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밀라-
dc.creator김밀라-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19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1912-
dc.description.abstractFocused on elementary textbooks that play a huge role in creating students' sociality, this paper studies the status of sexual inequality in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Such study on textbooks has a preparative characteristic to overcome heterogeneity created by division, as well as to be united as one country. By studying the issue of sexual inequality in textbooks of both South and North Korea, different viewpoints between these two can be understood, and a common aim of education can be confirmed. The textbooks subjected for analysis were limited to Morals and Korean Language textbooks. Content analysis was selected as studying method, and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ere made on the texts and illustrations. To thoroughly analyze sexual inequality in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detailed study area was divided into career activity, housekeeping activity, political activity and service activity. First, looking at the results of career activity, both South and North Korean textbooks generally showed sexual inequality based on traditional roles of sex. Male participated more actively in career activities than female, and they had more career fields available. Also, male took more ratio of high-ranking officials and specialists in textbooks than female. From a quantitative point of view, female from North Korea participated more in career activities (except military service) than female from South Korea. From a qualitative point of view, sexual inequality was more explicit to female from North Korea. The appearance of military personnel, a cherished career in North Korea, was leaned upon male.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n female specialists were concentrated in the field of medical doctor, recognized as a female career in North Korea.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ntinuous North Korean policy of using female manpower has formally increased career activities of female. However, in detailed quality, there is still sexual inequality in North Korea. Also for housekeeping activity, there was a general trend of sexual inequality in South and North Korean textbooks. Female burdened more housekeeping activities, and the contents of such activities were also more diverse than male. In the attitude towards raising and educating children, which takes a large part of housekeeping activity, male and female were described differently. Male was described as rational, while female emotional. This reveals the stereotype of sexual role in textbooks. On the other hand, male from South Korea turned out to be participating in housekeeping activity more actively than North Korea. The scope of housekeeping activity was also wider for male from South Korea. This suggests that South Korean female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y has increased the recognition level of South Korean male towards housekeeping activity. On the other hand, North Korea is influenced by the socialist view of womanhood where housekeeping activity is burdened by the country. Naturally, North Korean male has less concern on such activity, and thus, description of male participating in housekeeping activity is less made than South Korean textbooks. Contents related with political and service activity were less shown compared to career and housekeeping activity. Particularly, no significant data was found in North Korean textbooks. This is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North Korean system, where voluntary political activity or organization is limited. In South Korean textbooks, the description of political activity was focused on male, while service activity focused on female. Also in service activity, male worked in fields requiring strength or expertise, while female requiring delicacy or emotion. Although a comparis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nnot be made in these fields of activity, it is clear that at least South Korean textbooks are revealing sexual inequality based on the stereotype of sexual role. Generally, South and North Korean textbooks show sexual inequality and stereotyping. Such inequality and stereotyping in elementary textbooks can give negative influence to student's idea on sexual role and standing. By making efforts to eliminate elements of sexual inequality in textbooks, both South and North Korean students shall have an opportunity to naturally build the concept of sexual equality.;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사회성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하는 초등 교과서를 대상으로 남북한 교과서에 나타나는 성 불평등 현황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교과서에 대한 연구는 남북한이 분단으로 인한 이질성을 극복하고 하나의 공동체가 되기 위한 준비 작업의 성격을 띤다. 교과서의 성 불평등이라는 문제에 대해 남한과 북한을 함께 연구함으로써, 그 차이를 인식하고 남북한 교육이 함께 추구해야할 지향점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분석 대상이 된 교과서는 초등학교 도덕·국어 교과서로 제한했다. 연구방법으로 내용분석을 취했으며, 본문과 삽화에 대한 양적 분석을 바탕으로 질적 분석을 병행했다. 남북한 교과서의 성 불평등 분석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영역은 직업활동, 가사활동, 정치활동 및 봉사활동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우선 직업활동의 결과를 살펴보면, 남북한 교과서 전반에서 전통적 성 역할 인식에 기반한 성 불평등이 나타나고 있었다. 여성보다는 남성이 직업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그 영역도 남성이 훨씬 다양했다. 또한 교과서 속 고위직과 전문직의 비율도 남성이 여성보다 높았다. 양적으로는 북한 여성이 남한 여성보다 직업활동(군인 제외)에 더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질적으로는 북한 여성에 대한 성 불평등이 나타나고 있다. 북한에서 중요시하는 군인의 등장횟수가 남성에 편중되고, 북한 사회에서 여성의 직업으로 인식되는 의사에 북한 전문직 여성들이 집중되어 있다. 이는 북한이 꾸준히 진행시켜온 여성 노동력 활용 정책의 결과 외형적으로는 여성의 직업활동이 증가했으나, 구체적인 내용 면에서는 여전히 성 불평등 양상이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가사활동에서도 남북의 교과서는 전체적으로 성 불평등 경향을 보이고 있다. 가사활동은 여성이 더 부담하고 있었고, 활동 내용도 남성보다 여성이 더 다양했다. 가사활동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양육·자녀교육의 성격도 남성은 이성적으로 여성은 감성적으로 그려지고 있어, 교과서 속 성 역할 고정관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남한 남성이 북한 남성보다 가사활동에 더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한 남성의 가사활동 범위도 북한 남성보다 넓게 나타났다. 이는 그 동안 남한에서 여성의 사회활동과 함께 남성의 가사활동에 대한 인식도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분석된다. 반면 북한은 가사활동을 국가가 부담하는 사회주의 여성관의 영향으로 남성의 가사활동에 대한 고민이 적었고, 그 결과 교과서에서 남성의 가사활동에 대한 묘사가 남한보다 덜 나타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정치활동 및 봉사활동에 대한 내용은 직업활동과 가사활동에 비해 적게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북한 교과서에서는 의미 있는 자료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북한이 체제의 특성상 자발적인 정치활동이나 조직의 결성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은 남한 교과서의 경우 정치활동은 남성 중심으로, 봉사활동은 여성 위주로 묘사되고 있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봉사활동에서 남성은 힘·전문 기술을 요구하는 영역에서, 여성은 섬세함·감성적인 보살핌을 요구하는 영역에서 주로 활동하고 있었다. 이 부분에 대한 남북 비교는 할 수 없었지만, 남한 교과서에서 성 역할 고정관념에 기인한 성 불평등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은 확인할 수 있었다. 남한과 북한의 교과서 전반에 걸쳐 성 불평등과 성 역할 고정관념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초등 교과서에 나타난 성 불평등이나 성 역할 고정관념은 학생들의 성별 역할과 지위에 대한 생각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교과서에 나타난 성 불평등 요소를 개선하려는 노력을 통해, 남북의 학생들이 남녀평등 의식을 자연스럽게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B. 선행 연구의 검토 및 분석틀의 제시 = 6 C. 연구자료와 연구방법 = 8 Ⅱ. 남북한 여성의 사회적 입지 = 16 A. 사회주의의 여성관 = 16 B. 여성의 사회적 지위 = 19 1. 사회주의권 여성의 사회적 지위 = 19 2. 북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 = 24 3. 남한 여성의 사회적 지위 = 27 Ⅲ. 직업활동 = 33 A. 직업활동에의 참여 = 33 B. 직업활동의 성 역할 묘사 = 39 IV. 가사활동 = 52 A. 가사영역에서의 비중 = 52 B. 가사활동의 성 역할 묘사 = 57 Ⅴ. 정치활동 및 봉사활동 = 70 A. 성별 정치활동의 성 역할 묘사 = 70 B. 성별 봉사활동의 성 역할 묘사 = 73 Ⅵ. 결론 = 79 참고문헌 = 83 부 록 = 89 ABSTRACT = 9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1247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남북한 초등 교과서의 성 불평등 비교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study on gender inequality in elementary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dc.creator.othernameKim, Mil-La-
dc.format.pageⅶ, 9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북한학협동과정-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