였다. 지속적으로 민감한 정치의식, 특히 파시즘에 대한 공포와 저항의 의지를 드러냈던 벨머는 인형의 신체를 에로틱하게 변형시키는 가운데 나치 정권이 강제하던 강건한 육체 이데올로기를 조롱하고 나아가 과잉되고 기이한 섹슈얼리티를 통해 타자적인 속성을 부각시킴으로써 파시즘 내부의 공포심을 자극했다고 보인다. 이상으로 벨머의 인형 시리즈를 통해 그가 어떤 방식으로 에로티시즘을 구현했으며, 그 안에 개인적, 사회적, 예술적 메시지를 각인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벨머의 인형 시리즈는 초현실주의자들이 주창했던 사물의 양면적 속성과 욕망과 죽음의 해부학, 거기에 더해 시대정신을 어떤 작품보다 독특하고 성공적인 방식으로 구현했다고 생각한다.;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raw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roticism of Hans Bellmer's works, focusing on doll series, which are the photographs and drawings of young adolescent girl/doll. In order to do that, I examined complex meanings of doll series itself, its position of art history, and the cultural and political contexts of French Surrealism and Nazi German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eroticism inscribed in Bellmer's works, the second part of this study covers the development of erotic expression through the whole art history and discourse of eroticism. The historical review of eroticism, however, narrows down surrealist movement because Bellmer's works have a conceptual affinity with that of surrealists. Basically, Bellmer was influenced by the ideology of Marquis de Sade, Georges Bataille and André Breton for the formation of his own eroticism. After clarifying the establishment of his eroticism, I figured out the background of combining eroticism and surreal dolls. Because of doll's transgressive power and surreal effect, many artists have tried to use them as art objects. And clear enough, Bellmer is the most significant artist sublimating dolls into the surreal object. In order to access the origin of doll series, I looked into the critical inducements of doll making in a sense of his family background and socio-political condition: prohibited desire for his young cousin, aggressive hostility against his father and the Offenbach's opera, Hoffman's story. All of them became important motives of his doll series. In addition to these, Bellmer's resistance against patriarchal system and public power and above all denial to conventional attitude toward art also take critical role of it. Part Ⅲ deals with the aspects of doll's eroticism as both subject matter and the formal point of view. By using a sinister narrative format, Bellmer took picture of dolls over the grotesque range and sexual posture setting. These eccentric images he conveyed were of death and decay, abuse and longing. All of these images are converted into the sexual perversion and violation. Various symptoms, such as pedophilia, necrophilia, fetishism, sado-masochism, androgyny, and voyeurism are included of "perversion." I assumed the perversion has destructive/creative power in art. Bellmer's works also represent his desire to attack the taboo about art and body by using subversive power like what I think the creative power of art. In other words, he intentionally selected these pervert images to antagonize the artistic stereotype and challenge the father's law. By this transgression, he blurred the dichotomy of life and death and destroyed the whole identity, corporeal order. Another important aspect of doll series is that it represents the 'death' in a violent manner. I proposed the Freudian term, the 'uncanny' and 'death drive' to explain these problem more specifically. The uncanny is intimately associated with the repressed desire, as it were, the "death" impulse. Bellmer's dolls are awakening us to the intense sense of death drive directly. Partly, it reflects the Bataille's philosophy of eroticism that Eros always accompanies with opposite aspiration, Thanatos. Finally, I connected Bellmer's erotic doll series with political condition in a positive and symbolic way. I articulated the actual political events, such as world war the second, the rise of Hitler's Nazi tyranny, arrestment and imprisonment. Political anxiety and fear complex are deeply imprinted on his art. Indeed, dolls' fragmented body was a complex response to the rise of Fascism because Bellmer's works are a violent attack on the stereotype of normalcy found in Nazi art and culture. By shattering the body's wholeness ,doll's images subvert the physical logic and threaten the Aryan armored body. I expect that Contextualizing of Bellmer's doll series under Nazi Germany will increase our understanding of the heterogeneous roles of woman in surrealism. In sum, we have seen how Bellmer succeeded in embodying eroticism and involving messages in the personal, social, and artistic level through his doll series. According to those we have seen, I conclude that Bellmer's doll series is the exact sample for showing the whole objects' duality that surrealist claimed and anatomy of sexual desire and death. Additionally, it is the undoubted art work that demonstrates the spirit of the ti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ⅱ Ⅰ. 서 론 = 1 Ⅱ. 인형 시리즈에 나타난 에로티시즘의 형성 배경 = 6 A. 20세기 초 미술계의 에로티시즘 논의 = 6 B. 에로티시즘과 인형의 결합 = 15 C. 벨머 인형 시리즈의 제작 배경 = 22 Ⅲ. 인형을 통해 표출된 에로티시즘의 속성 = 31 A. 도착적 주제를 통한 위반 = 31 B. 죽음충동과 폭력성 = 41 C. 정치적 저항의식 표출 = 48 1) 공포와 불안의 표출 = 50 2) 반 파시즘적 신체구조 = 56 Ⅳ. 결 론 = 61 Bibliography = 67 도판목록 76 도 판 82 Abstract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14120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스 벨머(Hans Bellmer)의 인형 시리즈에 나타난 에로티시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roticism in Hans Bellmer's Doll Series-
dc.creator.othernameCho, Ju-Ri-
dc.format.page9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