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수경-
dc.creator김수경-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1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1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34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8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340-
dc.description.abstract최근 과학기술의 발달과 의학의 발달 등으로 인구의 고령화 시대가 도래하여 노년층과 관련된 개인적, 가정적, 사회적 문제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경제력을 가진 노년층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들의 생활 양식과 행동 양식이 더욱 복잡해지고 다양해 지고 있으며 이들은 신노년층으로 불려지고 있다. 신노년층의 삶의 태도와 행동은 다양할 것이며 이전과의 노년층의 생활과는 다를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도 차이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직까지 충분히 연구되지 않은 신노년층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아지각 정도와 여가활동유형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조사,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은 이론적 고찰과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수정, 보완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50, 60대 여성을 196명을 대상으로 2005년 11월 20일부터 2005년 12월 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검정, 요인분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노년층 여성의 자아지각 정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아에 대한 지각에 의해 자아에 대해 긍정적으로 지각하는 집단, 자아에 대해 긍정적이지도 부정적이지도 않게 지각하는 중립적 집단, 자아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는 집단, 세 집단으로 분류가 되고 연구 대상 노년층 여성의 67.9% 자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여 노년 여성이 과거의 소외대상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태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노년층 여성의 여가활동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신노년층 여성은 인맥을 형성하고 가까운 사람을 만나는 사회적 여가활동을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보다 60대 여성이 여가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인 자아를 가진 노년 여성이 부정적인 자아를 가진 여성보다 여가 활동을 많이 하고 특히,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노년층의 의복구매행동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의복구매동기는 ‘의복 상징성’, ‘의복 실용성’, ‘의복 심리성’요인 3가지 요인으로 나타났고, ‘계절이 바뀌어서’,‘갖고 있는 옷과의 조화를 위해’, ‘할인판매기간에 저렴하게 구입하기 위해’순으로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노년층이 주로 이용하는 정보원으로는 ‘기업적 정보원’,’중립적 정보원’, ‘소비자적 정보원’3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과거의 구매경험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매장 디스플레이 역시 주요 정보원이었다. 노년층 여성은 전반적으로 객관적 정보보다 소비자적 정보를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선택기준에 있어서 ‘심미성’, ‘실용성’, ‘상징성’ 요인으로분류되었고 신노년 여성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것을 가장 중요시 하였고 디자인, 품질, 스타일 등의 심미적 요인이 중요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포선택요인으로 ‘점포의 편의성’, ‘점포관련 경험’, ‘점포의 분위기’, ‘점포의 상품 특성’요인이 나타났고 신노년층 여성은 그 점포가 가지고 있는 상품의 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구매처는 백화점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외출복 한 벌의 가격대는 3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이 가장 선호되었다. 한 계절 평균 의복비는 30만원 이상 50만원 미만, 10만원 이상 30만원 미만이 19.4%로 가장 많이 선호되었고 근소한 차이로 7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이 17.9%, 200만원 이상이 17.3%가 다음을 나타내었다. 의복을 구입한 후 만족 정도에 대하여 ‘의복 심미성’, ‘의복 실용성’, ‘점포 편의성’, ‘점포 분위기’ 요인으로 분류되었고 각 요인에 대해 평균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이며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만족하는 요인은 디자인, 스타일이고 색상, 무늬, 품질 순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격이 가장 만족하지 못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지각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의 차이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의복구매동기는 긍정적, 중립적 자아지각 노년 여성이 부정적 자아지각 노년 여성보다 의복의 상징적인 측면을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자아의 노년 여성이 의복의 실용성 요인을 다른 집단에 비하여 비교적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정보원은 긍정적, 중립적 자아지각 노년 여성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노년 여성보다 기업적 정보원을 더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중립적으로 자아를 지각하는 신노년 여성은 비교적 다양한 정보원을 통하여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선택 기준은 자아를 긍정적, 중립적으로 인식하는 신노년 여성이 모든 의복선택기준에 있어서 부정적 자아지각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고 의복 심미성 요인에 있어서 긍정적 집단이 부정적 집단과 큰 차이를 보였다. 의복 만족 요인은 의복 관련 심미성 요인에 있어서 자아를 긍정적으로 여기는 집단이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고 부정적 집단은 다른 집단에 비하여 의복의 심미성에 만족도가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가활동유형에 따른 의복구매행동을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의복 구매 동기는 사회적 유형의 여가활동을 많이 하는 신노년 여성은 다른 여가유형집단에 비하여 의복의 상징적 요인에 의해 의복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복 실용성 요인은 여가유형별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의복 심리성 요인은 문화적, 자연적, 지적 집단이 사회적, 신체적 집단보다 중요시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구매 정보원은 사회적 활동을 많이 하는 집단이 다른 여가유형집단에 비하여 기업적 정보원을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소비자적 정보원의 활용에 있어서는 문화적, 지적 여가활동 집단의 이용이 높게 나타났다. 의복선택기준을 보면, 실용성 요인에 있어서 사회적 활동집단과 다른 여가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상징성 요인에 있어서 신체적 집단이 타인의 시선을 가장 의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연적 집단도 비교적 높게 상징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유형에 따른 점포선택기준은 전반적으로 집단 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매 후 만족도를 보면, 의복 심미성 요인은 여가 유형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의복 실용성 요인에 있어서 자연적 활동 집단이 높은 만족도가 나타났다. 점포 편의성 요인에 있어서 신체적 활동 집단이 점포의 편의성에서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점포 분위기 요인에 있어서는 각 여가 유형 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비교적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As the development of recent scientific technology and medicine, the era of prodigious age has been arrived and the interest on individual, social, and domestic problems related to the old generation is increasing. Also, as the increase in the layer of an old generation who possesses a financial freedom, their style of living and acting goes very diverse and complicated and they’re called as a ‘new elderly generation’. A lifestyle of their behavior and attitude will be various and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very much different to the previous old generation; therefore, the act of purchasing clothes as to it will be thought as different also. In this research, we will try to identify the type of leisure and the amount of their self-perception intended for a ‘new elderly generation’ and will try to analyze and research the act of purchasing clothes according to it. The method of research here is simultaneously carried out both theoretical thinking and through a questionnaire. As the basis of a previous research, we have made an eked out questionnaire and collected data from November 20th, 2005 to December 4th, 2005 being targeted to 196 women of 50’s and 60’s who is living in Seoul and Kyounggi province. We also have done a frequency analysis, t-auditing, source analysis and variance analysis, etc. The result of this report is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 level of self-perception of a ‘new elderly generation’ woman is as follows. It is revealed that there are three divided groups such as a group who perceives positively towards oneself through self-notification, a group who is neutral to oneself; in other words, neither positive nor negative to oneself, and lastly a group who perceives negatively towards oneself. 67.9% of the new elderly generation have positive self-notification, so they have affirmative attitude for their life that is different from past recognition. Second, the result of leisure activity’s point for new elderly generation woman is as follow. ‘Social activity’ among leisure types was the largest in ratio, especially 50th generation was more enjoyed social activity than 60th generation and positive towards oneself in the new elderly generation enjoyed leisure activity better. Third, the clothes purchasing behaviors for new elderly generation’s woman are as follow. New elderly generation group purchased clothes for ‘changed season’, ‘matching up their own wear’, ‘buying clothes during sale period’. In using information, they follow the projective information as ‘consumer’s orientation’. Chose the clothing, elderly woman most consider whether the clothing have good quality and design. For the store selection, they most consider ‘production quality’. Their favorite placement for purchasing the cloth is ‘department store’ and wanted price for the outer wear is between 300,000 won and 500,000 won. After they purchased clothing, they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clothing productions, especially with regards to its design, color and style. Forth, the clothes purchasing behaviors as the perception of self are as follow. For purchasing motive, positive and neutral perception of self consider more ‘symbolical aspect for clothe’ than negative perception of self. For using information, the woman that have positive perception of self use ‘enterprising information’ and also they use comparative all kinds of information. For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the woman of positive self notification considers aesthetic point of view as the most important standards. For satisfactions after purchasing clothes, affirmative group have higher satisfaction for all standards, but negative group is lower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Fifth, the clothes purchasing behaviors from leisure activity are as follow. For purchasing motive, social activity group consider more ‘symbolical aspect for clothe’ than the other group. For using information, social activity group use ‘enterprising information’ and civilized activity group and intellectual group use consumer’s information. For clothing selection standards, social activity group consider functional factor as most important standard and natural and physical groups consider symbolic factor as standards for purchasing clothe. For satisfactions after purchasing clothes, every group has higher satisfaction for all standard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 I.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 1 B. 연구의 목적 = 3 II.이론적 고찰 = 4 A. 노년 소비자 = 4 B. 자아지각 = 12 C. 여가행동 = 15 D. 의복구매행동 = 18 III. 연구 방법 및 절차 = 25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25 B. 측정도구 = 26 C. 자료분석방법 = 29 IV. 연구 결과 = 30 A.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징 = 30 B. 신노년층의 자아지각 = 33 C. 신노년층의 여가활동 = 37 D. 의복구매행동 = 43 V. 결론 및 제언 = 84 A. 요약 및 결론 = 84 B. 제언 및 마케팅 시사점 = 89 부록 = 91 ABSTRACT = 10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905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신노년층 여성의 자아지각과 여가행동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viii, 10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