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승애-
dc.creator이승애-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3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3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3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90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354-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brings into question a common idea that 'there is no racism in Korean society' and the gender-blind viewpoint of studies dealing with Amerasian's experiences before, which made Amerasian women marginalized in Korean society. Amerasian women, moreover, being a woman in gender system of Korean society as well, are more invisible than Amerasian men. So it is Amerasian women's experiences that show how racism and sexism of Korean society works in more specific ways. So this study tries to articulate the ideologies working in the respect of Amerasian women's life as well as of Amerasianness of their parentage. I researched how racism and sexism exert influence on Amerasian women's daily life. Amerasian women recognize they cannot verbalize discrimination against themselves. They are always seen as mixed blood people different from Korean, even if their identities are different in every situation and their intention. That is because of their visible skin color. It can be called 'everyday racism' that soaks to operate in their daily lives in microscopic ways. In addition, prejudices about skin color interplays among racially categorized groups. Facing everyday racism, Amerasian women identify themselves either with Korean or American and even make up their self-identity with neither. In particular, Amerasian women in teenage and early twenties make every effort to achieve 'normalitivity' by abiding by the gendered morality. The lifelong goal can barely be accomplished, however hard they try to become normal like any other Korean. But they present their agency, while figuring out exactly what is possible and what else insurmountable, by exerting more down-to-earth approaches to their situation. Hence, legal and institutional discrimination works systematically on Amerasian women ruled out from being official citizens. They are considered not only to leave Korea but to make a notification of birth, by being registered as a legal member of Korean society. Whereas listed on the notification of birth and the census register of their mother, they are stigmatized as illegal children of unmarried mothers. Furthermore, the official school system excludes Amerasian who face the first official discrimination from it. A great number of Amerasians cannot help quitting school, since they expect to get slim chances of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s well, not as long as they have exceptional ability or resources. Amerasian, therefore, can hardly get out of poverty. Amerasian women find themselves situated in the intersecting position of gender, race and class, in particular, in the labor market. They experience their differences of race, gender, and class; having mixed blood, lack of social and material resources, little formal schooling, and being a divorced woman and even breadwinner and at the same time carer for members of their family or community. Their visible appearance tends to be regarded as the most disadvantage factor for employment though, which does not mean that their other differences are not considered or erased. In other words, Amerasian women have difficulties in getting a job because of not merely their skin color but being a woman in gender system. The differences of Amerasian women are calculated into economy, as resulted in the phenomena of 'feminization of poverty' and 'race becoming class.' Thus, located in the society which contains various hierarchies and differentiations, Amerasian women are discriminated and excluded in the level of their daily life and of institutional and legal system. Consequently, it cannot be said that the concept of 'race' or 'racism' is new or imported, but already located in the exclusivism on dissimilarities in Korean society. There are hierarchies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s of appearances among Korean under the assumption that Koreans is homogeneous with one ancestor and pure blood. As a matter of fact, all Koreans do not necessarily have a same skin color and figure who are differentiated. But their difference is not a determinant for them to be excluded from Korean, insofar as belonging to Korean 'father'. But ones having different skin color and even not identified as the same Korean patrilineal descents become easily outcasters. It is the matter of Amerasian affected by both the gender issue in respect that women are utilized as a means for the patrilineal line and the issue of an exclusive proposition on other race. That also explains the reason why Amerasian men are biological male but not able to be social men. Amerasianness, furthermore, is an emblem of sexual contamination of sex worker in Gijichon(U.S. army base) and of not having father. It is against the very criterion of lawful wedlock Korean men and Korean women. Korean women who have sexual relationship with non-Korean men and bear a baby, even out of wedlock, come to be in a precarious status for being normal citizens. The ideology of pure blood legitimizes, as it were, male dominant system by using women as objects to carry Korean men's blood. It also shows exclusivism on foreign races by degrading Korean women from having sexual relationship with men out of Korean. Different skin color of Amerasian, in particular, bears father's race so that it is easily marginalized and excluded from Korean society without any pause. The exclusivism on other skin colors and other blood is strengthened through adding the globally generalized racial prejudice in the sight of white men. In sum, this study called into question, not only the thought there is no racism in Korean society because every Korean has a same blood and same skin color, but the characteristic of racially classified system subdividing and reinforcing genderly unequal system. While Black feminism in the area of North American or Europe have made their own history starting from articulating and expressing dissent in feminism and anti-racism, sexism cannot be discussed without racism in Korean society. Racial hierarchy, namely, sustains by exploiting women and gender system is more specified and fortified by racial classification and discrimination. Racism and sexism cooperating in Korean authority operate on Amerasian women, which means it is one of feminist issues and needs further feminist studies on.;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사회에서 가시 영역에서 배제되어 온 혼혈여성의 경험에 대해 여성주의적 접근을 시도하고, 한국인과는 별개의 개념으로 인식되었던 ‘인종’을 분석 범주로 채택함으로써 젠더 체계가 더욱 구체화되고 강화되는 측면을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혼혈여성의 일상적 경험을 통해 인종과 젠더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았다. 혼혈여성의 입장에서는 차별임에도 불구하고, 이 차별에 대해 언어화하고 상대방을 이해시킬 수 없는 경험을 한다. 몸에 각인된 피부색은 주변화된 ‘혼혈성’을 부각시키기 때문에, 혼혈여성이 아무리 ‘여성’정체성이나 혹은 상황과 맥락에 따른 정체성을 갖더라도, 결국 혼혈인으로 환원되는 경험을 한다. 이러한 언어화되지 못하고 소통되지 않는 경험을 본 연구에서는 인종주의의 미시적 차원에서의 ‘일상적 인종주의’로 본다. 또한, 피부색에 따른 차별의식은 여러 각도에서 다양한 층위에서 가해지는 것으로 편재되고 세분화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국면에서 혼혈여성들은 때로는 한국인으로 때로는 미국인으로 정체화하고 혹은 어떠한 집단으로의 정체화도 포기하는 방식으로 자기 정체성을 구성한다. 그 중 십대와 이십대 혼혈여성은 젠더화된 성규범을 획득함으로써 정상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선결된 것처럼 보이는 혼혈성으로 실패할 수밖에 없는 구조 안에 놓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주어진 조건과 현실에 대해 직시하고 그 위치에서 가능성을 발견하려는 ‘행위성’을 드러낸다. 한편, 일상적 차원과 분리될 수 없는 한국 사회 내 법제도와 관련된 관습적인 차별과 배제는 혼혈여성들이 공식 영역으로의 진입을 체계적으로 방해한다. 이들은 국가로부터 입양이나 이민의 형식으로 국외로 이주될 대상으로 인식되었고, 아버지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호주제도나 주민등록과 같은 법제도에 명시되지는 않았지만, 법과 병행되는 사회관습적 절차 안에서 공식적인 국민으로 인지되지 못한다. 물론, ‘미혼모’의 자녀로 등록될 수는 있으나, 이 또한 한국사회에서 비정상적 가족 구성으로 배제되는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어 공식적인 제도 교육의 장은 이들이 한국사회의 차별이 무엇인지를 직면하게 되는 첫 사회화의 장이 되고 있다. 동시에 성인이 되어도 취업에 있어서 특별한 재능과 자원이 없는 한 노동의 기회가 희박하기 때문에 많은 혼혈인들이 중도에 학교를 그만두게 된다. 이는 혼혈인들에게 계급이동의 가능성이 거의 삭제되는 것을 의미한다. 혼혈인으로서 이처럼 노동의 기회가 희박한 혼혈여성들은 특히 노동시장에서 자신의 복합적 주변성들을 발견하게 된다. 혼혈인, 사회적·물질적 자원이 없는 여성, 저학력, 이혼여성, 자녀나 부양해야할 다른 구성원이 있는 여성 등으로 인종적 젠더적 계급적 차이들을 동시에 경험한다. 한국사회에서 주변화된 혼혈인이라는 차이가 부각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나머지 차이들이 이것으로 인해 덜 중요하거나 삭제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작동하게 된다. 즉, 혼혈여성들은 피부색 즉 혼혈성 때문에 배제되고, 여성이기 때문에 배제되어야 하는 구조 안에 놓여 있는 것이다. 각 차이들이 경제적으로 환산되어 혼혈여성들은 ‘인종의 계급화’와 ‘여성의 빈곤화’를 동시에 경험하는 것이다. 이는 기존 혼혈인의 경험에 대한 연구들에서처럼 혼혈여성을 단순히 젠더가 없는 혼혈인이라고만 보거나 빈곤층으로만 인식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혼혈여성의 경험에 복잡한 성, 계급, 젠더의 차이들이 상황적으로 동시에 교차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이처럼, 혼혈여성이 일상적 법적 제도적 차원에서 배제되는 것은 한국사회의 사회문화적 인식틀이자 체제인 순수혈통중심주의에서 발로된 다양한 위계화와 차별화의 구조 안에 있기 때문이다. 이는 먼저 부계 혈통을 따라 여성을 혈통 유지 수단으로 삼는 젠더의 문제이다. 한국사회에서는 한국남성과 한국여성간의 결혼 안에서 남성의 혈통을 잇는 자녀 출산이 정상적이라는 기준이 존재한다. 이는 결혼 제도에서뿐만 아니라 한국인이 아닌 남성과 성적결합을 통해 자녀를 출산한 여성들은 한국인으로서의 국민적 지위가 흔들리게 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순수혈통에 기반한 젠더 정치학은 동시적으로 외국남성의 혈통에 대해서 배타적 특성을 갖는다. 특히, 다른 피부색으로 아버지의 인종적 차이가 그대로 각인되어 있는 혼혈성은 순수혈통중심주의에 의해 쉽게 타자화되고 배제되어야 할 요소로 간주될 수밖에 없다. ‘인종’ 혹은 ‘인종주의’를 외래의 낯선 관념이거나 기제로 보면서 이 낯선 차이들을 지닌 대상에 대해서 차별하는 의식이 배타적 집단의식 안에 이미 내재된 것이다. 이러한 의식에 보다 체계화되어 있는 백인중심의 인종차별적 의식이 접목됨으로써, 혼혈성은 곧 한국사회에서 ‘국민됨’의 자격에서 벗어난 기표가 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순수혈통이 곧 동질적 외모와 피가 한국인의 보편적 전제이기 때문에 ’인종주의는 없다‘라는 믿음이 형성되어 있는 반면, 그 이면에서는 ’인종‘이 개입됨으로써 젠더 위계가 더욱 구체화되고 강화된다고 보았다. 인종 체계는 여성에 대한 차별과 성적 통제 및 착취로 유지된다면, 젠더 위계는 인종을 통해 보다 구체화되고 강화되는 특성을 보인다. 그러므로 서구 유색인종 페미니스트들이 젠더뿐만 아니라 인종이 어떻게 속한 사회 내 지배 권력의 이해에 기반하여 상호의존적 기제로 작동되는지를 밝혀내고 이에 대해 저항의 역사를 만들어 왔던 것에서처럼, 한국사회 내 젠더 연구에 있어서 인종을 분석 범주로 도입하고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여성주의적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II Ⅰ. 서론 = 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2. 연구 방법 및 연구 대상 = 5 3. 연구 과정과 연구자의 윤리 = 9 4. 선행 연구 검토 = 13 Ⅱ. 이론적 논의 = 16 1. ‘혼혈’의 명명의 문제와 역사적 배경 = 16 1-1. ‘혼혈’의 명명의 문제 = 17 1-2. ‘혼혈’의 성차별적, 인종차별적 역사 = 20 2. 서구 페미니즘 내 인종에 대한 문제제기 과정 = 28 3. 한국사회의 인종주의 = 35 Ⅲ. ‘혼혈인화’되는 혼혈여성의 일상적 경험과 자기 정체성 구성 방식 = 43 1. ‘혼혈인화’되는 일상적 경험 = 43 1-1. 일상적 차별의 경험과 언어의 부재 = 43 1-2. 편재된 미시적 권력, ‘일상적 인종주의’ = 47 1-3. 세분화되고 상대화되는 인종적 위계 = 51 2. 자기정체성의 구성 방식 = 56 2-1. ‘한국인’과의 동일시와 차별화의 전략 = 56 2-2. 젠더화된 정상성 획득의 노력 = 60 Ⅳ. 혼혈여성의 법제도적 배제의 맥락 = 67 1. 혼혈인의 배제 과정 = 67 1-1. 혼혈인 정책: 입양 정책 = 67 1-2. 아버지가 없는 ‘국민’: 호적 및 주민등록제도에서의 배제 = 70 1-3. 공식 제도교육에서의 배제 = 73 2. 혼혈여성의 빈곤화 과정: 성, 계급, 인종의 상황적 교차성 = 74 2-1. 노동시장에서 작동하는 인종과 젠더 체계 = 74 2-2. 사회자원의 빈곤과 관계망 결핍 = 79 2-3. 빈곤화에 대한 자기 해석 = 83 Ⅴ. 혈통의 동질성에 기반한 상상적 부계혈통 공동체: 젠더화된 국민국가 = 87 1. ‘아버지’ 중심의 혈통주의 = 87 1-1. ‘순수혈통’의 유지 기제로서의 여성의 섹슈얼리티 = 87 1-2. 피부색이 만들어내는 타자성 = 91 1-3. 피부색과 인종 관계의 임의성 = 94 2. ‘아버지’가 매개하는 ‘국민됨’ = 96 Ⅵ. 결론 및 연구의 한계 = 99 참고문헌 = 103 Abstract = 11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987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사회에서의 혼혈여성(Amerasian Women)의 경험을 구성하는 젠더와 인종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Feminist Reflections on the issues of Race and Gender working on the experience and social status of Amerasian Women in Korean society-
dc.creator.othernameLee, Seung-Ae-
dc.format.pageiv, 12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