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27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재희-
dc.creator조재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4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4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63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1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637-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제임스 터렐(James Turrell, 1943~)의 작품이 관람자에게 불러일으키는 ‘숭고(the Sublime)’의 경험에 대해 연구하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 터렐은 1960년대 후반에 등장한 캘리포니아의 미니멀리즘에 속하는 작가로, 그의 작업은 빛과 공간에 반응하는 관람자의 시지각적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 빛에 형태와 깊이, 물질성을 불어넣음으로써, 공간 속의 빛을 인지하는 관람자의 시지각적 경험을 유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터렐의 작품은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관람자에게 비논리적인 경험을 자아내는데, 필자는 그것을 숭고의 체험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고자 한다. 숭고는 인간이 거대하고 압도적인 대상을 마주했을 때 처음에는 공포를 느끼지만, 자신의 존재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극복하려는 의지를 갖게 되는 경험을 일컫는다. 이 글에서는 아무 것도 없고 일루젼만 있는 것 같이 보이는 극도로 미니멀한 형식의 터렐의 작품에서 숭고의 체험을 불러일으키는 여러 조형적 장치들을 찾아내고자 한다. 그것은 1960-70년대 미니멀리즘이 풍미했던 시대에 미니멀리스트들이 표상했던 의도와는 상반되는 지극히 사적이고 비물질적인 경험, 즉 미니멀리즘의 이면을 뒤집어 보는 일이 될 것이다. 우선 터렐의 작품은 물질화된 빛의 효과를 창출해내기 위해 고도의 기술적인 전문성을 필요로 한다는 점과, 인간의 시지각에 관련된 신체적 메커니즘의 과정이 작품의 주가 된다는 점에서, 테크놀로지와 과학적인 사고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1960-70년대 캘리포니아 미니멀리즘이라는 미술사적인 맥락과 1969년에 작가가 참여했던 ‘미술과 테크놀로지 프로그램’이 있다. 먼저 캘리포니아 미니멀리즘은 감축적 표현을 한다는 점에서는 동시대 뉴욕 중심의 미니멀리즘과 형식적인 유사성을 띠지만, 광택이 나는 합성물질과 빛을 이용해 작품 표면에서 일어나는 일루젼을 강조하고 그로 인해 발생한 지각적인 효과, 즉 작품을 보는 관람자의 감각적인 경험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또한 작가는 ‘미술과 테크놀로지 프로그램’에서 다양한 실험들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때의 경험은 이후 그의 작업에 과학적인 전문성을 제공한다. 이렇듯 물리학, 생리학, 지각심리학, 대기과학과 천문학까지도 아우르는 그의 작업은 과학과 예술의 절묘한 결합을 보여준다. 터렐의 작품은 미니멀한 형식과 테크놀로지를 사용하면서도 관람객에게는 무한한 감성이 동반된 매우 주관적인 경험을 불러일으키는데, 이것을 가능케한 조형적 장치로 먼저 빛에 의한 일루젼 효과를 꼽을 수 있다. 프로젝터와 형광등, 네온을 이용한 인공적인 빛에서부터 해와 달의 자연적인 빛까지, 그의 작품 속에서 물질화되어 표현된 빛은 관람자의 망막 위에서 시각적 일루젼이 창출되도록 하며 그 효과는 관람객이 빛을, 그리고 작품을 본다는 행위에 집중하도록 유도한다. 그리하여 빛이 만들어내는 예측할 수 없는 일루젼 효과는 의식의 통제를 넘어선 영역을 상기시킴으로써, 미지의 것에 대한 두려움과 경이로움의 교차를 경험하게 한다. 그의 작품에서 대자연의 삽입은 또한 숭고의 체험을 유도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작가는 폐쇄된 기존의 전시공간을 열어 햇빛과 물, 하늘을 작품 속에 끌어들이는데, 더욱이 최근 작업에서 작품 전체를 언덕이나 분화구와 같은 자연적인 지형에 옮겨 놓고 또 그것을 거대한 천체관측소로 개조하여 관람객이 밤하늘을 관람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하여 관람자들이 우주의 모습을 맨눈으로, 아주 가까이 있는 것처럼 보고 느끼게 하는 것이다. 또한 빛을 방사함으로써 관람자가 서 있는 공간마저도 작품의 일부로 흡수해버리는 터렐의 작품은, 관람자에게 광대한 스케일을 실감하게 한다. 초기 실내 작품에서는, 물리적으로 한정되어 있는 내부 공간의 원근법적인 요소들을 의도적으로 숨김으로써 무한한 공간감을 체험하게 한다. 최근의 대지 작업들에서는, 거대한 자연 지형이 주는 규모감에 더해 무한한 천체가 눈 앞에 펼쳐짐으로써, 관람객은 기존의 예술작품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광대한 스케일을 경험할 수 있다. 이것은 마치 무한한 우주 공간 속에 떠 있는 것 같은 체험을 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자기 자신에게 몰입하게 한다. 거대한 작품은 관람자를 둘러싸는 장을 형성하여 자아를 확인시키는 실존적 환경을 제공하는 셈이다. 마지막으로, 서서히 드러나는 빛을 인지해야만 하는 터렐의 작품은 시간의 지속 과정이 필연적인데, 작가는 이 과정을 명상으로 유도함으로써 관람자의 내면의식을 강화시키고 자신의 존재에 보다 집중하게 만든다. 그의 작품 속에서 시간은 인간의 눈이 가진 결함, 그 부정확성 때문에 생기는 시간차에서 비롯되는데, 작가는 우리 몸에서 일어나는 이와 같은 물리적인 시간에 주목하고 그것을 예술로 끌어들인 것이다. 요컨대 터렐은 인간의 눈의 한계라는 지각적 메커니즘에 근거하여 시지각적 경험이 진행되는 구체적인 시간적 과정을 초월적인 정신적 체험의 과정으로 유도한다. 그것은 자신의 신체의 한계를 깨는 것에서 자아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자신을 초월한 것에 대한 경외심 즉 ‘숭고’에 이르는 과정이다.;This thesi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by using technology in James Turrell’s works. Turrell is one of the California Minimalist in 1960’s and his works were made on the emphasis of the viewer’s perceptual experience reacting on light and space. He lead the audience the perceptual experince by giving light the shape, the depth and the materiality. His works induce them to go thorough an irrational experince in the scientific and rational way and I think this experince is the Sublime. The concept of the sublime was the experience of the subject rather than the object itself. The man who feels the terror in front of the large and overwhelming object and tries to overcome it by his will could experience the sublime. This thesis is the study of that experience come from Turrell’s works which seem to be minimal and non-object. It will be revealing the private and dematerialized experince of Turrell’s minimal works and overcoming the limits of matter on revising Minimalims in the 1960-70’s. First of all, Turrell’s works include high technology and scientific thought in that he use technical expertise to express materialized light and focus on the process of physical mechanism related with the sense. And this is based on California Minimalism in the 1960-70’s and ‘Art and Technology Program’ in 1969. While California Minimalism is minimal in common with New York Minimalism, the former is different from the latter in that it emphasize the illusion on the surface using polished synthetic products and light, and the perceptual effect, the viewer’s sensory experience. To achieve it, he use engineer’s technical expertise, craftsmanship, and semi-techinical method of making. Moreoever, he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of perceptual psychology participating in ‘Art and Technology Program’ and used it for making his works. Turrell’s works evoke infinite and very subjective experience. And it is possible due to 4 factors in his works. First one is the illusion effect of light. He express the light a material thing; from artificial light(projectors, fluorescents, neon tubes…) to natural light(sunlight, moonlight, starlight…), this creat the optical illusion on the retina of the viewer’s eyes and help them concentrate on their act of seeing. Therefore, it evoke the area beyond the consiousness and they experience the fear and the awe at the same time. Moreoever, the injection of nature into the works is another important factor to make the sublime. While he put sunlight, water and sky into his enclosed works, his recent works are based on the geographical figure and he make it naked-eye observatory. Because Turrell’s light-projection works absorbe the space of viewing, it help viewers feel the vast scale of works. In his early period of works, perspective factor of interior space are hidden and creat virtually infinite space. In his recent land-works, the viewer can experience the large scale of art because of huge crater and vaste celestrial vault. This situation provide thew with self-recognition in the infinite space. Finally, the duration of time is essential to the sublime in his works. This time is caused by the incorrectness of human’s eys, Turrell focus this, use it and make it art. He make this process a kind of mediatation and help viewer’s reinforce their self-consiousness and concentrate themselv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Ⅱ. 테크놀로지를 통한 숭고의 경험 = 8 A. 캘리포니아의 미니멀리즘 = 9 B. ‘미술과 테크놀로지 프로그램’ = 13 Ⅲ. ‘숭고’의 경험을 위한 조형적 장치 = 19 A. 빛에 의한 일루젼 효과 = 20 B. 대자연의 삽입 = 33 C. 광대한 스케일 = 45 D. 시간의 지속 = 57 Ⅳ. 결론 = 66 참고문헌 = 70 도판목록 = 76 도 판 = 80 Abstract =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7560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제임스 터렐(James Turrell)의 작품에 나타난 ‘숭고(the Sublime)’의 경험-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xperience of ‘the Sublime’ in James Turrell’s works-
dc.creator.othernameCho, Jae-Hee-
dc.format.pagevi, 10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