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2 Download: 0

공동주택 거주성 지원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디자인 연구

Title
공동주택 거주성 지원을 위한 커뮤니티 공간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munity Space Design to Support Apartment Amenity
Authors
곽지훈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현대 사회는 국민소득의 증대와 더불어 생활양식의 변화 및 문화적 욕구가 표출되어가고 있으며 더 나은 삶의 방향에 대한 욕구와 디지털적인 편리성을 추구하는 동시에 건강한 삶을 위해 자연으로 돌아가려하는 다차원적 삶의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주택부문에 있어서도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현 주거 환경에 적합하고 미래 주거환경을 수용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창출해 내려는 노력이 많아지고 있다. 우리나라 주거 환경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공동주택의 경우 50여년의 짧은 역사 속에 양적 확산에만 치중한 나머지 단조로운 주동의 입면, 주차수요에 의한 외부공간의 피폐화, 친환경적 공간의 결핍, 주민 지원공간의 부족, 내부공간의 획일성이라는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러나 최근 지하주차장의 확보로 조경공간이 확충되고, 다양화 된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한 가변형 플랜을 통해 기존 공동주택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점차 해결해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거주자의 전용 면적 확보문제와 건설회사의 분양 등에 대한 이해관계로 공동주택 커뮤니티 공간의 지원이 법규적 차원에서 머물러 있어 거주자 삶의 질적 향상을 지원해 줄 수 있는 공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전체 거주자의 삶을 지원할 수 있는 공동주택 내의 커뮤니티 공간을 다양한 활동프로그램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주거환경을 창출하고 다양한 입면디자인으로 아이덴티티를 확보하여 거주성을 지원하는 실증적 공간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을 전제로 II장에서는 공동주택 내에 커뮤니티 공간의 문제점과 미래 주거환경에 대해 분석하여 커뮤니티 공간의 시설과 프로그램, 관리시스템이 통합적으로 구축되기 위한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III장에서는 커뮤니티 공간이 변화하는 거주인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복합적 기능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필요 프로그램과 요구 공간을 고찰하고 단지의 규모나 배치방식, 거주자의 행태에 따른 커뮤니티 공간의 배치를 분석하여 거주자에게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IV장에서는 다양한 거주자들의 활동을 지원하고 미래 주거환경에 부합될 수 있는 커뮤니티 공간을 제안하여 궁극적으로 공동주택의 거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제V장에서는 본 연구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였으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공헌도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각 거주인을 지원하는 커뮤니티 공간을 프로그램을 통해 가족 구성원들에게 적합한 맞춤형 공간들을 공유공간에 제공함으로서 가족에게 발생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고 여성이 갖는 문제를 실질적이고 효율적으로 풀어나갈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접지층에 있는 주호는 프라이버시 침해, 방범, 소음 등의 문제로 다른 층에 비해 거주자의 선호가 낮고 주동 내 ․ 외부를 연결하는 입구로서 주동 거주자들이 근접하기 쉬운 특성을 고려하여 접지층을 커뮤니티 공간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최상층으로 갈수록 자연과 멀어지는 점을 감안하여 공중정원을 도입하고 주동에 새로운 입면을 창출하여 아이덴티티를 확보하였으며 다양한 서비스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할 수 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를 해소하고 커뮤니티 공간을 통해 거주인의 심리적, 정서적, 사회적 만족감을 줄 수 있는 환경을 지원함으로서 거주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거주성을 높이는 데 연구의 가치와 의의를 찾을 수 있다.;As the nation income ris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lifestyle is changing and cultural desires are being expressed.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multi?]dimensional life is required, which pursues desires for better life and the digital convenience and, at the same time, tries to return to nature. Reflecting this trend, efforts are being made in the area of housing to create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is suitable for the current condition and can accommodate future residential environment. As for apartments that occupy the largest part of residential environment in Korea, many problems have been caused by quantitative expansion for the 50 years?f short history including monotonous building layout, deterioration of outdoor space by parking lots, lack of environment?]friendly space, lack of space for supporting residents and uniform indoor space. Recently, however, these problems are being solved one by one as landscape space is increasing with the construction of underground parking lots and changeable plans are made in consideration of diversified lifestyle. However, due to conflicts among interested parties over residents?f exclusive area, sales by construction companies, etc. the support of apartment community space is just nominal in the law.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space that can enhance residents?f life quality. Thus,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suggest an empirical space that creates residential space enhancing life quality through various activity programs for whole residents in apartment community and supports amenity by securing identity through various elevation designs. Assuming this background, Chapter II analyzed problems in community space inside apartments and futur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examined the possibility of integrated construction of facilities, programs and management system in community space. In addition, Chapter III studied necessary programs and required space to accommodate composite functions in order for community space to satisfy residents' changing desire, analyze the layout of community space and its effects on residents according to complex size, arrangement method and residents' behavio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previous chapters, Chapter IV proposed community space that supports various residents' activities and fits future residential environment and looked for ultimate methods for improving the amenity of apartments. Chapter V summarized and concluded this research, and suggested expected effects and contributions of this research. From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as community space supporting each resident is provided as sharing space customized for family members through programs, problems occurring among family members are minimized and women's problems can be solved substantially and efficiently. Second, units on the ground floor are less preferred due to problems such as the infringement of privacy, crime and noise and are highly accessible by building residents as the entrance connect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building. Considering this, we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ground floor as community space. Third, considering that higher floors are distant from nature, we secured identity by introducing a sky garden and creating a new elevation and created space that can be utilized for various services. In conclusion,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the present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improvement of residents?f life quality and amenity by solving social problems arising at apartments and supporting environment that gives psychological, emotional and social satisfaction through community sp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