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허소희-
dc.creator허소희-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00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00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14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8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142-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2003년 4월 30일 정대석에 의해 작곡되어 대전시립연정국악원에서 초연한 여섯 줄을 위한 세 번째 대화라는 부제가 붙은 <편지>의 거문고 2중주곡의 음악적 구조를 분석하고 그 작품 속에 내재되어 있는 작곡 기법을 파악하여 연주 및 감상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편지>는 한 장의 종이 속에 자신의 마음을 담아 반갑고도 소중한 편지를 받았을 때처럼 행복한 느낌을 거문고 두 대로 표현하고 있다. 연구방법은 각 악장별로 음악형식, 음 빈도수 및 음계, 선율 형태 및 구조와 리듬으로 구분하여 분석, 연구하였다. 제1악장은 A + A' +B로 이루어져있으며, 2분박 계통의 6/4박자이고 템포는 A와 A'는 ♩ = 50~55이며 B는 ♩ = 60이다. 1악장은 엇중모리 장단에 바탕을 두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음계는 태(F)와 남(C)을 주음으로 하는 태(F) 고(G) 중(A♭) 람(B♭) 난(C) 黃(E♭)으로 된 6음 음계이다. 제2악장은 도입부 + A + A' + 연결구 + Coda로 이루어져 있으며 3분박 계통의 12/8박자이고 템포는 ♩. = 54이고 조성은 f minor이다. 2악장은 중중모리 장단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음계는 1악장과 동일하여 태(F)와 남(C)을 주음으로 하는 태(F) 고(G) 중(A♭) 람(B♭) 남(C) 黃(E♭)으로 된 6음 음계로 되어 있다. 선율 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 도입부의 거문고 II의 단순한 선율로 시작되어 동형진행, 리듬의 변형, 도치를 사용하여 다양하게 변화되었으며, 거문고 I과 II의 관계는 unison 및 비화성음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제3악장은 도입부 + A + 연결구 + B + 연결구 + C + D + E + Coda로 이루어져 있으며, 박자는 10/8에서 8/8로 계속 변박된다. 장단은 10/8박에서 엇모리장단에 바탕을 두고 있다. 템포는 1~21마디는 ♪ = 182이고 22마디에서 끝까지는 ♩ = 192로 속도가 점차 빨라진다. 조성은 1,2,3악장 모두 동일하게 f minor이고, 음계 역시 동일하게 태(F) 고(G) 중(A♭) 람(B♭) 남(C) 黃(E♭)으로 된 6음 음계로 되어 있다. 선율 형태 및 구조에 있어서는 동형진행, 반복법, 리듬의 축소와 확대, 상행, 하행, 반진행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거문고 I과 II의 관계는 unison 및 화성적인 형태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와 같이 <편지>의 거문고 2중주곡은 거문고 두 대 때로는 세 대가 전통적인 거문고 기법 위에 현대적인 감각을 도입하여 새로이 재창조하여, 창작음악의 활로를 넓히는 데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국악 장단을 바탕으로 다양한 리듬을 활용하여 국악 본연의 모습과 창작의 맛을 조화롭게 해준 곡이라 할 수 있다.;This study is purposed to analyze the musical structure and the composition technique of Korean Zitherlike Instrument Geomungo Duet of <Letter> subtitled 'the third conversation for six strings' composed by Daeseok Jung and performed for the first time in Daejeon Municipal Center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 on April 30, 2003 with a view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its performance and appreciation. <Letter> is expressing the happiness in a sheet just like at receiving a pleasing and precious letter via two Geomungos. As an approach of this study, each chapter was analyzed and researched, being classified per musical form, number of note frequence, scale, melody type, structure and rhythm. The chapter 1 is constituted of A + A' + B and six-four time in line of binar time. The tempo of A and A' are ♩ = 50~55, and B is ♩ = 60. The chapter 1 is based on Eotjungmori beat. As for the scale, it adopts 6 notes such as Tae(F), Go(G), Jung(A♭), Lim(B♭), Nam(C) and Hwang(E♭). The chapter 2 consists of introductory part + A + A' + bridge + coda and twelve-eight time in line of triple time. The tempo is ♩. = 54, and the tonality is f minor. This chapter is based on Jungjungmori beat with the same scale of that of chapter 1, I. e. the keynotes are Tae(F) and Nam(C) of 6 notes of Tae(F), Go(G), Jung(A♭), Lim(B♭), Nam(C) and Hwang(E♭). In terms of melody type and structure, the introductory part begins with simple melody of Geomungo II, and the sequence, transformation in rhythms and inversion are used for the diversification. The relation of Geomungo I and II is in the form of unison and non-chord harmony. The chapter 3 adopts the form of introductory part +A +bridge + B +bridge + C +D +E +Coda. The time is shifted between ten-eight time and eight-eight. The basic beat is Eotmori. The tempo from 1 to 21 bar is ♪ = 182, while that from 22 to the end is ♩ = 192, that is, the tempo gets faster. There is no change in the tonality of f minor in the chapter 1, 2 and 3 and in the 6-note scale of Tae(F), Go(G), Jung(A♭), Lim(B♭), Nam(C) and Hwang(E♭). In respect of melody type and structure, the sequence, repetition, augmentation, diminution, ascending, descending and contrary motion are used. The relation of Geomungo I and II is mainly in the form of unison and chord harmony. As aforementioned, Geomungo Duet of <Letter> is recreated via two or three Geomungos by applying the modern sense to the traditional Geomungo technique and contributes to the expanding the creative music techniques. It also makes a harmony of nature of Korean classical music with the creativity, using various rhythms based on traditional Korean bea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1 I. 서론 = 3 A. 연구의 목적 = 3 B. 연구의 방법 = 5 II. 본론 = 6 A. 작품 개요 = 6 B. <편지>의 분석 = 8 1. 제 1악장 = 8 가. 음악형식 = 8 나. 음 빈도수 및 음계 = 9 다. 선율 형태 및 구조 = 11 라. 리듬 = 15 2. 제 2악장 = 16 가. 음악형식 = 16 나. 음 빈도수 및 음계 = 17 다. 선율 형태 및 구조 = 19 라. 리듬 = 29 3. 제 3악장 = 31 가. 음악형식 = 31 나. 음 빈도수 및 음계 = 32 다. 선율 형태 및 구조 = 35 III. 결론 = 58 참고문헌 = 61 Abstract = 63 부록 악보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6620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거문고 중주곡 <편지>의 작품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Duet of Geomungo <Letter> Analysis-
dc.creator.othernameHur, so hee-
dc.format.pagev, 89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학부-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