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0 Download: 0

심근경색환자의 회복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연구

Title
심근경색환자의 회복과정에 대한 근거이론연구
Other Titles
Grounded Theory Research on Recovery Process of Myocardial Infarction Patients
Authors
신수진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과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Ischemic heart diseases, also known as ‘diseases of affluence’ and ‘diseases of life-style,’ have shown a prominent increase in its prevalence over the past decade. Of these, myocardial infarction is an illness that threatens life through heart attacks followed by cardiac arrests and requires continuously to monitor and care after recovery from its acute stage. Cardiac rehabilitation studies have concentrated on effects of cardiac rehabilitation programs, their short-term functional status evaluation, and their effects on life-style changes and psychology of the patients. However, the shortcoming of the excercise prescription-centered cardiac rehabilitation is that they are developed and evaluated in a medical service provider centered manner. Thus, patients will evaluate such programs as lack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atients and dissociated with his or her personal experiences. Thus, thi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disease and its recovery process from the view point of the patients. This study will utilize a grounded theory approach in order to disclose the recovery process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myocardial infarction and develop a substantive theory with regards to these finding. 15 participants receiving follow-up care for myocardial infarction, after intervention procedure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 from an out-patient basis were studied. The data were retrieved through in depth inter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nd medical records of the patients. Collected information was analyzed through grounded theory of Strauss and Corbin(1998). As a result, 63 concepts, 27 subcategories, and 11 categories were deduced from the open coding process. The recovery process of myocardial infarction showed to be a process of 'Controling healthy track' utilizing 'self-control efforts' and 'self-care strengthening', affected by 'increase in economic burden' and 'social network support' regarding the phenomenon of 'willingness to recover healthy life' affected by causal conditions of ‘facing critical condition that has penetrated the daily life’ and ‘recognition of the severity of the disease’ and contextual conditions of ‘differentiated recovery belief. Chronological recovery process was a four-step process of recognition of disruption of healthy track, healthy track control efforts phase, healthy track reconstruction phase, and adaptation to the new healthy track phase. During the first stage of ‘recognizing the disruption of healthy phase,’ the participants face a critical situation in their daily lives after being diagnosed with myocardial infarction, something that they had not anticipated upon. After realizing that myocardial infarction is a chronic illness that cannot be fully cured, they acquire the conviction to recover their healthy lives. The second stage is the ‘healthy track control efforts phase.’ During this stage, the participants begin to recover their energy, participate in the daily activities, and attempt to control the causation factors. Here they tend to utilize the self-control efforts strategy and are affected by the ‘social network support’ and ‘increase of economical burden'. The third stage is the ‘healthy track reconstruction phase’ where the participants are able to evaluate the changes in self-control and the center of relationship of the recovery process moves from the medical service providers to oneself. During this stage, the patients realize that the principal body of cure is oneself. Thus, one begins to utilize a self-care strengthening process through self-evaluating the results of self-control, strengthening the information capability and leading to paralleling various methods in order to reenter the healthy life of ones own. The final stage of recovery from myocardial infarction is the adaptation to the new healthy track phase, where the participants tended to show various types in sustaining ones healthy track after its recovery, a process necessary for healthy life, through self-control. ‘Controling healthy track’ had three types of self-initiation, contention of reality, and acceptance. Self-initiation types are positive in recovery belief and are active in making efforts of ones self-control and tend to be active in participation. They show constant self-control strengthening and parallel various methods of ones own for fast recovery and learn to acquire control over their lives. Contention of reality types are positive in recovery belief, and although they make efforts in self-control after entering the healthy process altered by myocardial infarction, they tend to be passive and as time goes by, although once active, self-control strengthening is discontinued and tends to experience an unstable return to daily activities. Participants of acceptance type tend to accept the experience of myocardial infarction as a condition that one has no control over and are negative in recovery belief and are passive and temporary in self-control efforts. They tend to depend on prescriptions and expect to cure in a passive manner. Thus, their self-control strengthening is temporary and passive in nature and continue to live while accepting the experience as fate. The results present an aim of nursing intervention depending on 'Controling healthy track‘ process, which allows patients living with potential threats to their lives to maintain health through controlling the various contextual conditions and utilizing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its different types and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applying substantive nursing interventions.;‘풍요의 질병’, ‘생활습관병’이라 불리는 성인병 중 허혈성 심장질환이 최근 10년간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 이중 심근경색은 심장발작으로 인한 심장사로 생명을 위협하는 질환이며 급성기 이후 회복기에도 지속적인 감시와 관리가 필요한 질환이다. 심장재활 분야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심장재활프로그램 적용 후 단기적으로 환자의 기능적 상태 평가 및 생활양식 변화에 대한 효과, 심리적 효과에 대해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운동처방 중심의 심장재활프로그램의 문제는 의료인 중심으로 개발되고 적용 및 평가된다는데 있다. 따라서 환자의 입장을 배제한 프로그램은 환자 입장에서 보기에는 자신의 경험과 불일치한다는 평가를 하게하므로 환자입장에서의 질병 및 회복과정에 대한 이해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근거이론적 접근을 사용하여 심근경색을 경험한 대상자의 회복과정을 확인하고 그에 대한 실체이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참여자는 중재적 시술 및 약물 치료를 받은 후 외래를 통해 추후관리를 하고 있는 심근경색환자 15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심층면담과 참여관찰 및 참여자의 의무기록 등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의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 과정에서 63개의 개념과 27개의 하위범주,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심근경색증 환자의 회복과정은 ‘일상을 파고든 한계상황에 직면함’, ‘질병 심각성 인식’이라는 인과적 조건과 ‘차별화된 회복신념’의 맥락적 조건에 영향을 받아 나타나는 ‘건강한 삶을 찾고자 함’이라는 중심현상에 대해 ‘경제적 부담증가’, ‘사회지지망의 지원’의 중재적 조건에 영향을 받으면서 ‘자기조정 시도하기’, ‘자기관리 강화하기’의 전략을 사용하는 ‘건강궤도 조정하기’ 과정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 흐름에 따른 회복과정은 건강궤도 붕괴 인식기, 건강궤도 조정시도기, 건강궤도 재건기, 건강궤도 적응기의 4단계로 나타났다. 첫 번째 단계인 ‘건강궤도 붕괴 인식기’에서 참여자들은 자신이 생각지도 못했던 심근경색이라는 진단을 받고 생명에 위협을 느끼면서 일상 속에서 한계상황에 직면한다. 심근경색은 완치가 되지않는 만성질환임을 알게 되고 건강한 삶을 다시 찾으려는 의지를 갖게 된다. 두 번째는 ‘건강궤도 조정시도기’이다. 참여자들이 기력을 조금씩 회복해가면서 일상생활에 참여하기 시작하고 원인에 대한 조정을 시도한다. 이때 자기조정 시도하기 전략을 사용하며 ‘사회지지망의 지원’과 ‘경제적 부담 증가’의 영향을 받는다. 세 번째 단계는 ‘건강궤도 재건기’로 자기조정에 대한 변화를 평가하고 회복과정에서 관계의 중심이 의료진에서 자신으로 옮겨오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치유의 주체가 자신임을 인식한다. 따라서 자기조정에 대한 결과를 스스로 평가하고 정보력을 강화하면서 다양한 방법을 병행하고 자기방식대로 건강한 삶을 향한 길에 진입하는 자기관리 강화하기 전략을 사용한다. 심근경색 회복과정에서 마지막 단계는 새로운 건강궤도 적응기로 이 단계에서 참여자들은 자기조정을 통해 건강궤도를 재건하고 건강한 삶을 위해 가야할 길인 건강궤도에 진입하였으며 이후 건강궤도를 유지하는 다양한 유형을 나타냈다 ‘건강궤도 조정하기’의 유형은 자기주도형, 현실안주형, 수용형의 세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형은 회복신념이 긍정적이므로 자기조정을 시도함에 있어 능동적이고 참여가 적극적이다. 자기관리 강화하기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빠른 회복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병행하면서 자기만의 방식으로 관리하면서 조절력을 획득하여 살아가게 된다. 현실안주형은 회복신념이 긍정적이나 심근경색으로 인해 달라진 건강궤도에 진입하면서 자기조정 시도하기가 소극적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기관리 강화하기가 적극적이나 지속되지 못하여 불안한 일상으로의 회귀를 경험한다. 수용형의 참여자들은 자신이 경험한 심근경색이라는 상황을 스스로 조절해 나갈 수 없는 상황으로 받아들이며 회복신념이 부정적이고 자기조정을 시도함에 있어 수동적이고 일시적이다. 처방에 의지하여 수동적으로 치유되기를 기대하기 때문에 자기관리 강화하기가 일시적이고 소극적으로 일어나며 운명적으로 받아들이고 살아가게 된다. 이상의 결과는 생의 위협요인을 알고 살아가야 하는 환자들이 여러 맥락요인들의 영향을 조절하면서 적정 중재전략을 활용하여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건강궤도 조정하기’ 과정 및 유형에 따른 간호중재의 방향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간호중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