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8 Download: 0

피리의 녹음을 위한 마이킹에 관한 연구

Title
피리의 녹음을 위한 마이킹에 관한 연구
Authors
이인화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음악이 계승 되는 방법에는 스승에게 직접 배우는 방법과 악보를 통한 방법, 음반을 통한 방법 등이 있다. 이중에서 악보에 의한 방법 보다는 음반을 통한 방법이 후세사람들에게 그 시대의 음악을 이해하는데 더 도움이 되는 방법일 것이다. 예전의 우리음악은 고악보의 형태로 어느 정도 전해 오지만 음반으로 녹음되어진 것은 1895년 박춘재의 공연실황이 처음이었다. 음반작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제 소리와 똑같이 녹음하는 것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제일 우선 마이킹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수음 까지도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분야에 관한 비슷한 선행 연구가 있기는 하나 피리에 관한 것이 없기에 이 글에서는 피리(향피리, 세피리, 당피리)의 음반녹음 시 적절한 마이킹을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마이킹 연구에 앞서 피리의 유래와 종류, 재료 및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았으며 피리의 음향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으로 향피리, 세피리, 당피리의 기본음을 콘덴서 마이크로폰으로 녹음하여 주파수의 영역을 알아보았다. 피리는 종류에 따라 음량이 다르기 때문에 각 악기의 마이크 반응률을 알아보기 위해 낮은 음, 중간 음, 높은 음을 택하여 그 악기들의 Wave Paz Analyzer상 주파수 위치와 각 음 마다의 음압레벨(dB)의 파형을 알아보았다. 마이킹 연구를 위해 가장 많이 쓰이는 피리 중 향피리(정악관)를 택하였으며 여러 음 중에 음정의 변화가 심하지 않은 중간음역정도인 황음을 선택 하였다. 악기와 마이크 사이의 거리는 50Cm와 100Cm 로 설정하였으며, 마이크의 방향은 전방, 후방, 좌측, 우측, 위, 아래 6곳으로 설정하여 어느 위치가 가장 좋은 녹음수치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마이크는 두 종류를 사용하였는데, 하나는 콘덴서 마이크로폰이며 또 하나는 다이나믹 마이크로폰이다. 실험결과, 콘덴서 마이크로폰이 다이나믹 마이크로폰보다 높은 수치를 보였는데 이 수치는 0에 가까울수록 녹음이 잘 되었다는 뜻이다. 디지털 레코딩 방식에서 0을 초과하게 되면 잡음이 생기기 때문에 기준을 0으로 정하였다. 콘덴서 마이크로폰에서는 아래쪽 방향, 거리는 50Cm의 결과 수치가 –16.8dB로 가장 높게 나왔고 전방, 50Cm는 -18.8dB이며 우측방향, 50Cm는 -19.2dB의 순이다. 다이나믹 마이크로폰에서는 아랫방향, 50Cm의 결과치가–19.2dB로 가장 높게 나왔고 전방, 50Cm는 -20.1dB이며 우측방향, 50Cm는 -21.8dB의 순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콘덴서 마이크로폰보다 수치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피리 수음의 최적의 조건은 관대와 마이크의 거리는 50Cm 떨어져야 하고, 마이크의 위치는 아래 방향이 가장 좋으며, 마이크는 콘덴서 마이크로폰이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Korean traditional music has been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 the stream of the Korean history. Korean traditional music from antiquity has been inherited into the modern music, transformed pertaining to the current of time. The way to inherit the traditional music is to get a music lesson from a teacher, to study music with music books and to learn music through recording. Among them, to learn music through recording rather than with music books is more helpful for future generations to understand music in a specific period. While we have some Korean traditional music books, the first recor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was Park Chun Jae's live concert. Although the records in those days have lots of static and uneven tempo, they contribute to study the music in those days. Today, digital culture maximizes the recording technology and we can enjoy music with digital instruments anytime and anywhere. The numb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records, however, is very small, compared with that of popular music or western music. That is why we need to cut a great deal of recor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o make them popular and to make them known to the worl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recording music is to make records the same as the real sound. To do so, at firs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miking and then, to making sound by microphone. In Korean music concert hall and recording room, the location of mike is different depending on record engineers, because the location of mike for the best sound of each instrument is fixed in western music, but not in Korean music. Thus, it is necessary to study for determining the location of mike for the best sound of each instrument. Even though there are preceding studies similar to this field, there is no study for piri.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right miking in recording piri performance(hyangpiri, saepiri, dangpiri). In advance of the study of miking, I examined the origin, the types, raw material and structure of piri. And then, I recorded the basic sound of hyangpiri, saepiri, dangpiri with condenser microphone to study the piri's acoustic features and find out the spectrum of frequency. Because piri has different sound volume in its kinds, I, selecting low tone, intermediate tone, high tone to find out the rate of mike response, studied the Wave Paz Analyzer frequency location of each instrument and waveform of dB in each tone. I selected hyangpiri among piries which has been most used for the miking study, and chose Eb, the intermediate register which has no serious variation in tune. The distance between instruments and mike was set in 50cm and 100cm. The direction of mike was set in six - front, rear, left, right, upper, bottom. and, I found out the best location for the best recording. Two kinds of mike are used for this experiment; one is condenser microphone and the other is dynamic microphone. As a result, condenser microphone shows higher numerical value rather than dynamic microphone. The nearer to zero the numerical value is in the level, the better the recording is. In the digital recording, the basic point is zero because the noise occurred when the numerical value is over zero. The highest numerical value in condenser microphone is -16.8dB in the bottom direction, keeping a distance of 50cm, the next one -18.8 dB in the front direction, keeping a distance of 50cm distant, and the third one -19.2 dB in the right direction, keeping a distance of 50cm. The highest numerical value in dynamic microphone is -19.2dB in the bottom direction, keeping a distance of 50cm, the next one -20.1 dB in the front direction, keeping a distance of 50cm, and the third one -21.8dB in the right direction, keeping a distance of 50cm, which are generally lower than those in condenser microphone. In conclusion, the best conditions for making the sound by microphone is 50cm distance between piri and mike which is located in the bottom direction, and condenser microphone is prefera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