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정혜주-
dc.creator정혜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87-
dc.description.abstract북한의 군중노선은 1970년대까지 ‘천리마운동’, ‘청산리방법’, ‘3대혁명소조운동’ 등의 형태를 통해서 북한의 근대화를 이루는 데에 큰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군중노선이 대내외적으로 총체적 위기였던 1995년부터 1997년까지 ‘고난의 행군’ 시기에는 어떠한 변화를 보였고, 이것이 갖는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북한 군중노선에 대하여 ‘동원체제접근법’에서 설명하고, ‘북한 동원체제 모형’을 차용하여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고난의 행군’ 시기 군중노선의 변화 내용 및 형태를 보기 위한 자료로서 북한의 공간(公刊)문헌과 북한 예술영화를 교차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북한 예술영화에 나타난 군중노선의 대략적인 형태상의 변화로써 ‘북한 동원체제 모형’에서 살펴 본 동원대상과 동원조직, 동원수단의 변화이다. 첫째, 동원대상에서 청년세대 및 청소년 세대의 강조이다. 항일무장투쟁과 한국전쟁을 경험하지 않은 세대가 ‘고난의 행군’ 시기에 주된 경제 일꾼으로 등장한 것과 관련이 있다. 둘째, 과거 조선로동당의 군중노선을 이끈 조직은 주로 당의 지도일군이었던데 반해 ‘고난의 행군’ 시기에 와서는 군대의 역할이 확대 내지는 부상하였다. 셋째, 동원수단으로 정치·도덕적 자극의 극대화이다. 이것은 수령의 사망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명분으로 군중의 내핍을 요구하고 위기 극복의 원동력으로 삼았다. 이러한 군중노선의 변화가 갖는 함의는 북한의 사회적 조건 변화와 관련이 있다. ‘고난의 행군’ 시기 이전부터 점점 변화된 북한 사회의 내적 변화인데, 북한 예술영화에서도 인민들의 개인주의·물질주의 경향 및 군중노선 진행상의 문제점 등이 나타나고 있다. ‘고난의 행군’ 시기에 군중을 동원하는 것에 한계를 보임에도 조선로동당이 위기 극복을 위해 취할 수밖에 없었던 방법이 아이러니하게 다시 군중동원방식이었다. 형태의 변화를 수반한 군중노선은 ‘고난의 행군’ 시기 일단은 체제의 생존이라는 소기 목적을 달성하는데 나름대로 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큰 무리 없이 김정일 정권 이양을 견인하였다. 이후 희망적인 비전을 제시하고, ‘천리마시대’의 성과를 기대하며 ‘제2천리마대진군’으로 군중 동원을 하고 있다.;The mass line, such as the Chollima Movement, the Chongsan-ri Method, the Three-Revolution Teams Movement, has taken a critical role in the modernization of North Korea up to 1970's. The aim of the study is (1)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mass line of the North during the ear of the Arduous March (1995-1997) when North Korea had faced with both internal and external crisis, and (2) to grasp the implication of the changes during the time. The mass line of North Korea is explained within the frame of the mobilization system approach, and reconstructed to comply with the goal of this study by employing the North Korean mobilization system model. Documents published by the North Korean government and play films are cross used as materials for analyzing the changes in the mass line during the period. The result of study shows that the changes in the mass line presented in play films of the North Korea during the period represents the changes in the object of mobilization, the method of mobilization and the organization of mobilization that are shown in the North Korean mobilization system model. The first change was that the young generation including juveniles were newly appeared as the major object of mobilization in the films.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generation, which did not experienced the Korean War and the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ecame the important workforce for the economic development in the era of the Arduous March. Secondly, while the driving force that had led the mass line of the Workers Party of Korea was the leading workers in the past, the role of the military was expanded during the era of the Arduous March. The third changes during the period was the extremization of political and moral stimuli as a method of mobilization. This is connected to the death of the Leader, Kim Il Sung. With the method, the government was able to require the people to endure the internal poverty. In other words, it worked as the dynamics to overcome the crisis during the period. The implication of such changes in the mass line is intertwined with the changes of social conditions of the North during the time. The North Korean society had been faced with internal changes before the era of the Arduous March. Play films of North Korea in the period also showed individualism and materialism of the people, and the procedural problems of the mass line. Realizing the limitation of mobilization of the people during the era of the Arduous March, the Worker's Party of Korea, ironically, had no choice but to mobilize the people to break through the crisis. The mass line, which took a different form, was relatively successful in achieving the basic goal - the survival of the North Korean system, and Kim Jong Il could take over the power without a substantial defiance. In addition, the mass line in a different form could present the positive vision to the people. With the newly changed mass line, the North, expecting the fruit of the Chollima Period, is mobilizing the people for the second Grand March of Chollim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Ⅰ. 서 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의 검토 = 3 C.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5 Ⅱ. 북한 군중노선의 배경 = 13 A. 사회주의 체제의 군중노선 = 13 B. 북한의 군중노선 = 19 C. ‘고난의 행군’시기의 특성 = 32 Ⅲ. ‘고난의 행군’시기 예술영화에 나타난 군중노선 = 36 A. 동원대상으로서의 청년 및 청소년세대 강조 = 36 B. ‘혁명적 군인정신’을 통한 동원조직의 변화 = 43 C. 동원수단으로서 정치·도덕적 자극의 극대화 = 52 Ⅳ. ‘고난의 행군’시기 군중노선의 함의 = 60 A. 사회적 조건의 변화와 군중노선 = 60 B. 김정일 체제로의 이행과 군중노선 = 69 Ⅴ. 결 론 = 76 부 록 = 80 참고문헌 = 82 Abstract = 9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391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title'고난의 행군'시기 예술영화에 나타난 군중노선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Mass Line Shown in Play Films During the Era of “the Arduous March”-
dc.creator.othernameJEONG, Hye-Joo-
dc.format.pageiv, 9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