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윤경원-
dc.creator윤경원-
dc.date.accessioned2016-08-25T04:08:57Z-
dc.date.available2016-08-25T04:08:57Z-
dc.date.issued200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21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7884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214-
dc.description.abstractIn modern times, the rapid enlargement of industrial society is leading changes in the structure of distribution and extending great influences on the patterns and types of consumption of the consumers. The behaviors of the consumers are gradually becoming diversified and to follow them up, the importance of the presentation of differentiated space in sales environment is becoming higher day by day. As the background, we may consider the enhancement of the sense of life or the sense of value and interest on the commodities by development of the sense of consumption and enhancement of economic power. Now the enterprises have arrived at the stand point that they can't only pursue production of commodities and marketing only to chase profit. Only the enterprises that can provide differentiated value from other enterprises may take the prominent position in competition. To provide such differentiated value, they should not only pursue the basic function of simple sales. In current state of diversified range of selection, consumers want to experience differentiated values from others rather than the same values with others. Therefore, to provide differentiated values, the sales environment should be changed ahead of any others. For this, visual stimuli are necessary and those could be effectively provided by spatial presentation through walls. As far as the spatial presentations in sales environment are activities to control the presented visual factors, presentation of effective sales environment will be achieved through studies on diverse characters of walls that are vertically recognized by human view for the first of all. The walls have been used on the concept basically to limit the spaces but since the modern times, the changes in the patterns of human life and the thinking method have been pursuing morphological diversity on walls and thereby have been supplementing formless and symbolic significances on the physical and realistic nature together with the basic nature of limiting the spaces. Therefore, at the times of planning spatial designs in modern times, should grasp the basic functional space-separating nature of walls and the formless symbolic natures and actively utilize them and thereby design as trials for new experiences and differentiation. This study is composed as follows. In chapter I, described the purpose, range and method of the study. In chapter Ⅱ, theoretically examined the factors of spatial presentation and the principles of visual and perceptive senses. In chapter Ⅲ, examined the walls as the factor of sales environment spatial presentation. In chapter Ⅳ, selected a sales place of furnitures as an objective, examined the characters of the walls through experiments and analyzed the functions and spaces of the furniture sales place and thereby proposed a spatial design plan that is suitable to the latter and also applied by the characters of the walls obtained by the experiments. In chapter Ⅴ, summarized and discussed about this study and described the expected effects and contributions of the study. The studier could conclude as follows through the study on sales environment design focused on walls as a factor of spatial presentation planned on the stand point of environment design. First, sales environment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the multi-angled aspects including marketing and VMD AND should be planned reflecting social streams. Second, when the design was created applying diverse modeling concepts to the walls that is the basic factor composing the space, can plan differentiated space from the walls as the basic factor of space composition used in existing spaces. Third, if the sales environment design is added by modeling composition together with functional composition, could be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sales environments by the value of beauty owned by the environment itself. Fourth, in the space, walls could be the medium of unlimited expression of meaning between the planner of the space and the user of the space. At this time when the differentiated spatial composition of sales environment is required, this study that has studied the differentiation of spatial composition through walls is covering the part of sales environment out of various environments but such contents are considered to be possibly enlarged and applied to integral environment designs and could be applied to all environment designs influencing on humans in future.;현대에 이르러 급속한 산업사회의 확장은 유통구조의 변화를 초래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소비 유형 및 형태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의 행동은 점점 다양화 되어 가고 있으며 이를 위해 판매환경의 차별화된 공간 연출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 같은 배경에는 소비의식의 발달과 경제력의 향상으로 생활의식이나 상품에 대한 가치관과 관심도가 높아진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 이제 기업은 단지 이윤추구를 위한 제품 생산과 마케팅만을 추구해서는 안되는 입장에 이르렀다. 타 기업들과 차별화 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기업만이 경쟁우위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차별화 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판매를 한다는 기본적인 기능만을 추구해서는 안 될 것이다. 선택의 폭이 다양해진 현 상황에서 소비자는 남들과 똑같은 가치를 체험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과는 차별화 된 가치를 체험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차별화 된 가치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판매환경이 변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시각적인 자극이 필요하며 벽을 통한 공간 연출을 통해 이것을 효과적으로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판매환경의 공간 연출이 시각적 요소를 연출해 관리하는 활동인 만큼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 중에서 인간의 시야에 수직으로 가장 먼저 인지되는 벽의 다양한 특성을 연구함으로서 효과적인 판매환경을 연출할 수 있을 것이다. 벽이란 기본적으로 공간을 한정시키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근대 이후 인간의 생활행태 및 사고방식의 변화는 벽에 대해 형태적으로 다양성을 추구함으로서 공간을 한정하는 기본적인 성질과 더불어 물리적이고 실체적인 성질에서 무형적이고 상징적인 의미를 추가시켜 나갔다. 따라서 현대의 공간 디자인 계획 시에는 벽의 기능적 공간 분리의 기본적인 성질과 무형적이고 상징적인 성질을 파악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간의 새로운 경험과 차별성을 위한 시도로서 디자인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제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다. 제 Ⅱ장에서는 공간 연출 요소와 시지각 원리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제 Ⅲ장에서는 판매환경 공간 연출 요소로서의 벽에 대해 고찰하였다. 제 Ⅳ장에서는 연구 대상으로 가구매장을 선정하고, 실험을 통해 벽의 특징을 살펴보고, 가구매장의 기능과 공간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하면서도 실험을 통한 벽의 특징을 적용한 공간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제 Ⅴ장에서는 본 연구에 관한 요약과 논의를 하였으며, 연구의 기대효과 및 공헌도를 서술하였다. 본 연구자는 환경디자인 입장에서 계획한 공간 연출 요소로서 벽을 중심으로 한 판매환경 디자인 연구를 통해 아래와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판매환경은 마케팅, VMD 등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시행되어져야 하며 사회적인 흐름을 반영하여 계획되어져야 한다. 둘째, 공간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인 벽에 다양한 조형적인 개념을 적용시켜 디자인을 도출했을 때 기존의 공간에서 사용되던 공간 구성의 기본 요소인 벽과는 차별화 된 공간을 계획할 수 있다. 셋째, 판매환경 디자인은 기능적인 구성과 더불어 조형적인 구성을 더하면 그 환경 자체가 갖는 미적 가치로 인해 기존의 판매환경과 차별화 될 수 있다. 넷째, 공간에서 벽이란 공간을 계획한 사람과 공간을 사용하는 사람의 무한한 의미 표현의 매체가 될 수 있다. 판매환경의 차별화 된 공간 구성이 요구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벽을 통한 공간 구성의 차별화를 연구해본 이 연구는 여러 환경 중에서 판매환경이라는 부분을 다루고 있지만 이러한 내용은 앞으로의 전체 환경디자인에 확대되어 적용될 수 있고 인간에게 영향을 주는 모든 환경디자인에 응용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Ⅰ.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3 Ⅱ. 공간 연출과 공간 구성 요소 = 5 1. 공간 연출과 시지각 원리 = 5 1.1. 공간 연출의 개념 = 5 1.2. 시각적 원리에 기초한 공간 연출 = 11 2. 공간 구성 요소로서의 벽 = 16 2.1. 공간 구성의 기본 요소 = 16 2.2. 벽의 의미 = 18 2.3. 공간 개념의 변화 = 19 Ⅲ. 판매환경 공간 연출 요소로서의 벽 = 21 1. 벽의 시각적 기능 및 특성 = 21 1.1. 공간제어기능 = 21 1.2. 정보전달기능 = 28 2. 판매환경 공간 연출 요소로서의 벽 = 33 2.1. 벽의 구성적 특성 = 33 2.1.1. 벽과 벽의 관계에서 나타난 특성 = 33 2.1.2. 벽과 기둥의 관계에서 나타난 특성 = 34 2.1.3. 벽과 개구부의 관계에서 나타난 특성 = 35 2.2. 벽의 표현요소적 특성 = 37 2.2.1. 형태에 의한 벽의 특성 = 37 2.2.2. 재료에 의한 벽의 특성 = 38 2.2.3. 색채에 의한 벽의 특성 = 39 2.2.4. 빛에 의한 벽의 특성 = 40 Ⅳ. 디자인 과정 = 41 1. 디자인 개요 = 41 2. 디자인 원리 및 적용 = 43 2.1. 벽의 형태에 따른 유형 = 43 2.2. 벽의 구성방법에 따른 유형 = 45 3. 디자인 과정 = 47 3.1. 대상지 환경 분석 = 47 3.2. 공간 프로그래밍 = 49 3.3. 벽면 구성 계획 = 51 3.4. 세부 공간 계획 = 55 4. 최종 디자인안 = 59 5. 디자인 평가 = 68 Ⅴ. 결론 = 70 참고문헌 = 72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2984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공간 연출 요소로서 벽을 중심으로 한 판매환경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Sales Environmental Design focusing on Wall as Space Spatial Presentations Element : focuging on the furniture shop-
dc.creator.othernameYoun, Kyung-won-
dc.format.pageⅷ, 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환경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