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0 Download: 0

행태특성에 기반한 어린이박물관 디자인 연구

Title
행태특성에 기반한 어린이박물관 디자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hildren's Museum Designed Based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Authors
승재연
Issue Date
2005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오늘날 환경디자인은 인간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중시하면서 전개되고 있다. 2차 세계대전이후에 전개되어 온 디자인 사고와 접근 태도의 변화 현상에서 볼 수 있듯이 주변 환경과의 융합, 장소성의 존중, 지역 토착적 자연재료와 전통에 뿌리를 둔 형태언어의 도입과 건축 공간 및 형태를 경험하는 인간의 신체 중심성에 대한 새로운 인식 등은 인간성 회복이라는 보편적인 요구를 반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경향은 사용자 지향적 접근방법과 맥을 같이 하는 것으로서, 환경을 디자인할 때 인간이 모든 디자인 단계에서 첫 번째 고려대상이며 나아가서 공간 수용자의 입장에서 인식하고 접근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는 근대이후 대중위주의 획일화된 사회에서 장애인, 어린이, 노인 등의 특정계층이 디자인의 고려 대상에서 배제 되었지만, 현대에는 어린이만을 위한 환경에 대하여도 그 관심과 필요성이 중요시 되어지고 있다는 사실에서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의 하나로서 어린이박물관의 필요성을 고찰하고 그 공간디자인에 있어서 새로운 적용 방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어린이가 주체가 되는 어린이박물관은 일반 박물관과는 달리, 어린이 발달 단계에 맞는 다양한 행태를 지원해주고, 어린이의 흥미를 지속시켜줄 수 있는 유희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어린이의 단계적인 다양한 행태는 아동학, 교육학, 심리학 분야의 지식 및 연구이론에 의해 종합되고 분석되어졌는데, 이러한 어린이 행태를 지원해 줄 수 있는 행태장치의 조형적 특징과 요소를 도출해 내어 이를 디자인에 적용한다. 따라서 행태특성에 기반한 어린이박물관 공간디자인의 실험적 적용으로 인간중심적 사고에 의한 환경디자인의 새로운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범위와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여러 학문의 문헌을 통해 어린이박물관 공간디자인의 기반이 되는 어린이행태특성과 어린이박물관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제 3장에서는 2장을 바탕으로 좀더 구체적인 어린이박물관 공간디자인 요소를 살펴보았으며 디자인 적용개념으로 유희성과 행태지원성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문헌조사와 방문을 통한 사례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개선방향을 도출해 내었다. 제 5장에서는 본연구의 어린이박물관 교육기능과 행태특성에 기반한 필요공간을 분석하고 대상지를 선정한다. 이를 바탕으로 유희적인 어린이박물관 공간디자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어린이를 위한 공간이라는 한계와 교육기능성이 강조되어야 하는 어린이박물관 공간디자인을 하기위한 방법으로서 인간중심의 관점에서 어린이 행태특성의 분석과 행태를 지원해 줄 수 있는 행태장치의 적용은 제한적인 요소가 많은 디자인의 접근방법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제한요소가 많고 기능성을 필요로 하는 공간디자인에서 그 한계와 기능성이 또 다른 독창적 디자인 적용요소가 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어린이를 위한 환경디자인이 나아가야할 하나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 하겠다.; Environmental design today has been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what affects human perception and conscience in the application. As seen in the changes of the design thoughts and the methods after World War II, contextualism, site-specific considerations, formal language derived from vernacular material and tradition, and new knowledge regarding body and architecture are under influence of the universal concept of human nature restoration. This tendency is paralleled with a user-oriented approach in which the human is to be the first consideration in all design phases and thus, the environment as a result is visualized by the eye of the user. This is also proved in the fact that the care and the interest towards the environment even for the children only have been increased thesedays while the disabled, children and the old had been neglected in the design consideration in standardized mass society of modern era. Thus the phenomenon enhances the quality of overall environment for all humans. In this thesis, new design approach is proposed for children's museum as a social demand as mentioned above. Children's museum where children are playing an important role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museums designed for an adult. The design should support multiple and diverse behaviors found in each development steps of children and it keeps their interest lasting throughout the facility with amusement features. Various types of activities observed from children's usage of the museum were analysed by the theory of Pedagogy, Psychology and Child Development and this analysed activities are supported seamlessly by the devises with formal properties corresponding their specific and classified behaviors. Thus, the thesis envisions the new possibility of human oriented environment design through the design of children's museum based 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process is outlined below. In the chapter one, background, purpose, scope and the method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the chapter tw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behavior and the concept and feature of the children's museum are studied on the basis of the theories from related disciplines. In the chapter three, advanced from chapter two, detailed design factors of the museum are listed to be reviewed. As a result, the concepts such as amusement function and architecturally supported behavior are introduced to the design. In the chapter four, cases are gathered from documents and site-survey and the design concept is refined through those cases. Solutions for the problems and the application are studied. In the chapter five, spatial requirement and the program are analyzed and the site is chosen based on the criteria. According to the given conditions, design schemes are proposed. Main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limitations related to the issues of children in the design method of children's museum could be overcome through the analysis of behavior and the application of supporting devices chosen from that analysis. That means the limitations can turn out to be another unique design moti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envision the way of making specific environment designated for the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