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홍지연-
dc.creator홍지연-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2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2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8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8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8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근대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1876년 개항부터 1945년 사이의 여성 장신구를 고찰한 것이다. 여성 장신구의 변천과 유입, 제작, 유통과정을 분석하고 당시의 사회, 경제적 조류와 어떠한 역학적 관계를 맺으며 수용되었는지 일본과의 관계를 통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도시의 소비문화와 여성의 의식 변화, 대중매체의 확산을 통해 근대 문화적 표상으로써 여성 장신구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장신구는 보석에 대한 수입세를 규정한 조 · 일 통상장정으로 1876년, 개항 당시부터 거론되었으며, 1903년 황성신문 광고에는 서양식으로 생각되는 ‘보석 반지’가 등장했다. 또한 漢城美術品製作所가 설립되어 전승공예 분야를 고무시켰다. 1910년~1919년에는 다양한 형태의 반지들이 광고에 소개되었으며 순금 이외에 18금과 백금이 사용되었다. 漢城美術品製作所는 李王職美術品製作所로 개편되어 일본인 주도로 조직적인 판매활동을 벌였다. 전통 금은세공소들의 장신구 광고도 증가하였는데 여기서 제작된 반지는 조선시대의 양식과 차이가 있었다. 남성용 반지도 있었으며 후반기에는 합성금이 등장했다. 1920년~1929년에는 전반기에 합성금, 모조 다이아몬드 반지, 백금 대용 반지 광고가 활발하였다. 합성금은 기존의 전통 장신구에도 사용되었다. 또한 당시 유럽에서처럼 흰색 금속에 대한 선호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장신구 광고는 1925년 이후 현저하게 줄었다. 반면에 인쇄매체의 상업화 경향으로 기사는 증가하였으며 결혼반지, 약혼반지, 탄생석 같은 서구식 개념이 도입되었다. 1930년~1936년에는 수정 장신구나 금 대용품 광고가 잠시 등장한 것 외에 장신구 광고는 보이지 않으나 관련 기사는 지속되었다. 1937년~1945년에는 본격적인 전시체제로 들어가면서 장신구 산업은 크게 위축되었고 장신구는 역사 속으로 급속히 사라져갔다. 장신구와 보석의 주요 유입경로는 수입과 밀수를 통해서였으며, 외국인과 해외유학생, 해외여행을 통해 유입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서양식 장신구 제작은 서구를 통한 것이라기보다 주로 일본을 매개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장신구 유통의 중심지는 서울로 주요 상권은 종로와 명동이었다. 판매 진작을 위해 할인이나 보상금 지불, 경품추첨, 원산지로부터 직수입, 보험증 첨부와 같은 근대 유통기법들이 도입되었다. 전화로 주문배달도 실시했으며 振替나 代金引換을 사용해 지불했다. 백화점과 행상도 장신구 유통을 담당하였다. 국내의 장신구 산업은 일본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일본의 호경기로 1910년대 국내 장신구 광고가 급증했으며, 이후의 불경기로 합성금을 비롯한 저가 장신구 광고가 활발했고, 1925년 이후로는 장신구 광고가 급격히 줄었다. 1930년대의 ‘황금광시대’는 일본의 산금정책에서 기인한 것이다. 일본에서 1924년, 보석류에 대한 관세 100% 인상과 1933년 10% 인하 조치는 우리나라에서도 1930년과 1935년에 동일하게 시행되었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 단행된 일련의 조치들로 우리나라 장신구 산업 역시 쇠퇴하게 되었다. 이 같은 거시적 영향 외에 동일한 세공용어의 사용이나 실시간 이루어진 유행의 전파 또한 일본의 미시적 영향으로 들 수 있다. 여성 장신구는 근대 문화와 다양한 관계를 맺으면서 전개되었다. 장신구는 근대 소비문화의 최상의 기표로서 작용했지만, 한편으로는 일본과 조선, 여성과 남성, 유산자와 무산자를 분리시켰다. 여성의 변화된 의식은 몸에 대한 관심과 자유연애, 연애결혼으로 표출되었고 장신구는 이것을 가시화하는 표상으로 선택되었다. 그러나 향유한 주체가 타자화, 세속화 되면서 장신구 역시 동일하게 변용되었다. 또한 장신구는 대중매체가 확산되면서 과학과 유행이라는 근대성과 결합되어 유포되었다. 본 연구는 개항 이후 기존의 전통 장신구와 새로 유입된 서양식 장신구의 재편 양상을 사회, 문화적 맥락 속에서 분석함으로써 오랫동안 묻혀왔던 우리나라 근대 여성 장신구에 대한 논의를 처음으로 이끌어내었다. 그러나 인쇄매체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광고와 기사 위주로 논의가 진행되었으며, 매체의 속성상 사회 전체로 일반화시키기에 어려운 점이 있었다. 근대 장신구 유물과 증언, 문헌 발굴을 통해 장신구 양식과 제작기법, 장신구 광고주에 대한 개별적 분석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현재의 장신구 문화의 토대를 재정립할 수 있는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influx and acculturation of jewelry in Korea during 1876 to 1945 based on print media. It examined the feature, influx, manufacture and distribution of jewelry in social and economic contexts particularly in relation to Japan. It also examined the acculturation of jewelry in modern cultural contexts such as urban consumption, women’s enlightenment and mass media. Gemstone began to be discussed from the opening of ports to foreign trade. It first appeared in the commercial treaty concluded between Korea and Japan in 1876. A stone set ring of presumably western style was advertised in Whangsung(皇城) newspaper in 1903. Korean traditional craft workshops such as Hansung(漢城) were established, revitalizing dilapidated traditional handicraft techniques. From 1910 to 1919, various rings appeared on advertisements and they were made of solid gold, 18K gold or platinum. Hansung craft workshop was reformed to Leewangjik(李王職) craft workshop and concentrated more on sales under the direction of Japanese. Korean traditional metal workshops were also advertised vigorously and they made rings in styles influenced by western jewelry. During the latter half of the 1910s, advertisements for imitation gold began to appear. In the first half of the 1920s, there were a lot of advertisements for imitation gold, imitation diamond rings and imitation platinum rings. The newly introduced imitation gold was also used to manufacture Korean traditional ornaments. There seems to have been tastes for white metal like in Europe. However, jewelry advertisements declined distinctively after 1925 while articles on jewelry continued to increase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print media. Western jewelry culture such as wedding ring, engagement ring and birth stone were also introduced. During 1930 to 1936, jewelry advertisements became much less frequent. Only a couple of advertisements such as crystals or imitation gold were shown while jewelry articles kept being reported. From 1937 to 1945, as Japan was reorganized on a war footing, jewelry industry rapidly withered and most of jewelry disappeared as they were collected for war. Jewelry and gemstones flowed into Korea mainly through import and smuggling. Foreigners, women studying abroad and overseas travelers also brought them into the country. Remaining records showed that there were Japanese artisans in Korea. This fact strongly suggested that western style jewelry in Korea was introduced by Japanese rather than by Westerners. The center of jewelry distribution was Seoul, in which two major areas were Jongro and Myungdong. Many sales promotions were tried such as discount, refund, compensation, free gift, direct import and warranty card. Telephone order and delivery service were also available using a transfer account at post office or payment on delivery. Department stores and peddlers also distributed jewelry. The Korean jewelry industry was highly affected by Japan. The prosperities of Japan thanks to the First World War caused a remarkable rise of jewelry advertisements in Korea, and the following depression resulted in the increase of inexpensive jewelry advertisements and again the decrease after 1925. Japan’s enforcement of gold mining during the 1930s drove Korea to a gold rush fever. In Japan, the import tariff of gemstone was raised by 100 percent in 1924 and lowered by 10 percent in 1933, and the rates were adopted by Korea in 1930 and 1935, respectively. After the Sino Japanese War in 1937, a series of policies executed in Japan were applied to Korea in the same way, causing the fall of the jewelry industry. The use of the same terminology in metal craft and the concurrent spread of fads between Japan and Korea also prove the influence of Japan. Western style jewelry developed through interaction with modern culture. While Jewelry was regarded as a symbol of high society in modern consumption culture, it distinguished between Japan and Joseon, between female and male and between bourgeois and proletarian. Women’s enlightenment brought about high interest in the body, free love and love marriages, and jewelry was used as the representations of these trends. As jewelry wearers became the Other and secularized, however, jewelry fell in same doom. In addition, articles on jewelry were increased with the spread of mass media, combing with modernism promoted by science and vogue. This study contributes to directing attention to jewelry in Korea during 1876 to 1945 for the first time by examining several aspects of newly introduced western style jewelry and existing traditional ornaments in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is analysis was mainly based on print media that carried jewelry advertisements and articl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ass media in those days, it is hard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analysis to the whole society. Therefore further research is suggested on jewelry style, manufacturing method and individual jewelry advertisers through examining actual remained jewelry, interview with jewelry wearers and review of more documents. We also hope that this study would serve as a basis for upcoming research and draw more researchers’ attention to jewelry study for more fertile jewelry culture in Korea.-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Ⅰ. 서론 = 1 A. 연구 목적과 의의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2 Ⅱ. 근대 여성 장신구의 변천 = 5 A. 제 1기 (1876년~1909년) = 5 B. 제 2기 (1910년~1929년) = 13 1. 1910년~1919년 = 13 2. 1920년~1929년 = 24 C. 제 3기 (1930년~1945년) = 37 1. 1930년~1936년 = 37 2. 1937년~1945년 = 43 Ⅲ. 근대 여성 장신구의 수용과 제작 및 유통 = 49 A. 장신구 및 재료의 수용 = 49 1. 수입 = 49 2. 밀수 = 52 3. 외국인 = 58 4. 해외 유학생 및 해외여행 = 61 B. 장신구의 제작과 유통 = 62 1. 제작 = 62 2. 유통 = 69 Ⅳ. 근대 문화적 표상으로서 여성 장신구 = 84 A. 도시의 소비문화와 장신구 = 84 B. 여성의 의식 변화와 장신구 = 92 C. 대중매체의 확산과 장신구 = 98 Ⅴ. 결론 및 제언 = 105 참고문헌 = 107 ABSTRACT = 11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783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한국 근대 여성 장신구의 수용과 전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x and Acculturation of Jewelry in Korea during 1876 to 1945-
dc.creator.othernameHong, Ji-Youn-
dc.format.pagex, 11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